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전시 특성 연구 = A Study on Exhibition Characteristics of Gwangju Design Bienn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28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p to the sixth Gwangju Design Biennale held in 2015, a decade passed since its debut in 2005 with the 7th scheduled to arrive in 2017. As the first comprehensive design biennale in Asia,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presented a wide range of design-related exhibitions and served as an avant courier for other newly emerging design exhibitions or biennales. Still, given not a few challenges and critical concerns have arisen over its operation for the past decade,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the Gwangju Design Biennale by analyzing it across the boar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foregoing, the present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with a 10-year history by analyzing its art works, artists and curators.
      The present analysis is limited to the catalogues published until now, on the grounds that they convey the intents of planning, art works and artists from objective perspectives and effectively function as another media for exhibitions. Thus, the Gwangju Design Biennale is analyzed here within a finite analysis framework via catalogues.
      Among other component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art works, artists and curators are analyzed in that those three are the fundamental and minimal components constituting its exhibitions. The art works displayed at main exhibitions are analyzed in light of their design categories and how such categories are manifested per exhibition. The artist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nationalities and types of participants, e.g. individuals, enterprises, organizations, studios, etc. The nationalities or the countries of origin are sorted out relative to the different types of participants. In reference to the categories, the trends in the types of participant artists over the six biennials are identified. As for curators, first, the composition of curators per biennial is analyzed, while their nationalities and schools are examin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of them.
      The present analysis framework involving the artists, art works and curators highlights four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First,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focused on designer artists. Despite its artist-oriented policy, the Gwangju Design Biennale seems to have focused on a few high-profile designers,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confined structure of the country’s design industry. Second, exhibitions are oriented towards things in the name of art works. Unlike previous design exhibitions, and despite its motto advocating a comprehensive design exhibition,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lately exposed a bias towards product design. Third, the Gwangju Design Biennale remains lopsided towards a few countries, or a small number of Asian and Western countries advanced in design, e.g. Korea, China, Japan, the US, the UK and Italy. Fourth,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characterizes the Gwangju Design Biennale. In particular, Asian design exhibits are comprised of traditional and modern products carrying Asian value. Given biennial exhibitions vary with directors every two years, the present analysis framework highlights the foregoing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This paper is worth noting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wangju Design Biennales up to 2015. The present findings will serve as the reference data for further studies on improvement measures for addressing relevant challenges. Hopefully, the present study may lay the foundation for diversified analyses and discourses on the Gwangju Design Biennale.
      번역하기

      Up to the sixth Gwangju Design Biennale held in 2015, a decade passed since its debut in 2005 with the 7th scheduled to arrive in 2017. As the first comprehensive design biennale in Asia,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presented a wide range of desig...

      Up to the sixth Gwangju Design Biennale held in 2015, a decade passed since its debut in 2005 with the 7th scheduled to arrive in 2017. As the first comprehensive design biennale in Asia,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presented a wide range of design-related exhibitions and served as an avant courier for other newly emerging design exhibitions or biennales. Still, given not a few challenges and critical concerns have arisen over its operation for the past decade,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the Gwangju Design Biennale by analyzing it across the boar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foregoing, the present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with a 10-year history by analyzing its art works, artists and curators.
      The present analysis is limited to the catalogues published until now, on the grounds that they convey the intents of planning, art works and artists from objective perspectives and effectively function as another media for exhibitions. Thus, the Gwangju Design Biennale is analyzed here within a finite analysis framework via catalogues.
      Among other component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art works, artists and curators are analyzed in that those three are the fundamental and minimal components constituting its exhibitions. The art works displayed at main exhibitions are analyzed in light of their design categories and how such categories are manifested per exhibition. The artist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nationalities and types of participants, e.g. individuals, enterprises, organizations, studios, etc. The nationalities or the countries of origin are sorted out relative to the different types of participants. In reference to the categories, the trends in the types of participant artists over the six biennials are identified. As for curators, first, the composition of curators per biennial is analyzed, while their nationalities and schools are examin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of them.
