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朝鮮前期 鄕藥集成方의 간행과 서지학적 특징 = The Publicatio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During Early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2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a domestic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were reviewed from 3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it is the bibliographical system approach to Hyangyak Jipseongbang for some circumstances related to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Second, i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printing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the remaining Hyangyak Jipseongbang. Particularly, the period of publ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value of a book. In this respect, most of the extant early-Joseon editions of Hyangyak Jipseongbang seem to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ruling years of King Sung Jong. Those editions are expected to have distinctive meaning from other copied editions of the 17th century. Last, it is bibliographical orignal analysis of Hyangyak Jipseongbang.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Vol. 49 through 51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in an attempt to help understand the textual bibliography and composition system of exhibiting edi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언
      • Ⅱ.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간행관련기록
      • Ⅲ. 조선전기 간본 향약집성방의 현황과 형태적 특징
      • Ⅳ. 조선전기 간본 향약집성방의 내용적 특징
      • Abstract
      • Ⅰ. 서언
      • Ⅱ.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간행관련기록
      • Ⅲ. 조선전기 간본 향약집성방의 현황과 형태적 특징
      • Ⅳ. 조선전기 간본 향약집성방의 내용적 특징
      • Ⅴ. 결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3 "한국고전번역원"

      4 "조선왕조실록"

      5 "유교넷"

      6 "문화재청"

      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 유호동, "국역향약집성방 제3책"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5

      9 金信根, "韓醫藥書攷" 서울대출판부 41-81, 1987

      10 金斗鍾, "韓國醫學史" 탐구당 216-219, 1981

      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3 "한국고전번역원"

      4 "조선왕조실록"

      5 "유교넷"

      6 "문화재청"

      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 유호동, "국역향약집성방 제3책"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5

      9 金信根, "韓醫藥書攷" 서울대출판부 41-81, 1987

      10 金斗鍾, "韓國醫學史" 탐구당 216-219, 1981

      11 김중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한국서지학회 (35) : 183-229, 2006

      12 이인영, "淸芬室書目" 보련각 1968

      13 三木榮, "朝鮮醫書誌" 學術圖書刊行會 17-25, 1972

      14 옥영정, "元刊本의 조선간행과 유통" 2009

      15 이경록,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대한의사학회 20 (20): 225-262, 2011

      16 김남일, "『鄕藥集成方』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87 : 195-213, 1999

      17 안상우, "『鄕藥集成方』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한의학연구원 2001

      18 강연석, "『鄕藥集成方』의 鄕藥醫學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18 (18): 277-297, 2005

      19 김홍균, "『鄕藥集成方』과 『醫林撮要』의 比較考察" 한국의사학회 14 (14): 3-24, 2001

      20 송지청, "『鄕藥集成方』 引用書인 『集成』에 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4 (24): 187-19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