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Studi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67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대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인들을 분류하고 변인 간 관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대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인들을 분류하고 변인 간 관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1차로 ‘대학생’, ‘소진’을 검색어로 118편의 논문을 검색하고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각각 검토하여 대학생 학업소진과 관련 없는 연구나 중복 논문을 삭제한 후 최종 17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항목으로 연구대상 및 연구목적, 학업소진 측정도구, 학업소진 관련 변인 및 주요 연구결과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학년별 분포는 개별 연구로는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고른 편이었으며, 측정도구는 MBI-SS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학업소진을 매개변인이나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연구 각 1편, 3편 외에 대부분의 연구는 학업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학업소진에 미치는 관련 변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의 합의과정을 통해 관련 변인들을 개인특성 차원, 진로⋅학습 차원, 관계 차원으로 분류하고 이들 관계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결론 학업소진 측정도구인 MBI-SS를 국내 대학생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의 학업소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업, 개인특성, 진로, 관계 등 관련 변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variables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by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variables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by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Methods For this purpose, 118 papers were searched for as keywords ‘college student’ and ‘burnout’. After reviewing the title and abstract of the thesis and deleting any research not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r duplicate thesis, a total of 17 target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items,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ives, academic burnout measurement tools, academic burnout-related variables, major research results, and factors affecting academic burnout were identified. Results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college students by grade was differed, they were generally similar, and MBI-SS was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o one and three studies in which academic burnout was set as a mediator or independent variable, most of the studies used academic burnout as a dependent variable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academic burnout. Through the consensus process of the researchers, the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dimension, the career/learning dimension, and the relationship dimension, and the structure of these relationships was derived. Conclusions In measuring academic burnout, it is necessary to validate MBI-SS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not only academic levels but also personal characteristics, careers, and relationshi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복,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암교육학회 15 (15): 59-78, 2009

      2 김의연,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내용에 대한 비교연구" 교육연구소 24 (24): 193-211, 2018

      3 이수현, "학업적 소진(MBI-SS)척도 타당화 연구 -의대생 대상으로-" 교육연구소 14 (14): 165-187, 2013

      4 정은선,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위험예측/이득예측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009-6018, 2015

      5 강도희, "학업소진 극복 상담프로그램-학습상담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51 : 163-179, 2016

      6 남상필, "학업성취 압력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219-230, 2012

      7 박윤희,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35, 2018

      8 이상민,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진행과정 및 경로분석" 집문당 2012

      9 조주연,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477-497, 2013

      10 손향숙, "초등학생의 탄력성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6 (26): 431-444, 2015

      1 이영복,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암교육학회 15 (15): 59-78, 2009

      2 김의연,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내용에 대한 비교연구" 교육연구소 24 (24): 193-211, 2018

      3 이수현, "학업적 소진(MBI-SS)척도 타당화 연구 -의대생 대상으로-" 교육연구소 14 (14): 165-187, 2013

      4 정은선, "학업소진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위험예측/이득예측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009-6018, 2015

      5 강도희, "학업소진 극복 상담프로그램-학습상담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51 : 163-179, 2016

      6 남상필, "학업성취 압력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219-230, 2012

      7 박윤희,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35, 2018

      8 이상민,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진행과정 및 경로분석" 집문당 2012

      9 조주연,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477-497, 2013

      10 손향숙, "초등학생의 탄력성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6 (26): 431-444, 2015

      11 명대신문, "청년층 덮친 번아웃 증후군, 혹시 당신은?"

      12 채창균, "청년고용대책의 방향과 과제" 15-36, 2018

      13 배미향,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주도적 행동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11-532, 2020

      14 김유선, "직장인의 직무소진에 대한 남녀 차이 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317-337, 2013

      15 "지난해 우울증 등 기분장애 환자100만명 넘어…여성이 66%"

      16 남숙경,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 프로파일 분류: 성별,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8 (18): 99-119, 2021

      17 정은선, "조절초점,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소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455-5464, 2013

      18 이현숙,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이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26-336, 2017

      19 천경희, "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업소진 양상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6 (16): 77-87, 2014

      20 최임숙, "웹기반 블랜디드 러닝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학교적응행동, 학업소진, 자기결정성, 이러닝 참여도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237-260, 2014

      21 고대신문, "우리의 번아웃, 무능감 뒤로 사라지는 열정"

      22 정문정,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1-23, 2016

      23 이자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간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지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556-6564, 2014

