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암일기에 나타난 유희춘가옥의 건축적 추정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3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역사에서 일반 민가 조영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16세기말 조선시대 문신인 유희춘이 11년간 친필로 쓴 미암일기 중에서 객청 조영을 상세히 일기로 쓴 것을 고찰하여 당시...

      우리 역사에서 일반 민가 조영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16세기말 조선시대 문신인 유희춘이 11년간 친필로 쓴 미암일기 중에서 객청 조영을 상세히 일기로 쓴 것을 고찰하여 당시대의 사대부가의 가옥의 형태와 유희춘 가옥의 위치, 객청의 평면과 입면 등을 연구하여 16세기말 사대부 가옥의 형태를 추정 복원하고자 함이 본 논고의 목적이다. 여기서는 유희춘의 미암일기를 분석하여 유희춘 가옥의 형성과정과 일기해석을 통한 건물들의 규모를 유추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희춘의 가옥 전반을 추정 복원하고자 하였다. 비록 이러한 연구가 기록에 의한 추정에 불과하지만 그 시대를 반영하는 일기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어 당시대의 주택가옥 배치 구성 등을 알 수 있는 단초를 제공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기록속에서 건축적 요소 등을 발굴하여 고건축의 영역을 넓혀가는 작업들이 지속되어 과거의 건축이 현대에 재현되고 조화될 수 있는 방안들이 도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history f architecture, there’s few documentation remains of record about Korean traditional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restore the form of the traditional Sadaebu housing in 16th century through discussion of mi-...

      In Korea history f architecture, there’s few documentation remains of record about Korean traditional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restore the form of the traditional Sadaebu housing in 16th century through discussion of mi-am-diary. To carry out this study, It is surveyed the theoretical and field study for the Gaekcheong architecture which is part of mi-am-diary by Yuhuichun who was a civil servant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Through mi-am-diary, this study is able to estimate that the layout, floor plan, size and form of Sadaebu housing, situation of housing, the floor plan and facade of Gaekcheong. Based on the estimation, this study tried to restore Yuhuichun housing. This study is concluded that although it was estimated according to record, the mi-am-diary is meaningful in that the diary reflects the phases of the times and provided fodder for site plan composition of Sadaebu housing in 16th century. It had been formed from Anchae(main building) - Haenglangchae(annex building) - Gaekcheong(guest room) - sadang(ancestral shrine building) for 30years. This study hope that the estimate and restore method of traditional housing continues for many years. Due to the method, expect that to arrive at a solution of Traditional housing balance with contemporary archite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미암일기에 기록된 건축적 내용
      • 2.1 유희춘의 생애
      • 2.2 미암일기
      • Abstract
      • 1. 서론
      • 2. 미암일기에 기록된 건축적 내용
      • 2.1 유희춘의 생애
      • 2.2 미암일기
      • 2.3 미암일기 해석을 통한 유희춘 가옥 형성과정
      • 2.4 일기해석을 통한 유희춘 가옥
      • 3. 유희춘가옥의 추정
      • 3.1 현황조사
      • 3.2 가옥입지와 배치
      • 3.3 유희춘 객청 조영과정
      • 3.4 객청
      • 3.5 객청의 건축면적 추정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eong jeongnam, "The Spatial Composition and its Active-Utilization of Sadaebu(士大夫) house in the 16th &17th Century" 347-348, 2015

      2 Lee horyeol, "The Research on the Housing history in Forecited Joseon Dynasty" 391-392, 1992

      3 "Standard of Cultural properties repair estimate"

      4 Mokssimhoe, "Our old house(Uri Yetjip)" Jip Publishing Co 2015

      5 An donggyo, "Miamjip(眉巖集) 1st" Translation Institute of old Korean classics 2013

      6 "Miam diary in korean version"

      7 Jeong jeongnam, "Gaekcheong(客廳) in Upper-class homes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Miam diary(眉巖日記)" 131-140, 2004

      8 "Designated the control log"

      9 Lee horyeol, "A Study on the House of the Gentry (士大夫) in the late 16th Century-Centering around Ryu Hee-Choon's Diary" 1992

      1 Jeong jeongnam, "The Spatial Composition and its Active-Utilization of Sadaebu(士大夫) house in the 16th &17th Century" 347-348, 2015

      2 Lee horyeol, "The Research on the Housing history in Forecited Joseon Dynasty" 391-392, 1992

      3 "Standard of Cultural properties repair estimate"

      4 Mokssimhoe, "Our old house(Uri Yetjip)" Jip Publishing Co 2015

      5 An donggyo, "Miamjip(眉巖集) 1st" Translation Institute of old Korean classics 2013

      6 "Miam diary in korean version"

      7 Jeong jeongnam, "Gaekcheong(客廳) in Upper-class homes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Miam diary(眉巖日記)" 131-140, 2004

      8 "Designated the control log"

      9 Lee horyeol, "A Study on the House of the Gentry (士大夫) in the late 16th Century-Centering around Ryu Hee-Choon's Diary"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