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도시 창조성 수준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남 양산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Creativity in Small-Medium Cities - Focused on Yang-san C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7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식되는 지식 정보화 시대에 진입하였다. 이로 인해 국가간의 경계는 점차 사라지고 국가 보다는 도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도시경쟁력향상을 위한 새...

      현대사회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식되는 지식 정보화 시대에 진입하였다. 이로 인해 국가간의 경계는 점차 사라지고 국가 보다는 도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도시경쟁력향상을 위한 새로운 도시발전 전략 모색으로 도시 창조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도시 중 인구 규모가 비슷한 지방중소도시를 중심으로 도시별 지역별 특성요인을 추출하고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각 지역별 경쟁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각 도시의 도시창조성 지표를 도시특성요인을 중심으로 도출하고 이를 근간으로 한 창조도시로서의 도시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문헌조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도시 창조성의 개념 및 논의를 정리하였고 경남 양산시를 포함한 26개 도시 창조성 지표와지역특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도시별 창조성 수준과 지역특성요인을 측정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남 양산시 창조성 수준을 종속변수로, 지역특성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도시 창조성과 도시별 지역특성요인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 called Info rmatization & Globalization . This phenomenon gradually breaks down the boundaries between nations and puts more focus on a city rather than a country, highlighting Ur...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 called Info rmatization & Globalization . This phenomenon gradually breaks down the boundaries between nations and puts more focus on a city rather than a country, highlighting Urban Creativity as part of a new strategy to develop a c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designed to find out regional features by each small-medium cit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to promote competitiveness. Also, it is aimed to find out Urban Creativity indi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s and set out ways to improve competitive edge for a creative city. The extent of the paper is based on documentary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the definition and discussion of Urban Creativity, and lay out Urban Creativity indices and regional features of 26 cities including Yang-san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Based on those indices and characters, the research measured the standard and regional features for Creativity by city. Finally, an empirical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urban creativity and regional feature was made with creativity standard of Yang-sa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regional feat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선행 연구의 고찰 및 창조성 개념 논의 1. 선행 연구의 고찰 2. 도시 창조성의 개념 Ⅲ. 도시 창조성 지표 설정 및 특성 분석 1. 도시 창조성 지표 설정 2. 도시 창조성 영향 특성 분석 Ⅳ. 지역특성 별 도시 창조성 분석 1. 양산시 창조성 수준분석 2. 양산시 창조성 실증분석 Ⅴ. 결론
      •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선행 연구의 고찰 및 창조성 개념 논의 1. 선행 연구의 고찰 2. 도시 창조성의 개념 Ⅲ. 도시 창조성 지표 설정 및 특성 분석 1. 도시 창조성 지표 설정 2. 도시 창조성 영향 특성 분석 Ⅳ. 지역특성 별 도시 창조성 분석 1. 양산시 창조성 수준분석 2. 양산시 창조성 실증분석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기욱, "파워엘리트의 거주지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35-49, 2010

      2 "통계청"

      3 권선필, "창조도시 이론의 맥락과 도시발전에의 정책적 함의" 대전발전연구원 2008

      4 이희연, "창조도시 개념과 전략" 국토연구원 2008

      5 신민식, "울산광역시의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29 (29): 305-321, 2011

      6 양산시, "양산시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발전과제 연구보고서" 2012

      7 한국산업관계연구원, "양산비전 2020" 양산시 2009

      8 장윤정, "서울의 창조산업 분포특성과 도시상업활력의 공간회귀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51-64, 2009

      9 한상진, "사회적 경제 모델에 의거한 창조 도시 담론의 비판적 검토 ―플로리다, 사사끼, 랜드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85-206, 2008

      10 김성은, "도시의 창조적 인력·기반·관용이 창조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9-30, 2011

      1 송기욱, "파워엘리트의 거주지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35-49, 2010

      2 "통계청"

      3 권선필, "창조도시 이론의 맥락과 도시발전에의 정책적 함의" 대전발전연구원 2008

      4 이희연, "창조도시 개념과 전략" 국토연구원 2008

      5 신민식, "울산광역시의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29 (29): 305-321, 2011

      6 양산시, "양산시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발전과제 연구보고서" 2012

      7 한국산업관계연구원, "양산비전 2020" 양산시 2009

      8 장윤정, "서울의 창조산업 분포특성과 도시상업활력의 공간회귀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51-64, 2009

      9 한상진, "사회적 경제 모델에 의거한 창조 도시 담론의 비판적 검토 ―플로리다, 사사끼, 랜드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85-206, 2008

      10 김성은, "도시의 창조적 인력·기반·관용이 창조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9-30, 2011

      11 김헌민, "도시의 창조성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책적 고찰" 한국정책학회 2009

      12 이원호, "도시와 창조계급 : 창조 경제 시대의 도시 발전 전략" 푸른길 2008

      13 김용일, "도시 창조성의 지역별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3 (13): 1-23, 2011

      14 강수연, "도시 창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81-92, 2011

      15 김영인, "도시 창조성 지수 설정과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창조성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16 김정호, "도시 경쟁력 제고 방안" 사단법인 대한부동산학회 (25) : 2007

      17 정재희, "남해안시대 창조도시화 전략" 경남발전연구원 2009

      18 구문모, "국내 지방광역시의 창조산업 특성화를 위한구조조정 기본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95-120, 2007

      19 Florida, R,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2002

      20 Scott, "Creative cities : Conceptual issues and policy questions" 28 : 2007

      21 Caves, "Creative Industries :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22 "2010 한국도시통계" 행정안전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