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26090
2011
Korean
810
학술저널
91-132(4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이중언어교육, 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교육이 주를 이룬다.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는 8종 13권이 개발되었고,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교재는 8종 38권이 개발되었다. 연구 논문은 2003년 이후 2010년 현재 152편이 발표되었는데, 학위논문이 70편, 학술지 논문이 82편이었으며, 2008~2009년에 연구의 71%가 이루어졌다. 주제별로는 다문화 가정 한국어교육의 내용학적 연구인 교수-학습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2009년부터 웹 기반, 평가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향후 과제로 일곱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다문화 정책 및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비롯해서, 고급 한국어 수준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해서는 이중언어교원 자격 부여를 비롯한 취업한국어교육 및 검정고시 한국어 등 보다 실질적인 과정이 고안되어야 함 등을 주장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과 함께 유아원, 유치원에서부터 초 · 중 · 고등학교까지 한국어 능력을 체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과 청소년들 대상의 흥미로운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urvey alms to review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s research task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sually focuses 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children who a...
This survey alms to review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s research task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sually focuses 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children who are par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13 books across 8 categories currently available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38 books across 8 categorie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the research trend, there were 152 papers published during 2003~2010, and among those were 70 dissertations and 82 academic journals. 71% of this research was published during 2008~2009. Analyzed by subject, most focused on research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subjects of research have become diversified since 2009. This paper suggests 7 casks, including; enriching the substance of multi-cultural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fostering bilingual teachers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high level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job-Korean and the state certificate examination-Korean, etc.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aper suggests that bilingual education and a systematic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those children’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s necessary. Als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for teenagers is needed.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 TV 의학 드라마에 나타난 의사 캐릭터 유형 변화 양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