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問題中心)國文法硏究 : 現代文法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128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東華文化社, 단기4293[1960]

      • 발행연도

        196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95.75 판사항(18)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問題中心)國文法硏究 : 現代文法編 / 李仁模 著.

      • 형태사항

        329 p. : 삽도 ; 21 cm.

      • 일반주기명

        사대 국문법 학설 비교 검토.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앞풀이)
      • 1. 문법학의 해명 = 11
      • (1) 문법학의 의의 = 11
      • (2) 문법학의 종류 = 11
      • 목차
      • Ⅰ. 서론(앞풀이)
      • 1. 문법학의 해명 = 11
      • (1) 문법학의 의의 = 11
      • (2) 문법학의 종류 = 11
      • (3) 문법학의 부문 = 13
      • (4) 문법학 연구의 태도 = 15
      • 2. 문과 단어(월과 낱말) = 16
      • (1) 문 (월) = 16
      • (2) 단어 (낱말) = 16
      • Ⅱ. 음운론 (소리갈)
      • 1. 음운과 음성(말소리), 음절(낱내) = 18
      • (1) 음운과 음성(말소리) = 18
      • (2) 음절 (낱내) = 16
      • 2. 음운의 종류 = 20
      • (1) 모음과 자음(홀소리와 닿소리) = 20
      • (2) 초성 · 중성 · 종성 = 22
      • (3) 구음과 비음 (입소리와 코소리) = 23
      • (4) 유성음과 무성음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 = 23
      • (5) 단음과 중음, 반모음 (홀소리와 겹소리, 반홀소리) = 25
      • ○ 모음 삼각형과 모음사각형(홀소리 세모꼴과 홀소리 네모꼴) = 26
      • (6) 단일음운과 복합음운 = 30
      • (7) 양성모음 ·음성모음 ·중성모음
      • (밝은 홀소리 ·사이홀소리 ·어두운 홀소리) = 32
      • (8) 평음 ·농음 ·기음 · 탁음(예사소리 · 된소리 · 거센소리 · 흐린소리) = 34
      • (9)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훈민정음"의 오음 (다섯 소리) = 34
      • (10) 양순음 · 치조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후두음 (두입술소리 · 이틀소리 · 센입천장소리 · 여린입천장소리 · 목구멍 소리) ― 현대 음성학의 오음 (다섯 소리) = 36
      • (11) 설전음 · 설측음 · 유음 · 파열음 · 마찰음 · 파찰음 · 통비음 (굴림소리 · 혀옆소리 · 흐름소리 · 터짐소리 · 갈이소리 · 터짐갈이 소리 · 코소리) = 36
      • (12) 전설모음 · 중설모음 · 후설모음 (앞홀소리 · 가운데소리 · 뒷홀소리) = 38
      • (13) 원순모음과 장순모음 (둥근입술소리와 펴인입술소리) = 38
      • (14) 음운 조류의 일람 (말소리 갈래의 보리틀) = 39
      • 3. 음운 체계 = 40
      • (1) 모음 체계와 자음 체계 = 40
      • (2) 음운의 어감상의 대립 = 40
      • 4. 음운현상 = 45
      • (1) 음운현상의 종류의 개관과 언어 연구의 두 관점 - 공시적 · 통시적 = 45
      • (2) 동화작용 (소리의 닮음) = 46
      • ① 모음 조화 (홀소리 어울림) = 47
      • ② 수약 (사이소리되기) = 48
      • ③ 모음변이 (Umlaut) = 49
      • ④ 자음접변 (닿소리이어바뀜) = 51
      • (붙임) 외파음과 내파음 = 53
      • ⑤ 유성음화(울림소리되기) = 57
      • ⑥ 구개음화(입천장소리되기) = 58
      • ⑦ 완전동화 · 부분동화 = 61
      • ⑧ 순행동화 · 역행동화 · 역순행동화 · 상호동화 (내리닮음 · 치닮음 · 내리치닮음 · 서로닮음) = 63
      • (3) 음운의 생략 (소리의 줄임) = 67
      • (4) 말음의 변이 (받침의 달라짐) - 받침규칙(끊음 소리의 법칙) = 74
      • (5) 음운의 첨가(소리의 덧붙임) = 77
      • (6) 음운의 회피(소리의 꺼림) = 81
      • ① 두음법직 (머리소리법칙) = 82
      • ② 모음충돌 (hiatus) = 83
      • ③ 매개자음과 매개모음 = 84
      • (7) 액센트 = 88
      • Ⅲ. 형태론 (씨갈)
      • 1. 형태론의 단위(낱덩이)와 그 성분 (조각) = 93
      • (1) 형태론의 단위(낱덩이) = 93
      • (2) 어형의 분석 - 단어의 성분 (낱말의 조각) = 93
      • 어형 판별법(맞춤법 · 알아 보는 방법) = 98
      • 2. 품사 개관(씨의 대강 보기) = 102
      • (1) 품사분류와 그 정의 (씨 가름과 그 뜻매김) = 102
      • ① 품사 분류의 원리 (씨가름의 기준) = 102