      The present analysis framework involving the artists, art works and curators highlights four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First,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focused on designer artists. Despite its artist-oriented policy, the Gwangju Design Biennale seems to have focused on a few high-profile designers,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confined structure of the country’s design industry. Second, exhibitions are oriented towards things in the name of art works. Unlike previous design exhibitions, and despite its motto advocating a comprehensive design exhibition, the Gwangju Design Biennale has lately exposed a bias towards product design. Third, the Gwangju Design Biennale remains lopsided towards a few countries, or a small number of Asian and Western countries advanced in design, e.g. Korea, China, Japan, the US, the UK and Italy. Fourth,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characterizes the Gwangju Design Biennale. In particular, Asian design exhibits are comprised of traditional and modern products carrying Asian value. Given biennial exhibitions vary with directors every two years, the present analysis framework highlights the foregoing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s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This paper is worth noting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wangju Design Biennales up to 2015. The present findings will serve as the reference data for further studies on improvement measures for addressing relevant challenges. Hopefully, the present study may lay the foundation for diversified analyses and discourses on the Gwangju Design Bienna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2005년도에 개최된 1회부터 2015년도에 개최된 6회까지 10년이 걸친 기간 동안 이루어져 왔으며 다가오는 2017년에 7번째 전시 개최를 앞두고 있다. 지금까지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아시아권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종합 디자인 비엔날레로 현재 설립되고 있는 다른 디자인 전시나 관련 비엔날레들의 선구자로서 다양한 디자인 관련 전시들을 선보였다. 그러나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운영되어 오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과 비판점들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비엔날레의 전반적인 분석을 통한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출발하였으며 1회부터 6회까지의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작품 및 작가, 큐레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전시가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있어 그 대상을 도록으로 한정하였다. 도록은 발행에 있어 객관성을 띄고 기획 의도와 작품, 작가를 한곳에서 보여줌과 동시에 전시의 또 다른 매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판단 아래에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분석에 있어서 도록을 통한 일정한 기준의 분석틀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엔날레의 요소 중 작품과 작가, 큐레이터를 그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는 전시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자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작품의 경우 전시 중 본 전시에 해당하는 작품들로써 작품들이 어떠한 디자인 범주에 속하고 있었으며, 각 전시에 따라 이러한 범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작가의 경우 참여 형태와 국적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참여 형태의 경우 개인과 기업, 단체, 스튜디오, 기타의 경우로 나누었으며 국적은 이러한 참여 형태에 따라 출신 국가로 나누었다.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회별로 작가들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도 알아보았다. 큐레이터의 경우 먼저 각 회별로 큐레이터들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고 각 큐레이터에 영향을 끼친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해 큐레이터들의 출신 학교와 국적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와 작품, 큐레이터에 대한 분석 틀을 통해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4가지 특성을 알아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작가 디자이너 위주로 전시가 진행되어 왔다는 것이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작가 중심의 비엔날레 형식을 디자인 전시에 차용하였지만 한국의 디자인 산업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일부 유명 디자이너에게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번째로는 사물 위주의 작품들로 전시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기존의 디자인 전시들과 달리 종합 디자인 전시를 모토로 삼은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였지만 최근 전시에서는 다시금 제품 디자인 위주의 전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세 번째로는 일부 국가에 편향된 형태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참가한 국가들은 몇몇 디자인 선진국들에 편중되어 있었는데 이들 국가는 아시아권의 한국, 중국, 일본과 서구권의 미국, 영국, 이탈리아였다.
      네 번째로는 전통과 현대가 혼재되는 모습을 보였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아시아 디자인과 관련된 작품들은 아시아적 가치를 주제로 한 전통적인 제품들과 현대적 제품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감독에 따라 전시의 모습이 크게 바뀌는 비엔날레의 형식상 회별 전시의 모습은 달랐지만 분석 틀을 통해 조사한 결과,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전시들은 위와 같은 성격을 띠고 있었다.
      본 논문은 2015년에 개최된 6회까지의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전시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차후에 후속 연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본 논문을 시발점으로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과 담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현재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2005년도에 개최된 1회부터 2015년도에 개최된 6회까지 10년이 걸친 기간 동안 이루어져 왔으며 다가오는 2017년에 7번째 전시 개최를 앞두고 있다. 지금까지 광주 ...

