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지각된 가치와 삶의 긍정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8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called the age of
      culture,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changing interest
      and perception rapidly. Culture already has deep-rooted in our lives,
      making it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beyond the quality of life. This
      is an activity that everyone should enjoy and participate in at a time
      when interest in culture is expanding, but should not be left out because
      of physical discomfort or other discrimination, and should make extensive
      efforts to realize the participation and rights of the disabled.
      In this study, we plan to presen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by exploring and proposing the impact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on perceived values and positive values of life.
      Furthermore, we drew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final 400 copies of
      the books that were valid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he need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are increasingly needed by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such as participatory programs a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
      Second, it is essential to raise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for the
      disabled as the subject of culture and art, even for the disabled, who
      have a right to enjoy culture only for the non-disabled or not a benefit,
      as the activities of culture and ar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sitive values of life.
      Third, as cultural and art activities for the disabled show significan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programs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to provide a wide
      range of choices and opportunities.
      Last, a professional workforce is formed by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the cultural and art activities of the handicapped, and the
      qua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needs to be improved.
      The direc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reconiz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disabled's cultural activities,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disabled's cultural art movemen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ulture and art movement in the age of cultural fusion, as the
      culture and art activities of the disabled are concerned with the
      perceived value and the positive value of lif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the way for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in the
      hope that our society can achieve a healthy future together with a
      society where the disability is not disabled.
      번역하기

      The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called the age of culture,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changing interest and perception rapidly. Culture already has deep-rooted in our lives, making it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b...

      The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called the age of
      culture, i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changing interest
      and perception rapidly. Culture already has deep-rooted in our lives,
      making it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beyond the quality of life. This
      is an activity that everyone should enjoy and participate in at a time
      when interest in culture is expanding, but should not be left out because
      of physical discomfort or other discrimination, and should make extensive
      efforts to realize the participation and rights of the disabled.
      In this study, we plan to presen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by exploring and proposing the impact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on perceived values and positive values of life.
      Furthermore, we drew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final 400 copies of
      the books that were valid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he need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are increasingly needed by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such as participatory programs a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
      Second, it is essential to raise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for the
      disabled as the subject of culture and art, even for the disabled, who
      have a right to enjoy culture only for the non-disabled or not a benefit,
      as the activities of culture and ar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sitive values of life.
      Third, as cultural and art activities for the disabled show significan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programs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to provide a wide
      range of choices and opportunities.
      Last, a professional workforce is formed by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the cultural and art activities of the handicapped, and the
      qua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needs to be improved.
      The direc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reconiz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disabled's cultural activities,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disabled's cultural art movemen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ulture and art movement in the age of cultural fusion, as the
      culture and art activities of the disabled are concerned with the
      perceived value and the positive value of lif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the way for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in the
      hope that our society can achieve a healthy future together with a
      society where the disability is not disab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방향은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지각된 가치와 삶의 긍정적 가치에 유의하기에 문화융평(文化融平) 시대로 장애인의 문화예술할동의 참여율을 높이고 문화예술 이용률도 높이며 적극 참여 장려를 독려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으로의 문화예술활동 주체자로서 장애가 장애되지 않는 사회에 당당하게 우리사회가 더불어 모두 건강한 미래를 구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방향은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지각된 가치와 삶의 긍정적 가치에 유의하기에 문화융평(文化融平) 시대로 장애인의 문화예술할동의 참여율을 높이고 문화예술 ...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방향은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지각된 가치와 삶의 긍정적 가치에 유의하기에 문화융평(文化融平) 시대로 장애인의 문화예술할동의 참여율을 높이고 문화예술 이용률도 높이며 적극 참여 장려를 독려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으로의 문화예술활동 주체자로서 장애가 장애되지 않는 사회에 당당하게 우리사회가 더불어 모두 건강한 미래를 구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01
      • 1. 연구의 배경 01
      • 2. 연구의 목적 02
      •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03
      • 4. 연구의 제한점 04
      • Ⅰ. 서론 01
      • 1. 연구의 배경 01
      • 2. 연구의 목적 02
      •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03
      • 4. 연구의 제한점 04
      • 5. 선행연구 05
      • Ⅱ. 이론적 배경 09
      • 1. 문화예술활동 09
      • 1) 문화예술활동의 정의 10
      • 2) 문화예술활동의 범위 11
      • 3) 문화예술활동의 효과 12
      • 4) 장애인과 장애인 문화예술의 개념 14
      • 2. 지각된 가치 16
      • 1) 지각된 가치의 개념 16
      • 2) 지각된 가치의 선행연구 17
      • 3. 삶의 긍정적 가치 19
      • 1) 삶의 의미 20
      • 2) 삶의 만족 21
      • 3) 삶의 질 23
      • 4. 문화예술활동과 지각된 가치 관계 26
      • 5. 문화예술활동과 삶의 긍정적 가치의 관계 27
      • 6. 지각된 가치와 삶의 긍정적 가치 관계 30
      • Ⅲ. 연구방법 33
      • 1. 연구모형 33
      • 2. 연구가설 34
      • 3. 변수의 측정도구 35
      • 4.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7
      • 5. 자료처리 방법 38
      • Ⅳ. 실증분석 40
      • 1. 타당도 분석 40
      • 2. 신뢰도 분석 42
      • 3. 상관관계 분석 43
      • 4. 회귀분석(가설 검정) 45
      • Ⅴ. 결론 및 제언 54
      • 1. 연구의 요약 54
      • 2. 연구의 시사점 57
      • 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57
      • 참고문헌 69
      • ABSTRACT 78
      • 부록 8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비자 행동론, 리대용, 서울: 브레인코리아, , 2005