      • ② 품사의 정의 (뜻매김) = 206
      • ③ 품사 분류의 방법과 태도 = 107
      • ④ 품사의 종류와 그 정의 (씨의 갈래와 그 뜻매김) = 107
      • (2) 어미 변화 - 곡용(격변화)와 활용, 기본형(자리토씨와 골바꿈, 으뜸꼴) = 118
      • ① 어간 · 어미와 그 형성(씨줄기 · 씨끝과 그 이룸) = 120
      • ② 격(case), 시제와 서법(자리때미김과 말법) = 123
      • 3. 체언의 종류[임자씨 (이름씨)의 갈래] = 123
      • (1) 체언과 그 종류[임자씨(이름씨)와 그 갈래] = 123
      • ① 명사 (이름아, 본이름씨) = 126
      • ② 대명사 (대이름씨) = 130
      • ③ 수사(셈씨, 셈이름씨) = 141
      • 4. 체언의 곡용 (격변화)과 특수조사 (도움토씨)와 = 147
      • (1) 격어미(격조사, 자리토씨)와 특수조사(도움토씨) = 147
      • (2) 감탄조사 (느낌토씨) = 154
      • 5. 용언의 종류 (풀이씨의 갈래) = 158
      • (1) 동사(움직씨)와 형용사(그림씨) 및 존재사와 잡음씨 = 158
      • (2) 정칙용언과 변칙용언 - 변칙동사 · 변칙형용사(바른풀이씨와 벗어난풀이씨 - 벗어난움직씨 · 벗어난그림씨) = 165
      • (3) 구유동사(완전동사, 자란움직씨)와 결여동사(불완전동사, 모자간움직씨) = 169
      • (4) 기본용언과 보조용언 - 본동사 · 자립형용사와 조동사 · 의존형용사(으뜸풀이씨와 도움풀이씨 - 으뜸움직씨 · 으뜸그리씨와 도움움직씨) = 172
      • (5) 완전용언과 불완전용언 - 불완전동사 불완전형용사 (갖은 풀이씨와 안갖은 풀이씨 -안갖은 움직씨 · 안갖은 그림씨) = 177
      • (6) 자동사와 타동사(제움직씨와 남움직씨) = 179
      • (7) 능동사와 피동사(제힘움직씨와 입음움직씨) = 181
      • (8) 사동사와 주동사 (하임움직씨와 스스로 움직씨) = 184
      • ○ 사동법과 피동법(하임법과 입음법) = 186
      • 6. 용언의 활용 및 경어법[풀이씨의 끝바꿈과 공대법(높임말의 법)] = 192
      • (1) 기본형 ; 기본어간과 보조어간(으뜸꼴 ; 으뜸씨줄기와 도움씨줄기) = 192
      • (2) 종결어미 · 연결어미 · 전성어미(마침법씨끝 · 이음법씨끝 · 자격법씨끝) = 196
      • 전성어미와 전성품사와의 비교(자격법씨끝과 몸바꾼씨와의 견줌) = 207
      • 중요한 어미에 대한 보충 = 212
      • (3) 경어법 (공대법, 높임말의 법) = 219
      • (4) 어미의 비교(씨끝의 견줌) = 220
      • 7. 용언의 시제(풀이씨의 때매김) = 222
      • (1) 동사 · 형용사의 시제(움직씨 그림씨의 때매김) = 224
      • (2) 현재시제 서술형의 용법(이적때매김의 베풂꼴의 쓰임) = 228
      • 8. 관형사 부사 및 접속사 = 230
      • (1) 관형사 = 230
      • (2) 부사 및 접속사 = 240
      • 9. 감탄사 (느낌씨) = 247
      • (1) 감탄사(느낌씨)와 그 종류 = 247
      • (2) 감탄사(느낌씨)의 판별 = 250
      • 10. 품사의 조성(씨의 짜임) = 252
      • (1) 품사조성의 의의(씨 짜임의 뜻) = 252
      • (2) 어근과 접사(씨뿌리와 씨가지) = 253
      • (3) ○ 원어와 파생어와 복합어, 첩어, 의성어와 의태어(순수한 홀씨와 짜인홀씨와 겹씨, 짝씨, 소리시늉말과 짓시늉말) = 263
      • 11. 품사의 전성 및 전의 (씨의 몸바꿈 및 뜻바꿈) = 174
      • (1) 품사의 전성(씨의 몸바꿈) = 274
      • (2) 품사의 전의 (씨의 뜻바꿈) = 284
      • Ⅳ. 구문론(문장론, 월갈)
      • 1. 구문론(문장론)의 단위와 문의 소재(월갈의 낱덩이와 월의 밑감) = 288
      • (1) 구문론(문장론)의 단위(월갈의 낱덩이) = 288
      • (2) 문의 소재(월의 끝감) = 288
      • 구와 절 (이은말과 마디) = 289
      • 2. 문의 성분(월의 조각) = 298
      • (1) 문의 성분과 그 종류(월의 조각과 그 갈래) = 298
      • (2) 문 성분의 상호 관련(월 조각의 서로 맺음) = 314
      • 3. 문의 구조(월의 짜임) = 313
      • (1) 문 성분의 중복(월 조각의 거듭) = 313
      • (2) 단문 · 중복문 (홑월 · 겹거듭월) = 315
      • (3) 중복문의 도표 (겹 · 거듭월의 그림표) = 317
      • 4. 문의 구둣점(월의 월점) = 320
      • (1) 의문부(물음표) = 320
      • (2) 감탄부(느낌표) = 321
      • (3) 종지부(은점) = 322
      • (4) 접합부(붙임표) = 322
      • (5) 인용부(따옴표) = 322
      • (6) 해석부(줄표) = 323
      • (7) 괄호(초생달표) = 324
      • (8) 각괄호(꺽쇠표) = 325
      • (9) 특시표(드러냄표) = 325
      • (10) 고유명사표(홀로이름씨표) = 325
      • (11) 휴식부(쉼표) = 326
      • (12) 정류부(쌍반점) = 328
      • (13) 중지부(쌍점) = 3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