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Replacing Sucrose with Different Sugar Substa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33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28.4~29.5%)은 유사하였고, 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의 수분 함량(31.6~32.3%)은 높게 나타났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당의 종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고당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아로니아잼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한 당류의 종류와 관계없이 아로니아잼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미 및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이 비교적 높은 관능적인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리스리톨은 색, 맛, 질감, 향미,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잼을 제조할 때 자일리톨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당류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sugar substances (oligosaccharide, xylitol and erythritol) as alternative ingredients to sucros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were evaluated. The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did not influence...

      The effects of sugar substances (oligosaccharide, xylitol and erythritol) as alternative ingredients to sucros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were evaluated. The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did not influence the pH, total acidity and sugar contents of the jam. The sucrose-containing jam showed the highest spreadness, while the oligosaccharide and erythritol-containing jams showed lower spreadness. In the chromaticity determination, the sucrose-containing jam showed the lowest L, a and b values compared with the other sweetene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 contents in the jams. The antioxidant activity indicated b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as over 70%.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e xylitol-containing jam to have the best preference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xylitol may be a good sugar substance in aronia ja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희, "흑마늘잼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632-1639, 2008

      2 김미현, "해당화 열매 첨가 사과잼 제조 및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367-380, 2012

      3 나연미, "프락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토마토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27-232, 2012

      4 최일숙, "품종을 달리한 오디 추출물의 Resveratrol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한국원예학회 30 (30): 301-307, 2012

      5 최윤상, "자일리톨과 솔비톨로 설탕을 대체한 인절미의 물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825-831, 2013

      6 송인선, "올리고당을 첨가한 호박잼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279-286, 2004

      7 정예선, "에리스리톨을 첨가한 저열량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606-1611, 2009

      8 최한석,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7 (37): 574-578, 2005

      9 김진숙, "딸기 첨가 수준을 달리한 딸기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725-731, 2013

      10 이근종, "당알콜 첨가 호박잼 저장 중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4 (14): 123-130, 2004

      1 김민희, "흑마늘잼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632-1639, 2008

      2 김미현, "해당화 열매 첨가 사과잼 제조 및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367-380, 2012

      3 나연미, "프락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토마토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27-232, 2012

      4 최일숙, "품종을 달리한 오디 추출물의 Resveratrol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한국원예학회 30 (30): 301-307, 2012

      5 최윤상, "자일리톨과 솔비톨로 설탕을 대체한 인절미의 물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825-831, 2013

      6 송인선, "올리고당을 첨가한 호박잼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279-286, 2004

      7 정예선, "에리스리톨을 첨가한 저열량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606-1611, 2009

      8 최한석,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7 (37): 574-578, 2005

      9 김진숙, "딸기 첨가 수준을 달리한 딸기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725-731, 2013

      10 이근종, "당알콜 첨가 호박잼 저장 중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4 (14): 123-130, 2004

      11 박민경, "당알코올을 첨가한 딸기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44-49, 2007

      12 김문정, "당과 펙틴이 저당 머루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06-211, 2008

      13 조원준, "국내산 블루베리의 품종별 성분분석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잼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19-323, 2010

      14 김재욱, "국내 냉동유자로 제조한 유자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197-201, 2006

      15 Kim H, "The effectof citric acid and enzyme inactivation treatment on C3Gstabil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fruit jam" 50 : 82-86, 2012

      16 Byun SH, "Stud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rythritol, substitute sugar" 30 : 1089-1093, 1997

      17 Strigl AW, "Qualitative and quantitativeanalysis of the anthocyanins in black chokeberries(Aronia melanocarpa Michx Ell. )by TLC, HPLC, andUV/VIS-spectrometry" 91 : 177-180, 1995

      18 Girones-Vilaplana A, "Phytochemical profile of ablend of black chokeberry and lemon juice with cholinesterase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potential" 134 : 2090-2096, 2012

      19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017-1918, 1990

      20 Giusti MM, "Handbook of Food AnalyticalChemistry" John Wiley & Sons 19-31, 2001

      21 Slimestad R,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 Aroniamelanocarpa" 18 : 61-68, 2005

      22 Goossen J, "Erythritol: a new sweetener" 62 : 44-47, 1996

      23 Cock P, "Erythritol : Functionality in noncaloricfunctional beverages" 74 : 1281-1289, 2002

      24 Goncalves NC, "Effect of xylitol : sorbitol on fluoride enameldemineralization reduction in situ" 34 : 662-667, 2006

      25 Byun SH, "Dental caries suppression effect andother physiological properties of erythritol" 30 : 446-449, 1998

      26 Kulling SE, "Chokeberry(Aronia melanocarpa)-Areview on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nd potential healtheffects" 74 : 1625-1634, 2008

      27 Wu X, "Characterization of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riv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52 : 7846-7856, 2004

      28 Kawaguchi M, "Changesin intestinal condition, fecal microflora and composition of rectal gas after administr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lactulose at different doses" 12 : 57-67, 1993

      29 Modler HW, "Bifidogenic factors-sources, metabolism andapplications" 4 : 383-407, 1994

      30 Modler HW, "Bifidobacteria and bifidogenic factors" 23 : 29-41, 1990

      31 Cheung LM, "Antioxidant activity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81 : 249-255, 2003

      32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3 Bridle P, "Anthocyanins as natural foodcolors-selected aspects" 58 : 103-109, 1997

      34 Singleton VL,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299 : 152-178, 1999

      35 Woisky R, "Analysis of propolis : some parameters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37 : 99-105, 1998

      36 Kim JU, "Agricultural Food Processing(in Korean)" Munundang 357-375,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