      2. 문화예술정책론, 이흥재, 서울: 박영사, , 2005

      3.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이군희, 경기: 법문사, , 2008

      4. 시장 지향적 마케팅관리, 박충완, 오세조, 서울: 박영사, , 1995

      5.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 이학식, 김영, 『한국마케팅저널』,1(2), 77-99, , 1999

      6. 김성환 외 옮김 소비자 행동론, Assael Henry, 한티미디어, , 2007

      7. 여성의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이수애, 여성연구. 7(9). 177-221, , 1999

      8. 한국 성인의 삶의 질 척도 개발, 김흥규, 유현정,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7(3), 65-101, , 2004

      9. 삶의 질에 있어서의 현황과 과제, 임희섭, 한국행정연구. 5(1), 1005-1018, , 1996

      10.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영균,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223-250, , 2007

      1. 소비자 행동론, 리대용, 서울: 브레인코리아, , 2005

      2. 문화예술정책론, 이흥재, 서울: 박영사, , 2005

      3.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이군희, 경기: 법문사, , 2008

      4. 시장 지향적 마케팅관리, 박충완, 오세조, 서울: 박영사, , 1995

      5.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 이학식, 김영, 『한국마케팅저널』,1(2), 77-99, , 1999

      6. 김성환 외 옮김 소비자 행동론, Assael Henry, 한티미디어, , 2007

      7. 여성의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이수애, 여성연구. 7(9). 177-221, , 1999

      8. 한국 성인의 삶의 질 척도 개발, 김흥규, 유현정,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7(3), 65-101, , 2004

      9. 삶의 질에 있어서의 현황과 과제, 임희섭, 한국행정연구. 5(1), 1005-1018, , 1996

      10.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영균,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223-250, , 2007

      11. 광주시 공간 환경의 삶의 질 분석, 이정록, 지역개발연구. 30(1). 1-33, , 1998

      12.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박미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 1996

      13.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오혜경, 정덕진, 재활복지. 14(3): 151-173, , 2010

      14.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권선중, 김교헌, 원두리,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 2005

      15. 삶의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권석만, 박선영, 한국심리학 회지: 일반, 31(3), 741-768, , 2012

      16.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현송, 한국인구학, 23(1), 91-117, , 2000

      17. 주관적 삶의 질 설명모형에 관한 연구, 이수애, 동신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 2004

      18.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경험적 연구, 전신현, 한국청소년연구. 25. 63-82, , 1996

