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T 융합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건설 융·복합기술 적용기업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919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학협동과정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Impact of an IT convergence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 focused on the companies applying interdisciplinary IT convergence innovations of their organizations

      • 형태사항

        viii, 218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상옥
        참고문헌: p. 168-190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진입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혁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과거 인류가 겪...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진입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혁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과거 인류가 겪어온 3번의 산업혁명시대의 변화보다 현재의 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사회에 주는 영향으로 변화되는 속도가 더욱 빠르기 때문에 기업은 더 이상 기존 체계 유지로는 생존할 수 없으며 기업 내외부적으로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가치 창출을 할 수 있는 기술 혁신과 그 바탕이 되는 IT융합이 더욱 주목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 내 타 업종간 기술융합으로 새로운 산업모형을 구성하는 IT융합모형과 사물인터넷(IoT) 혁신 논의를 중심으로 기업의 IT융합혁신에 따른 기업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술혁신이론을 바탕으로 기업 기술 혁신의 동인을 설명하고 기업의 성과측면에서 기술혁신과의 영향관계와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기업 혁신을 논의할 때 거론되는 혁신확산이론 (Innovation Diffusion Theory), 혁신수용모형(Innovation Adoption Curve)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특히 기업 창출 성과로서 고객만족도, 재무 및 생산공정에 대한 성과 측면을 주목하면서 이에 영향을 주는 기업 내·외부 IT혁신역량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기업의 IT혁신역량을 특허활동, R&D 투자 등으로 한정하였고 이와 관련된 기업 성과도 재무적 측면에서만 고려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 역량을 내부 업무 수행 측면, 외부 기관과의 협력 측면, 전략 수립 측면으로 상세 분류하여 분석하고 기업 성과 측정에서도 재무성과 뿐만 아니라 기업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 생산공정 프로세스 향상도 기업 성과로 분류하여 실증 분석한 점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다. 기업의 혁신 역량을 다양한 측면으로 상세 분류하고 이를 기반한 기업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정책적 함의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로서 미래창조과학부, 브랜드 스탁, 한국은행, 기업별 공정통계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으로는 아파트 브랜드를 보유한 19개 건설 대기업으로 하였다. 기본적 방법론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을 위해 Box Jenkins모형, 소위 ARIMA (Auto 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IT융합혁신 역량을 대표하는 업무효율 IT지수, 기업협업 IT지수, 전략경영 IT지수의 향상은 기업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 기업의 재무적 성과 및 기업 생산공정프로세스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정의하였다. 첫째, 기업은 기업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내부인력의 IT융합혁신 역량 강화 , IT혁신 투자 재원 확보 및 이를 전반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업의 IT혁신역량 확보 전략은 내부 IT인력 확보와 IT융합혁신이 기업 내 잘 수용되는 환경을 조성시키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이에 기업은 4차산업 혁명시대의 IT융합 요구와 자발적 경쟁력 확보 요구에 부응하고자 우선적으로 IT시스템, 프로세스, 거버넌스 및 이를 활용 운영할 수 있는 전문 IT조직 및 인력에 대한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 내부적 혁신 측면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IT융합 혁신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외부기관과의 IT융합관계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야 한다. 기업은 기업간 IT융합 관점의 기술 혁신을 도모할 역량을 갖추고 이를 외부기관에 적극적으로 피력하여 상호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더불어 기업의 CEO는 IT 융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업 전반적으로 확산 시키려는 추진의지가 필요하다. 기업의 CEO는 기업 내 IT융합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널리 퍼질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고 성숙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기업 내부적으로 IT융합 연구비 재원에 대한 세제 혜택 제공 및 관련 행정 비용을 최소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부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종 산업 간 융합을 통한 신산업, 상품 및 서비스라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각 산업별 상호협력에 저해요소가 되는 규제나 정책에 대하여 다시 검토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 주요 화두인 기업의 IT융합 역량과 이에 따른 기업 경영성과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향후 기업의 IT융합역량을 보다 포괄적으로 분류 및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IT융합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안과 함께 기업 경영성과와의 상호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1
      • 제1절 연구 목적.....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7
      • 제3절 논문 구성.....8
      • 제1장 서론.....1
      • 제1절 연구 목적.....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7
      • 제3절 논문 구성.....8
      • 제2장 연구 배경.....10
      • 제1절 4차 산업혁명.....10
      • 제2절 IT융합 현황.....26
      • 1. IT융합 개념 및 유형.....26
      • 2. IT융합 기술 및 정책.....33
      • 제3절 건설 IT 융합 현황.....39
      • 1. 건설 IT 융합 산업.....39
      • 2. 스마트홈.....48
      • 제3장 이론적 검토 및 가설.....62
      • 제1절 혁신이론 검토.....62
      • 1. 기술 혁신 이론.....62
      • 2. 기술 혁신 확산 이론.....74
      • 3. 기술 혁신 수용 이론.....83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87
      • 1. IT혁신 역량.....87
      • 2. IT활용 성과.....96
      • 제3절 연구 모형 및 가설.....99
      • 1. 연구 모형.....99
      • 2. 가설 설정.....102
      • 제4장 연구 설계.....108
      • 제1절 변수 정의.....108
      • 제2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112
      • 1. 자료 수집.....112
      • 2. 분석 방법.....114
      • 제5장 분석 결과.....115
      • 제1절 기초통계분석 및 정규성 검증.....115
      • 제2절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공선성.....118
      • 제3절 회귀분석.....123
      • 제4절 TSA분석 (ARIMA).....131
      • 제5절 분석결과정리.....155
      • 제6장 결론.....159
      • 제1절 요약.....159
      • 제2절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162
      • 제3절 연구의 한계.....166
      • 참고문헌.....168
      • ABSTRACT.....19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공래, "“기술혁신 이론 개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79, 2000

