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國有財産의 效率的 管理方案 硏究 = (A) Study on Method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ublic Prope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158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國有財産은 그 용도에 따라 行政財産, 保存財産 및 雜種財産으로 구분된다. 국유재산 관리제도인 國有財産法은 두 번의 제정과 한 번의 전면개정 및 여덟번의 부분개정이 있었고, 국유재산 ...

      國有財産은 그 용도에 따라 行政財産, 保存財産 및 雜種財産으로 구분된다. 국유재산 관리제도인 國有財産法은 두 번의 제정과 한 번의 전면개정 및 여덟번의 부분개정이 있었고, 국유재산 관리기관 역시 미군정천 관재처에서 임시관재총국, 관재처, 재무부 관재국, 국세청 및 지방자치단체에 委任되어 오다가 수 차례의 組織改編이 이루어진 후 현재는 財政經濟部 國庫局 國有財産課에서 國有財産業務를 總括하고 있다.
      2000年末을 기준으로 국유부동산의 총면적은 20,656㎢(62.5억평)에 달한다. 물론 도로·하천·항만 등 공공용지 5,157㎢(15.6평)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국유부동산의 총면적은 15,499㎢(46.8억평)이다.
      이러한 국유부동산을 어떻게 管理하는가에 따라서 國家·社會 全體에 큰 파급효과를 미치므로 國有財産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管理·運用하는 것은 국가의 公共目的과 國民의 福祉向上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현실에 기초하여 역사적·행태적·비교분석적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國有財産 管理에 대한 改善方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국유재산 관리정책의 개선방향은 유지·보존하는 소극적이고 피동적인 관리에서 벗어나 토지이용의 극대화를 통한 국가 재정수입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생산적 관리가 되도록 해야하며, 環境親和的이고 持續可能한 開發方案을 摸索하고 나아가 통일시대에 대비한 관리정책을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樹立하여야 한다.
      둘째, 管理實態上에서의 개선방안으로 철저한 實態調査에 의한 관리체제로의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활용도 제고방안으로 종합적 전산정보시스템을 構築하여야 하며, 무단점유 방지, 은닉재산 색출강화, 집단화·대형화를 유도하여야 하고, 대부 및 信託制度를 개선하여 國有地를 질적으로 확충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REITs를 통한 活用度를 提高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관리조직의 개선방안으로 專門知識과 經驗이 풍부한 人力과 裝備 및 관련조직을 갖추어 새로운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管理體系를 構築하여야 한다.
      다섯째, 국유재산의 전문화를 도모하여야 하는바, 그 방안으로는 국유재산관리 전문기구를 설치하는 方案을 摸索하여 독립된 國有財産 전담기구를 만들어 一貫性 있고 책임성 있는 組織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국유재산 정보 공개화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정보제도의 주지 및 전자 정보화를 활성화하여야 하며, 단순한 정보를 넘어서 정리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變化의 時代는 認識의 變化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國有財産 管理에 대한 認識도 당연히 변화되어야 한다. 固定된 認識을 벗어나 ‘어떻게’ 그리고 ‘누가’ 國有財産을 관리하는 것이 最適의 方法인지를 꾸준히 探究하여야 할 것이다.
      國有財産은 국가와 국민 그리고 우리 後孫들이 함께 共有해야 할 소중한 資源이라는 명제를 記憶하여야 할 것이다. 制度와 組織이 아무리 완벽하게 정비되었다 해도 국민들의 이해와 협조 및 그 제도와 조직을 움직이는 擔當公務員의 責任意識과 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면 國有財産의 효율적인 관리는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대국민 홍보 및 담당공무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성을 높이고 사기를 북돋우어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국유재산 관리업무에 임하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tal area State-owned(Public Property or Nation-owned)land measures approximately 20,656㎢, 15.5% of the nation's territory. Given the significance of these properties,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se properties have been emergin...

      The total area State-owned(Public Property or Nation-owned)land measures approximately 20,656㎢, 15.5% of the nation's territory. Given the significance of these properties,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se properties have been emerging as an issue of matter to enhance the nation's public welfare.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the management of these properties have been through several changes. Over the period between their dependence from Japan to the mid. of 1970, the government had focused on selling those properties then using the proceeds for the Government's purposes. Upon the amendments in State-Owned Properties Acts on Dec. 31, 1976 have introduced "State-owned Properties Management Plans" which shifted more stresses to preservation and protection though the preservation activities were limited to passive and defensive management.
      The management of these properties had met an new era when the government set up "State-owned Properties Management Special Accounting" and adopted "State-owned Properties Trust System" in 1994 to better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se properties. Upon these changes, the scope of management has broadened to increase Income from & diversifying functions of state-owned properties by efficient management and restriction abolishment's.