      19. 대학 e-러닝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김준호, Information Systems Review, 12(3), 19-48, , 2013

      20. “지각된 고객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김영택, 서비스경영연구, 6(2), 91-104, , 2005

      21. 긍정 심리학(Authentic happiness). (김인자 역), Seligman, M. E. P., 서울: 물푸레(원전은 2002년 출판), , 2006

      22. 국제간 경제협력 통합에서의 문화의 역할, 고정민, 인문콘텐츠 제28 호 3. 73-90, , 2013

      23.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규범, 목포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 2005

      24. 삶의 질과 주관적 안녕: 비교 문화적 고찰, 조긍호, 서강대학교 사 회과학 연구소. 5. 229-283, , 1996

      25. 구조방정식 모델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배병렬, 서울: 청록 출판사, , 2004

      26. 오케스트라활동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진홍, 양종모, 음악교 육공학, 12, 149-159, , 2011

      27.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만화 애니메이션 연구, 황길남, 한국콘텐츠학 회지. 4, 95-111, , 2006

      28. 녹차인식, 지각된 가치와 관광만족간의 관계, 조성진, 박시사, 양성수, 관광학연구, 33(1), 95-112, , 2009

      29. 장애인의 여가활동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김선규, 이한선, 지적 장애연구, 12(1), 123-147, , 2010

      30. 문화예술활동이 조직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백영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31. 합창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권혜란, 진주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32.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 및 차별해소에 관한 연구, 오혜경, 사회복 지리뷰. 11:27-74, , 2006

      33. 정신장애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희국, 한국체 육과학회지, 18(4), 331-340, , 2009

      34. 재가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중섭, 재활복 지, 13(3), 111-140, , 2009

      35.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고정민, 김윤정, 청소년학연구, 22(5), 53-78, , 2015

      36. 지적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 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정무성, 정진옥, 사회과학연구, 29-1, , 2013

      37. 체조선수들의 선수만족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철, 코칭 능력개발지, 7(3), 171-186, , 2005

      38.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모형 구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박자경, 성 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39.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이동진, 강미경, 유가효, 한국가족복지학, 12(5), 137-155, , 2010

      40. 병원복합문화공간의 체험유형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이길형, 이형익, 『브 랜드디자인학연구』. 28(11). 241-251, , 2013

      41. 여가활동 참여 장애인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 정연홍, 동북아관광연구, 9(1), 215-233, , 2013

      42.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택호, 한양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4

      43. 저소득층의 주관적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신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7

      44. 공산권에서의 삶의 질의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신도철, 사회과학과 연구. 4(1). 41-56, , 1982

      45. 상관분석을 이용한 교육과 국 가자격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재현, 이원박, 김세환, 정영득, 정희택,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3(4), 273-282, , 2011

      46. 환경통계 및 데이터 분석: R과 SPSS 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서, 김범조, 신소라, 정희원, 김준하,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 2018

      47. 공연예술관람 빈도가 개인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연 구, 조성경, 예술경영연구. 2012, 22, 5-28, , 2012

      48. 장애인의 여가생활양식과 여가만족도 및 생 활만족도의 관계, 신창숙, 안성우, 정경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4), 205-228, , 2014

      49. 문화관광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 향, 이미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4), 257-270, , 2017

      50. “고객만족도 측정: NCSI와 KCSI의 평가와 새로운 지수개발 방안”, 이학식, 임지훈, 마케팅연구, 20(3), 137-160, , 2005

      51. 삶의 의미와 부부응집성의 관계: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변인 으로, 정정실,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52. 모션캡처 사용자의 수용 태도에 관한 연구: 무용 분 야를 중심으로, 안병주, 이진영, 한국체육과학회지, 26(5), 831-843, , 2017

      53. 삶의 질의 국제비교와 지역간 비교분석. 아 산재단연구총서 제46집, 김재홍, 이은우, 이재기, 집문당, , 1998

      54.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서수균,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 2011

      55. 호텔의 문화예술적공간 특성이 고객의 호텔 선호도에 미치 는 영향, 이충순, 김홍범, 『호텔경영학연구』. 23(2). 69-88, , 2014

