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유형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학습자의 주제중심어적 특성 발달 = Topic-prominenc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language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8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language development of topic-prominent characteristics focused on subject ellipsis, topic markers 'un/nun', and double-nominative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ype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language development of topic-prominent characteristics focused on subject ellipsis, topic markers 'un/nun', and double-nominative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ype of language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sult supports language transfer or universal grammar. To conduct an experiment, the learner‘s writing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beginning learners under six months and advanced learners over eighteen months who came from China and America, and ten Korean native speakers. They watched a silent film named "Mr. Bean", then wrote a story about the film. As a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subject ellipsis, topic markers 'un/nun', and double-nominative construction appeared as same with native Korean speakers in spite of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the spending time of learning Korean.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learners showed strong use of topic prominent characteristics no matter their native language at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These results support the view of universal gramm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수, "현대 한국어 문법 연구의 개관 개정판" 한국문화사 38-41, 1998

      2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분석-주제 개념의 새로운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3 이선진,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주제중심어적 특성 습득 양상" 경희대학교 2010

      4 최수영, "주제화와 주격조사 -조사 ‘는’과 ‘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 (20): 233-250, 1984

      5 김미월, "주어생략문제에 대하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67 : 48-54, 2010

      6 이남순, "주격 중출문의 통사 구조" 국어국문학회 (93) : 87-115, 1985

      7 채완, "조사 ‘는’의 의미" 국어학회 4 : 93-113, 1976

      8 고야나기 가오루, "일본어 교사를 위한 새로운 언어습득개론" 한국문화사 2007

      9 강명윤, "이중주격구문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한국어학회 4 (4): 117-139, 1996

      10 유형선, "이중주격 구문의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 In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717-731, 1999

      1 서정수, "현대 한국어 문법 연구의 개관 개정판" 한국문화사 38-41, 1998

      2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분석-주제 개념의 새로운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3 이선진,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주제중심어적 특성 습득 양상" 경희대학교 2010

      4 최수영, "주제화와 주격조사 -조사 ‘는’과 ‘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 (20): 233-250, 1984

      5 김미월, "주어생략문제에 대하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67 : 48-54, 2010

      6 이남순, "주격 중출문의 통사 구조" 국어국문학회 (93) : 87-115, 1985

      7 채완, "조사 ‘는’의 의미" 국어학회 4 : 93-113, 1976

      8 고야나기 가오루, "일본어 교사를 위한 새로운 언어습득개론" 한국문화사 2007

      9 강명윤, "이중주격구문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한국어학회 4 (4): 117-139, 1996

      10 유형선, "이중주격 구문의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 In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717-731, 1999

      11 임동훈, "이중 주어문의 통사 구조"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 : 31-66, 1997

      1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37

      13 임홍빈,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 태학사 2005

      14 김정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5 이정민, "언어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3

      16 김기혁, "언어유형론: 형태론과 통사론" 보고사 2009

      17 김기혁, "언어 범주와 유형: 이론과 응용" 소통 2008

      18 송현주, "생략된 주어가 있는 문장 처리에 담화특출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9 (19): 383-400, 2007

      19 장미라, "문장 구조 중심의 한국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2008

      20 임홍빈, "국어의 주제화 연구" 서울대학교 1972

      21 성기철, "국어의 주제 문제" 한글학회 (188) : 65-90, 1985

      22 서정수, "국어의 이중 주어 문제" 국어국문학회 (52) : 1-28, 1971

      23 이관규,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1999

      24 남기심, "국어 문법의 탐구1 -국어 통사론의 문제" 태학사 2001

      25 성광수, "격표현과 조사의 의미" 월인 1999

      26 조선희, "pro-drop 매개변인과 한국학생의 영어구문 습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0

      27 Fuller, J. W., "Topic-prominence in interlanguage" 37 (37): 1-17, 1987

      28 Jin,H.G, "Topic-prominence and subject-prominence in L2 acquisition: Evidence of English-to-Chinese typological transfer" 44 (44): 101-122, 1994

      29 Sasaki, M ., "Topic prominence in Japanese EFL student's existential constructions" 40 (40): 337-368, 1990

      30 Jung,E.H, "Topic and subject prominence in interlanguage development" 54 (54): 713-738, 2004

      31 Xiao,Y, "The syntactic development of school-age Chinese-speaking children learning English" 2 : 221-254, 2002

      32 Li, C., "Subject and topic: A new typology of language, In Subject and Topic" New York: Academic Press 457-489, 1976

      33 박병수, "On the Double object constructions" 한국언어학회 6 (6): 91-113, 1981

      34 김정태, "Null Subjects in the Language Learner’s Initial Syntax" 한국응용언어학회 19 (19): 2-40, 2003

      35 Rutherford, W,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transfer, In Language Transfer in Language Learning" Rowley, MA: Newbury House 358-470, 1983

      36 Shin. J. S, "L1 Influenc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01). L1 Influenc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Topic-prominence in Korean EFL Learners' Interlanguage Grammar" 8 (8): 1-12, 2001

      37 Yom,H.I, "Implications of Korean Topic Prominence and English Subject Prominence i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15 (15): 87-106, 1999

      38 박휴용, "Double Construction of Korean Subject Case-markers: How Do Japanese, Spanish, and English Speakers Learn it Differently?" 한국응용언어학회 24 (24): 77-99, 2008

      39 Schachter, J., "Discourse functions and language transfer" 19 : 1-12, 1979

      40 Yuan,B, "Acquisition of base-generated topics by English-speaking learners of Chinese" 45 (45): 567-603, 1995

      41 Heubner, T,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cquisition of English" Ann Arbor, MI: Koronma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