      However, all these efforts have not significantly enhanced the efficiencies or the economies in the management of state-owned properties or contributed to increasing public welfare.Therefore, a need for setting up a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state-owned properties has arisen to study the improvement measures in the management of state-owned properties.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thorough understanding,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state-owned properties given the on-going changes in the circumstances including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 protection, needs to increase the nation's competitiveness, changes into local autonomy and forthcoming reunification between two Koreas. An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a database of all state-owned properties in the nation, should be placed in operation so prospective lessees or buyers of properties would grab easy accesses to the information they need, which will consequently result in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properties. Also the consolidation of nation-widely-scattered small-sized such properties is another strategy to improve the utilization and the value of them as well as the efficiencies In the management. An alternative for the sales-oriented strategy for idle lands under the management by tile local governments could be leasing out the 1lands since the latter would generate income as well as Improve the utilization, preservation & protection of the lands.
      The efficiency in the management could be enhanced through achieving economy of scale when local governments and other government organizations share their offices. Profit-oriented management mind is another factor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state-owned properties as it would ultimately lead to the increase in public welfare by budget cuts.Management of state-owned properties requires a great deal of expertise and efficiencies thus need sound Infrastructure including appropriate organizations and qualified personnel with expertise in management, disposition,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real properties. Building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MOFE and trustees is another premise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state-owned properties.
      Last but not least, the current de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in which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properties In the area, should be converted into a centralized system. Furthermore, the utmost efficiency could be achieved when a government organization with experience and expertise in the management & disposition of real properties, preferably state-owned properties could be converted into a specialized state-owned properties management company and assume the fun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목차 = ⅰ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2
      • 국문요약
      • 목차 = ⅰ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2
      • 第2章 國有財産 管理의 理論的 背景 = 5
      • 第1節 國有財産 管理制度의 淵源 및 國有財産法 = 6
      • 1. 國有財産 管理 制度의 淵源 = 6
      • 2. 國有財産法의 制定 및 主要改正 略史 = 7
      • 第2節 國有財産의 意義와 種類 = 10
      • 1. 國有財産의 意義 = 10
      • 2. 國有財産의 種類 = 11
      • 第3節 國有財産 管理 및 管理機關 = 18
      • 1. 國有財産 管理의 現況 = 18
      • 2. 國有財産 管理의 內容 = 21
      • 3. 國有財産의 管理機關 = 22
      • 第3章 外國의 國有財産 管理制度 = 30
      • 第1節 美國의 國有財産 管理制度 = 30
      • 1. 國有財産의 現況 = 30
      • 2. 國有財産法制 = 30
      • 3. 國有財産의 管理組織 = 31
      • 4. 國有財産 管理政策 方向 = 31
      • 5. 國有財産 管理內容 = 31
      • 第2節 日本의 國有財産 管理制度 = 32
      • 1. 國有財産의 現況 = 32
      • 2. 國有財産法制 = 33
      • 3. 國有財産의 管理組織 = 33
      • 4. 國有財産 管理政策 方向 = 34
      • 5. 國有財産 管理內容 = 34
      • 第3節 프랑스 = 36
      • 1. 國有財産의 現況 = 36
      • 2. 國有財産法制 = 36
      • 3. 國有財産의 管理組織 = 37
      • 4. 國有財産 管理政策 方向 = 37
      • 5. 國有財産 管理內容 = 38
      • 6. 委託管理機關 = 38
      • 第4節 獨逸 = 39
      • 1. 國有財産의 現況 = 39
      • 2. 國有財産法制 = 40
      • 3. 國有財産의 管理組織 = 40
      • 4. 國有財産 管理政策 方向 = 41
      • 5. 國有財産 管理內容 = 42
      • 6. 委託管理機關 = 42
      • 第5節 綜合的 檢討 = 43
      • 1. 국유재산의 현황 = 43
      • 2. 국유재산법제 = 43
      • 3. 국유재산관리조직 = 44
      • 4. 국유재산 관리정책 방향 = 44
      • 5. 국유재산 관리내용 = 45
      • 6. 위탁관리기관 = 46
      • 第4章 國有財産 管理의 問題點 및 改善方案 = 47
      • 第1節 國有財産 管理의 問題點 = 47
      • 1. 管理政策의 問題點 = 48
      • 2. 管理實態上의 問題點 = 48
      • 3. 活用度面에서의 問題點 = 49
      • 4. 管理組織의 問題點 = 52
      • 5. 管理業務의 專門性 缺如 = 53
      • 6. 情報公開의 未洽 = 54
      • 第2節 國有財産 管理의 改善方案 = 55
      • 1. 管理政策의 改善方向 = 55
      • 2. 管理實態上의 改善方案 = 59
      • 3. 活用度 提高 方案 = 59
      • 4. 管理組織의 改善方案 = 67
      • 5. 管理의 專門化 方案 = 74
      • 6. 情報公開制度 活性化 方案 = 76
      • 第5章 結論 = 79
      • 參考文獻 = 81
      • 表目次 = 86
      • Abstract =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