      56.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 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관계의 탐색, 임성문, 한정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609-622, , 2011

      57. 타악기를 활용한 문화예술활동이 청소년 사회성 발달에 미 치는 영향, 마균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58. 한국사회의 ‘시민됨’ 형성과정: 자발결사체 참여 경험을 중 심으로, 이승훈,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3

      59. “소매 환경에서 지각된 가치의 선행요인과 성과요 인에 관한 연구,”, 김정희, 황용철, 소비문화연구, 8(1), 91-114, , 2005

      60. 유애란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의 관계분석, 김길태, 직업재활연구, 23(3), 113-134, , 2013

      61. 고객만족에 미치는 서비스가치와 서비스품질 그리고 서비스가격의 효과, 조선배, 최웅, 『호텔관광경영연구』, 13, 85-102, , 1998

      62. 노인의 생활체육참여 동기와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영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63. 문화예술교육에서 미술교육의 역할: 생명력 회복을 위한 미술교육의 제안, 김성숙, 조형교육, 30, 1-20, , 2007

      64.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 청소년의 사회적기 술에 미치는 영향, 조정은, 음악교육공학 14, 227-244, , 2012

      65. 여행객의 관광지에 대한 지각가치와 여행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은주, 김혜린, 호텔경영학연구, 22(5), 137-149, , 2013

      66.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관한 연구, 장세종,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8

      67. 서울시민의 삶의 질의 실태와 시정부의 공공정책의 발전방 향에 관한 연구, 하재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86

      68. 문화상품의 수출효과 분석: 한국의 대(對)중, 대(對)일 수출 비교를 중심으로, 남수중, 동북아경제연구, 23(1), 1-32, , 2011

      69.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 육 정책방안 제시, 손연지,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70. 휴먼서비스조직의 조직환경이 종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세종,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1

      71. 문화예술활동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실증연구-, 정득, 이종석, 김인설, 문화정책논총 제28집 1호, , 2014

      72.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여가만족 그리고 사회기 술능력과의 인과관계연구, 심경순, 박영준, 재활복지, 17(1), 137-162, , 2013

      73. “한국 중년의 안녕감: 행복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집 단 간 비교”, 전경숙,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74.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신현순역(2000),「아동과청소년의 정서장애」, Winkley, W., 서울: 이화여 자대학교 출판부, , 1996

      75. 삶의 의미 원천과 의미에 대한 노력이 대학생과 중 년 성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영숙, 조설애,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07-531, , 2013

      76. 정기적인 문화예술활동이 가출 청소년의 내재화 외현화 문 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샛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77. 박은경 노은정 대학생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과 자아존중 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계성,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80, 432, , 2016

      78. “인터넷 환경에서 의제품특성, 마케팅기능, 정보기술의 적합성에 관한 탐험적 연구,”, 김동훈, 서길수, 조재성, 경영학연구, 30(3), 905-928, , 2001

      79.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 구-서울지역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백은령, 오혜경, 직업재활연구. 13(2): 157-181, , 2003

      80. 감성을 활용한 문화요소가 포함된 서비스제공이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곽영환, 전희준, 서창석, 『서비스경영학회지』. 9(1). 20, , 2008

      81.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 도와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박선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82. “공공부문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과정품질, 결 과품질, 고객만족의 인과모형 분석,”, 이승규, 라준영, 서비스경영학회지, 9(1), 181-205, , 2008

      83. 장기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여가만족 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준구, 재활복지, 16(4), 199-219, , 2012

      84. 문화예술활동이 빈곤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황희정,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85.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 초연구: 문화예술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최샛별, 이명진, 조사연구 13권 1호 61-87, , 2012

      86. 노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노인미 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분석과 제언-, 장찬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2013

      87.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조절효과, 하미경, 울산대학교 경영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2013

      88.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지적 정서적 실천적 측면을 중심으로, 설연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89. “장애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영, 서울시립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90. 문화관광축제 체험요소가 브랜드가치와 축제이미지에 미치 는 영향: 강경발효젓갈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지진호, 노원중, 13(3). 414-427,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