      24 이현아, "완벽주의가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동기와 목표과정의 매개효과 및 대처유연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25 신효정,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289-309, 2012

      26 최송욱, "성적평가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대학생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0, 2019

      27 박혜형, "성인여성 경력열망 관련변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2010-2020 국·내외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5 (15): 31-67, 2020

      28 이수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655-673, 2007

      29 장은비,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학업요구를 통한 시험불안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227-246, 2016

      30 이진선, "북한이탈청소년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05-124, 2021

      31 정예빈,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67-190, 2017

      32 김민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07-227, 2019

      33 한지영, "변혁적 리더십의 연구동향 분석: HRD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5 (15): 93-132, 2020

      34 서울여대학보, "더 이상 태울 게 없는 이들을 위해"

      35 이지은, "대학생이 지각한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와 내적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 (20): 27-46, 2020

      36 노종선,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진로소명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9 (19): 67-82, 2018

      37 유계숙, "대학생의 학업・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3849-3869, 2013

      38 김교연, "대학생의 학업탄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전공별, 학년별 차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39 이슬이, "대학생의 학사경고에 관한 원인 탐색 - P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5-135, 2021

      40 홍명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사회불안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영재교육연구소 10 (10): 161-192, 2020

      41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1461-1479, 2012

      42 박세진,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회복탄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45-1264, 2020

      43 현승주, "대학생의 주의조절력, 과경계 및 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47-668, 2021

      44 이설악, "대학생의 적응적,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내적통제성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85-111, 2019

      45 박해준, "대학생의 자기조절, 시간관리, 학업 스트레스 및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67-891, 2018

      46 이선혜, "대학생의 소진에 관한 국내 문헌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71-382, 2017

      47 임근옥, "대학생의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BTI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전자통신학회 8 (8): 785-790, 2013

      48 장은비,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29-56, 2019

      49 부정민, "대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95-318, 2016

      50 이경순,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 원한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595-608, 2011

      51 이민주,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 11 (11): 175-185, 2020

      52 고홍월,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교육연구소 13 (13): 125-147, 2012

      53 이미라, "대학생 학교생활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229-247, 2018

      54 송윤희, "대학생 취업 소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건강심리학회 22 (22): 551-564, 2017

      55 잡코리아, "대학생 ‘행복지수’ 보다 ‘스트레스지수’ 더 높아"

      56 이상민, "교육에서의 소진에 관한 이론적 고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6 (16): 57-66, 2014

      57 김민애,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 통제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69-84, 2010

      58 이자영, "과도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1 (11): 1551-1565, 2010

      59 김규태,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마인드셋과 학업소진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4 (14): 225-234, 2019

      60 조수현,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4 (24): 1-26, 2018

      61 이은하, "간호대학생의 리질리언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78-187, 2019

      62 경대뉴스, "‘열정’이라는 땔감으로 타오르지 않는 나, ‘번아웃’인가요?"

      63 Torraco, R. J., "Writi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Methods and purposes" 7 (7): 62-70, 2016

      64 Torraco, R. J., "Writi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Guidelines and examples" 4 (4): 356-367, 2005

      65 Burns, D. D.,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14 (14): 34-52, 1980

      66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86): 499-512, 2001

      67 Van der Doef, M., "The job demand-control (-support) mod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20 years of empirical research" 13 (13): 87-114, 1999

      68 Creed, P. A.,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scale to assess career goal discrepancies" 23 (23): 308-317, 2015

      69 Freudenberger, H. J., "Staff burn out" 30 (30): 159-165, 1974

      70 Blankstein, K. R.,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85-315, 2002

      71 Zhang, Y.,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43 (43): 1529-1540, 2007

      72 Hewitt, P. L.,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60 (60): 456-470, 1991

      73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74 Karasek Jr, R. A.,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24 : 285-308, 1979

      75 Siegrist J., "Hist Curr Perspect Stress Health, 2" 261-291, 2002

      76 Okula, Ç. Y., "From Work Life to School: Theoretical Approaches for School Burnout" 11 (11): 80-99, 2019

      77 Salmela-Aro, K.,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burnout during adolescence: Evidence from two cross-lagged longitudinal studies" 38 (38): 1316-1327, 2009

      78 Hyojung Shin, "Cultural valid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Korean students" 교육연구소 12 (12): 633-639, 2011

      79 Schaufeli,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cross-national study" 33 (33): 464-481, 2002

      80 Schaufeli, W. B., "Bridging occupational, organizational and public health,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Springer 43-6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