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for successful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university librari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85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knowledge management appears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e of an enterprise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of the 21st century. Hence, enterprises’ interest is increas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s a practical instru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Recently, the university library is transforming rapidly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into the digital library to provide many resources of information, but confines itself to stereotypeduniform contents and temporarylimited information services. Thu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provide the knowledge information that can meet its members’ tasks and studies, and has to convert its hard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into the soft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reflecting its members’ inherent administrative experiences and know how. With respect to thi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introduce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promotes the culture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the library itself and its members.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examining the existing studies,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explores an analysis of conditions of system use and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We have carried out, as methods of study, the analysis of log data,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research with professors and lecturers from Yonsei University.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og data, we can find out that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has only a few effects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ecause its availability ratio is low, and its active functions and provided data types have few differences from those provided by the traditional library. With respect to this, we have evaluated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partly modifying DeLone & McLean’s (1992)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uccess in the information system. Then, we have groped for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ith respect to system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mprove its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and to provide user-based interface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econd, with respect to knowledge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knowledge by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by theme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informalinternal knowledge and implicit knowledge to provide them.Third, for the furtherance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on the side of strategies of knowledge management, it is desirable for the library to expand personnel responsible for services, and introduce a team-based organization consisting of knowledge-managers by themes. Especially for the furtheranc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needs the university members’ voluntary and cooperative culture for knowledge sharing. Thus, in order to cultivate the voluntary knowledge-sharing cultu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compensation for evaluation is needed.Lastly, in order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effectively support virtual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main method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ethod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ity library’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integrated operation, is necessary.
      번역하기

      The knowledge management appears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e of an enterprise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of the 21st century. Hence, enterprises’ interest is increas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s a pract...

      The knowledge management appears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e of an enterprise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of the 21st century. Hence, enterprises’ interest is increas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s a practical instru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Recently, the university library is transforming rapidly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into the digital library to provide many resources of information, but confines itself to stereotypeduniform contents and temporarylimited information services. Thu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provide the knowledge information that can meet its members’ tasks and studies, and has to convert its hard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into the software-based information services reflecting its members’ inherent administrative experiences and know how. With respect to this,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introduce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promotes the culture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the library itself and its members.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examining the existing studies,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explores an analysis of conditions of system use and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We have carried out, as methods of study, the analysis of log data,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research with professors and lecturers from Yonsei University.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og data, we can find out that Yonsei University Library’s introduction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has only a few effects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ecause its availability ratio is low, and its active functions and provided data types have few differences from those provided by the traditional library. With respect to this, we have evaluated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partly modifying DeLone & McLean’s (1992)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uccess in the information system. Then, we have groped for a plan for the furtherance of the system.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ith respect to system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mprove its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and to provide user-based interface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econd, with respect to knowledge properties,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need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knowledge by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by theme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informalinternal knowledge and implicit knowledge to provide them.Third, for the furtherance of the lectureresearch-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on the side of strategies of knowledge management, it is desirable for the library to expand personnel responsible for services, and introduce a team-based organization consisting of knowledge-managers by themes. Especially for the furtheranc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needs the university members’ voluntary and cooperative culture for knowledge sharing. Thus, in order to cultivate the voluntary knowledge-sharing cultu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compensation for evaluation is needed.Lastly, in order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effectively support virtual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main method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ethod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ity library’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integrated operation, is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21세기 지식경제시대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지식경영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경영의 실천도구로서 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관심 또한 높아져 있다.최근 대학도서관은 전통적 도서관에서 디지털 도서관으로 빠르게 변모하며 많은 정보자원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컨텐츠와 일회적이고 제한적인 정보서비스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대학구성원의 업무와 연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현재의 하드웨어 중심적인 정보서비스에서 대학 구성원들의 내재된 실무경험과 노하우에 의한 소프트웨어 중심적인 지식정보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에 지식관리시스템이 도입되고, 대학구성원들과 도서관 간에 활발한 지식공유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국내 최초의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인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시스템 활용현황 분석 및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로그데이터 분석과 실무자 인터뷰, 그리고 연세대학교 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로그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이용률은 저조한 실정이고,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이나 제공되는 자료 유형 등도 전통적인 도서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해 온 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DeLone & McLean(1992)이 제시한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모델 중 일부를 수정하여 시스템 특성, 지식 특성,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고,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연구 결과 첫째, 시스템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접근성(Accessibility)과 편의성(Ease of Use)을 향상시키고,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둘째, 지식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주제분야별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비공식내부 지식이나 암묵지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식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셋째,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향후 서비스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주제별 지식관리사서로 구성된 팀 기반의 조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의 사용을 장려하는 경영층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식관리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식공유를 위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문화가 요구되는데, 향후 자발적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평가보상의 마련이 요구된다.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이 미래의 주된 교육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상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과 가상교육 시스템 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 운영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21세기 지식경제시대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지식경영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경영의 실천도구로서 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관심 또...

      21세기 지식경제시대에 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지식경영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경영의 실천도구로서 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관심 또한 높아져 있다.최근 대학도서관은 전통적 도서관에서 디지털 도서관으로 빠르게 변모하며 많은 정보자원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컨텐츠와 일회적이고 제한적인 정보서비스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대학구성원의 업무와 연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현재의 하드웨어 중심적인 정보서비스에서 대학 구성원들의 내재된 실무경험과 노하우에 의한 소프트웨어 중심적인 지식정보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에 지식관리시스템이 도입되고, 대학구성원들과 도서관 간에 활발한 지식공유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국내 최초의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인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시스템 활용현황 분석 및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로그데이터 분석과 실무자 인터뷰, 그리고 연세대학교 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로그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이용률은 저조한 실정이고,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이나 제공되는 자료 유형 등도 전통적인 도서관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해 온 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DeLone & McLean(1992)이 제시한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모델 중 일부를 수정하여 시스템 특성, 지식 특성,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고, 향후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연구 결과 첫째, 시스템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접근성(Accessibility)과 편의성(Ease of Use)을 향상시키고,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둘째, 지식 특성과 관련하여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은 주제분야별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비공식내부 지식이나 암묵지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식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셋째, 지식경영 전략의 측면에서 강의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향후 서비스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주제별 지식관리사서로 구성된 팀 기반의 조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의 사용을 장려하는 경영층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식관리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식공유를 위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문화가 요구되는데, 향후 자발적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평가보상의 마련이 요구된다.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이 미래의 주된 교육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상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과 가상교육 시스템 간의 유기적 연계 및 통합 운영이 필요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