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합건물법의 대지사용권과 부동산등기법의 대지권에 대한 법률적 관계 재정립 = Redefinition of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Use the Land under the Multi-owned Building Act and the Right to Land under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5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es fail to distinguish between the right to use land and the right to land in multi-owned buildings. They regard the right to use land in the same light as the right to land, which is likely to be considered as erroneous. As it is required to have a right on the land in order to own a building on land, so it is required to have a right on the land in order for a divided owner to own an exclusive area of the building on land. In condominium, the right to the land upon which the condominium sits in order for the divided owner to own his or her exclusive area is called as "right to use land". There is another notion called "right to land",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right to use land. This right referring to a registered right from the right to use land is a term under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to represent the right that corresponds to an exclusive area. The Multi-owned Building Act, in subparagraph 5, Article 2 and Article 4, respectively, defines "land for building" as "land upon which one building containing exclusive areas sits" and "land tha has become a lan for building according to a protocol or an authentic deed", but it does not distinguish the right to own land from the right to use land.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uses the term "right to land" instead of "right to use land". The Multi-owned Building Act has no term of the right to land. As shown above, the two acts use differently with the same term, or they use in the same way with different term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interpret the terms as well as to redefine the provisions to secure their clarity.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provides for the right to land. As far as this is a right, it should be defined first in the Multi-owned Building Act, a substantial law, and then should be defined in Civil Law and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However, it is first defined in the current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or not it is appropriate to define it in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a procedural law. It is further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exclusive areas and the right to use land as well as between the right to land and the right to use land.
      In addition, there is a question to what category the right to land in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belongs. Is it a right, power, or right in procedual law?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is regarded as a procedual law.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vision of the definition of the right to land in the Multi-owned Building Act that is a substantive law. In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have provisions of the definitions of the right to land and the right to use land in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that is a procedural law, which will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y are a right or power.
      번역하기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es fail to distinguish between the right to use land and the right to land in multi-owned buildings. They regard the right to use land in the same light as the right to land, which is likely to be considered as erroneous. ...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es fail to distinguish between the right to use land and the right to land in multi-owned buildings. They regard the right to use land in the same light as the right to land, which is likely to be considered as erroneous. As it is required to have a right on the land in order to own a building on land, so it is required to have a right on the land in order for a divided owner to own an exclusive area of the building on land. In condominium, the right to the land upon which the condominium sits in order for the divided owner to own his or her exclusive area is called as "right to use land". There is another notion called "right to land",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right to use land. This right referring to a registered right from the right to use land is a term under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to represent the right that corresponds to an exclusive area. The Multi-owned Building Act, in subparagraph 5, Article 2 and Article 4, respectively, defines "land for building" as "land upon which one building containing exclusive areas sits" and "land tha has become a lan for building according to a protocol or an authentic deed", but it does not distinguish the right to own land from the right to use land.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uses the term "right to land" instead of "right to use land". The Multi-owned Building Act has no term of the right to land. As shown above, the two acts use differently with the same term, or they use in the same way with different term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interpret the terms as well as to redefine the provisions to secure their clarity.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provides for the right to land. As far as this is a right, it should be defined first in the Multi-owned Building Act, a substantial law, and then should be defined in Civil Law and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However, it is first defined in the current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or not it is appropriate to define it in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a procedural law. It is further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exclusive areas and the right to use land as well as between the right to land and the right to use land.
      In addition, there is a question to what category the right to land in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belongs. Is it a right, power, or right in procedual law?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is regarded as a procedual law.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vision of the definition of the right to land in the Multi-owned Building Act that is a substantive law. In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have provisions of the definitions of the right to land and the right to use land in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that is a procedural law, which will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y are a right or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집합건물에서 대지사용권과 대지권의 구분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대지사용권이 바로 대지권이라고 보는데, 여기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볼 가능성이 있다. 건물을 토지 위에 소유하기 위해서는 그 토지에 대하여 권리를 갖지 아니하면 안 되는 것처럼 구분소유건물의 경우에도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토지 위에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에 대하여도 권리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가 대지사용권(垈地使用權)이다 여기서 대지사용권과 구별되어야할 개념으로 대지권(垈地權)이 있는데, 이것은 대지사용권 가운데 등기된 권리로서 전유부분과 하나로 된 것을 표현하는 부동산등기법상의 용어이다. 집합건물법 제2조제6호는 “건물의 대지를 전유부분이 속하는 1동의 건물이 소재하는 토지와 규약 또는 공정증서에 의하여 건물의 대지로 된 토지로 규정하고, 또한 그 대지에 관한 권리를 대지소유권과 대지사용권을 구별하지 아니하고 대지사용권을” 부동산등기법에서는 대지권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집합건물법에는 대지권이라는 규정이 없다. 따라서 두 법률에서는 같은 의미를 서로 다른 용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또는 두 법률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같은 용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명확한 법률적 해석과 그 명확성을 위한 법규정도 정비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이 부동산등기법상의 대지권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이 권리이면 실체법인 집합건물법상 규정하고 그에 따라 실체법인 민법이나 집합건물법에 규정하여야 하는데, 현행 부동산등기법에 규정하고 있다. 과연 절차법인 부동산등기법에 규정한 것이 적당한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관계 설정이 필요하고, 대지권과 대지사용권의 관계설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부동산등기법상 대지권은 어떠한 권리인가 아니면 권능인가, 절차법의 권리인가 아니면 권능인가? 실체법상의 권리인가 아니면 권능인가인데, 부동산등기법은 절차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체법이라고 할 수 있는 집합건물법에 대지권에 대한 용어 정의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고 보며, 절차법인 부동산등기법에서도 대지권과 대지사용권에 대한 용어 정의규정 및 명확한 공시방법을 두어 권리인가 권능인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집합건물에서 대지사용권과 대지권의 구분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대지사용권이 바로 대지권이라고 보는데, 여기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볼 가능성이 있...