      현재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2005년도에 개최된 1회부터 2015년도에 개최된 6회까지 10년이 걸친 기간 동안 이루어져 왔으며 다가오는 2017년에 7번째 전시 개최를 앞두고 있다. 지금까지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아시아권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종합 디자인 비엔날레로 현재 설립되고 있는 다른 디자인 전시나 관련 비엔날레들의 선구자로서 다양한 디자인 관련 전시들을 선보였다. 그러나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운영되어 오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과 비판점들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비엔날레의 전반적인 분석을 통한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출발하였으며 1회부터 6회까지의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작품 및 작가, 큐레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전시가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있어 그 대상을 도록으로 한정하였다. 도록은 발행에 있어 객관성을 띄고 기획 의도와 작품, 작가를 한곳에서 보여줌과 동시에 전시의 또 다른 매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판단 아래에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분석에 있어서 도록을 통한 일정한 기준의 분석틀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엔날레의 요소 중 작품과 작가, 큐레이터를 그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는 전시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자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작품의 경우 전시 중 본 전시에 해당하는 작품들로써 작품들이 어떠한 디자인 범주에 속하고 있었으며, 각 전시에 따라 이러한 범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작가의 경우 참여 형태와 국적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참여 형태의 경우 개인과 기업, 단체, 스튜디오, 기타의 경우로 나누었으며 국적은 이러한 참여 형태에 따라 출신 국가로 나누었다.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회별로 작가들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도 알아보았다. 큐레이터의 경우 먼저 각 회별로 큐레이터들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고 각 큐레이터에 영향을 끼친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해 큐레이터들의 출신 학교와 국적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와 작품, 큐레이터에 대한 분석 틀을 통해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4가지 특성을 알아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작가 디자이너 위주로 전시가 진행되어 왔다는 것이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는 작가 중심의 비엔날레 형식을 디자인 전시에 차용하였지만 한국의 디자인 산업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일부 유명 디자이너에게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번째로는 사물 위주의 작품들로 전시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기존의 디자인 전시들과 달리 종합 디자인 전시를 모토로 삼은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였지만 최근 전시에서는 다시금 제품 디자인 위주의 전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세 번째로는 일부 국가에 편향된 형태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참가한 국가들은 몇몇 디자인 선진국들에 편중되어 있었는데 이들 국가는 아시아권의 한국, 중국, 일본과 서구권의 미국, 영국, 이탈리아였다.
      네 번째로는 전통과 현대가 혼재되는 모습을 보였다.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아시아 디자인과 관련된 작품들은 아시아적 가치를 주제로 한 전통적인 제품들과 현대적 제품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감독에 따라 전시의 모습이 크게 바뀌는 비엔날레의 형식상 회별 전시의 모습은 달랐지만 분석 틀을 통해 조사한 결과,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전시들은 위와 같은 성격을 띠고 있었다.
      본 논문은 2015년에 개최된 6회까지의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전시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차후에 후속 연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본 논문을 시발점으로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과 담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3
      • 1.3. 선행연구 검토 8
      • 2.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이해 10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3
      • 1.3. 선행연구 검토 8
      • 2.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의 이해 10
      • 2.1.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개최 배경 10
      • 2.2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개요 13
      • 3.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분석 22
      • 3.1. 작품 분석 22
      • 3.1.1. 디자인 범주 22
      • 3.1.2. 디자인 하위범주 25
      • 3.2. 작가 분석 32
      • 3.2.1. 참여 형태 32
      • 3.2.2. 참가자 국적 37
      • 3.2.3. 전시 참여 횟수 44
      • 3.3. 큐레이터 분석 45
      • 4.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전시 특성 52
      • 4.1. 작가 디자이너 중심의 전시 52
      • 4.2. 사물 위주의 디자인 전시 56
      • 4.3. 일부 국가에 편향된 전시 62
      • 4.4. 전통과 현대가 혼재된 전시 70
      • 5. 결론 76
      • 참고문헌 79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