      2 이진주, "혁신이론의 범위와 연구동향",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27(5), 1115-1139, 1998

      3 김병운,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경제규제와 법, 9(1), 215-232, 2016

      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 지학과, 2007

      5 김경래, "“건설산업의 성과측정 시스템”",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2006

      6 권오현, 변재현, "건설업 총요소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산업 연구원, 2013

      7 박명호, "“IT산업이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기술혁신학회, 제11권 제2호, , pp.314-334, 2008

      8 김창은, 정광열, "“한국제조기업의 혁신홛동과 방향”", <한국설비관 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1-40, 2008

      9 김동배, 업미정, 김주섭, ""기술혁신과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10 안상희, 이민화,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한국경 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한국경영학회, 2344-2363, 2016

      1 이공래, "“기술혁신 이론 개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79, 2000

      2 이진주, "혁신이론의 범위와 연구동향",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27(5), 1115-1139, 1998

      3 김병운,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경제규제와 법, 9(1), 215-232, 2016

      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 지학과, 2007

      5 김경래, "“건설산업의 성과측정 시스템”",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2006

      6 권오현, 변재현, "건설업 총요소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산업 연구원, 2013

      7 박명호, "“IT산업이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기술혁신학회, 제11권 제2호, , pp.314-334, 2008

      8 김창은, 정광열, "“한국제조기업의 혁신홛동과 방향”", <한국설비관 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1-40, 2008

      9 김동배, 업미정, 김주섭, ""기술혁신과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10 안상희, 이민화,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한국경 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한국경영학회, 2344-2363, 2016

      11 류정순, 이순형, "계층간 사교육비 지출 불평등의 시계열 분석", 한국 사회정책, 한국사회정책학회, 194-229, 1996

      12 김동환(Kim, Dong-Hwan), "ARIMA 모형을 이용한 주택시장의 가격예측 분석", 大韓不動産學會, 대한부동 산학회지, 32(3), 277-294, 2014

      13 신영수, 장성근, "“R&D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경영학 연구 제38권 제1호, 105-132, 2009

      14 박정훈, "“정보기술 확산의 영향요인: 혁신이론 관점”",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 회지, 791-814, 2007

      15 김재원, 정병우, 장호면, 김주형, 김재준, "건설 기업성과와 정보화 투자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3(5), 139-148, null

      16 김성근, "“건설 현장의 정보기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한국 건축시공 학회,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 5권 제1호, 2005

      17 강남준, "과학기술과 인문사회과학의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 교육과 학기술부, 2008

      18 박선영(Sun-Young Park), 조만형(Man-Hyung Cho), 박현우(Hyun-Woo Park), "특허분석을 통한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 기술혁신학회지, 9(1), 1-25, 2006

      19 최성림, "“중소기업의 기업문화와 경영혁신 성과간의 관계”", 안양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 과학연구>, 제12권, p163-185, 2006

      20 고성관, "“건설산업 지식경영의 전략적 성과측정 방법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한국건설관 리학회, 한국건설관히학회 논문집, 2001

      21 김완수, "“국내 건설업체 정보화 수준 진단을 위한 지표 개발”", 건설관리 학괴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2

      22 권성훈, 홍순기, 박지현, "“기술혁신의 실패요인 분석:국내 제조업을중심으로”", 대한산업공학회,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280-286, 2010

      23 조근식, 조희진, "기술혁신의 영향요인 분석:조직의 혁신역량을 중심으 로",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 제22권 제4호, 165-195, 2013

      24 김민정(Kim, Min-jeong), 최상옥(Choi, Sang Ok), "연구직 직무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한국조직학회보, 63-92, 2016

      25 이동욱, "정부 R&D 투자와 기업 혁신활동 간의 상관관계 분석 연 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2015

      26 남숙진, 조성표, 전광학, "“불황기의 연구개발지출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로고스경영학회, 로고서 경영연구, 8(2), 1-22, 2010

      27 홍성세, "“Web 기반의 건설기업 성과측정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대한건축학회, 대 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권 제7호, 2006

      28 구철모, 최정일, "조직의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 연구, 제37권 제2호, , pp. 515-536, 2008

      29 김태구, 송두석, "ARIMA모형을 적용한 외국인 이용객 호텔객실 수 요예측모형 선정", 한국호텔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 회,15(5), 97-118, 2006

      30 이재범, 장윤희, "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 성과에 관한 연구 : 혁신 이론 관점으로", 한국경영과학회, 한국경영과학회지, 27-47, 1999

      31 김시정, 최상옥, 이희경, "“대학 R&D재정지원의 매개효과와 기술 이전성과 영향요인 연구.”", 한국행정연구, 25(2): 57-77, 2016

      32 송치웅, 오완근, "“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소비자지향성이 기술혁신에 미 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제13권, 제1호, , pp. 124-129, 2010

      33 성태경, "“기술혁신활동의 결정요인 :우리나라 제조기업과 서비스기 업의 비교분석”", 한국산업경영학회, Jorunal of Business Research, Vol. 21, No, 4, , pp. 283-304, 2006

      34 김선구, 정규언,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 향 - 코스닥 등록기업을 대상으로”", 세무와 회계저널, 2(1), 93-117, 2001

      35 김보영, 조이운, "시계열 분석 모형을 이용한 전세시장 변동에 따른 전, 세보증대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411-420, 2015

      36 노재확, 박해선,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기업 생산성에 미친 영향- 기업데이터를 이용한 총요소생산성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655-674, 2010

      37 김승호, 장수덕, 신진교, 박주홍, "“지역 산업클러스터 시스템, 흡수능력 및 혁신성과 : 대구지역 섬유 및 IT클러스터의 비교연구”", nul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