      집합건물에서 대지사용권과 대지권의 구분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대지사용권이 바로 대지권이라고 보는데, 여기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볼 가능성이 있다. 건물을 토지 위에 소유하기 위해서는 그 토지에 대하여 권리를 갖지 아니하면 안 되는 것처럼 구분소유건물의 경우에도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토지 위에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에 대하여도 권리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가 대지사용권(垈地使用權)이다 여기서 대지사용권과 구별되어야할 개념으로 대지권(垈地權)이 있는데, 이것은 대지사용권 가운데 등기된 권리로서 전유부분과 하나로 된 것을 표현하는 부동산등기법상의 용어이다. 집합건물법 제2조제6호는 “건물의 대지를 전유부분이 속하는 1동의 건물이 소재하는 토지와 규약 또는 공정증서에 의하여 건물의 대지로 된 토지로 규정하고, 또한 그 대지에 관한 권리를 대지소유권과 대지사용권을 구별하지 아니하고 대지사용권을” 부동산등기법에서는 대지권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집합건물법에는 대지권이라는 규정이 없다. 따라서 두 법률에서는 같은 의미를 서로 다른 용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또는 두 법률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같은 용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명확한 법률적 해석과 그 명확성을 위한 법규정도 정비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이 부동산등기법상의 대지권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이 권리이면 실체법인 집합건물법상 규정하고 그에 따라 실체법인 민법이나 집합건물법에 규정하여야 하는데, 현행 부동산등기법에 규정하고 있다. 과연 절차법인 부동산등기법에 규정한 것이 적당한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관계 설정이 필요하고, 대지권과 대지사용권의 관계설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부동산등기법상 대지권은 어떠한 권리인가 아니면 권능인가, 절차법의 권리인가 아니면 권능인가? 실체법상의 권리인가 아니면 권능인가인데, 부동산등기법은 절차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체법이라고 할 수 있는 집합건물법에 대지권에 대한 용어 정의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고 보며, 절차법인 부동산등기법에서도 대지권과 대지사용권에 대한 용어 정의규정 및 명확한 공시방법을 두어 권리인가 권능인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진, "토지와 건물의 이원적 체계에 관한 연구 : 건축 중인 건물의 법률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 임형택, "집합건물의 대지사용권에 관한 연구" 韓國集合建物法學會 5 : 2010

      3 송호열, "집합건물에서 구분소유의 성립에 관한 고찰" 한국토지법학회 24 (24): 157-186, 2008

      4 김영두, "집합건물법연구" 진원사 174-, 2008

      5 박태신, "집합건물법에 있어서 집합건물의 대지 및 대지사용권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1 (11): 337-360, 2010

      6 법무부, "집합건물법 해석사례집" 2010

      7 박종두, "집합건물법 제20조의 의미와 해석" 韓國集合建物法學會 5 : 2010

      8 박종두, "집합건물법" 삼영사 2011

      9 박세창, "집합건물 대지권개념과 그 지분권의 행사" 韓國集合建物法學會 5 : 2010

      10 박홍래,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일체성" 한국민사법학회 (22) : 2002

      1 김병진, "토지와 건물의 이원적 체계에 관한 연구 : 건축 중인 건물의 법률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 임형택, "집합건물의 대지사용권에 관한 연구" 韓國集合建物法學會 5 : 2010

      3 송호열, "집합건물에서 구분소유의 성립에 관한 고찰" 한국토지법학회 24 (24): 157-186, 2008

      4 김영두, "집합건물법연구" 진원사 174-, 2008

      5 박태신, "집합건물법에 있어서 집합건물의 대지 및 대지사용권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1 (11): 337-360, 2010

      6 법무부, "집합건물법 해석사례집" 2010

      7 박종두, "집합건물법 제20조의 의미와 해석" 韓國集合建物法學會 5 : 2010

      8 박종두, "집합건물법" 삼영사 2011

      9 박세창, "집합건물 대지권개념과 그 지분권의 행사" 韓國集合建物法學會 5 : 2010

      10 박홍래,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일체성" 한국민사법학회 (22) : 2002

      11 강해룡, "대지사용권과 대지권(3)"

      12 강해룡, "대지사용권과 대지권(2)"

      13 강해룡, "대지사용권과 대지권(1)"

      14 양경승, "대지권의 법적 성질과 관련문제" 법원행정처 24 : 1993

      15 전병익, "구분소유권법" 해오름 1997

      16 김용한, "개정민사법해설" 한국사법행정학회 1983

      17 "http://www.scourt.go.kr"

      18 "http://www.lawtimes.co.kr"

      19 "http://www.law.go.k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8-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ND LAW REVIEW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토지법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8 0.61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