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nts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2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쇠비름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기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쇠비름의 무기물은 총 9종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6025.80 mg/100 g으로 칼륨이 3846.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

      쇠비름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기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쇠비름의 무기물은 총 9종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6025.80 mg/100 g으로 칼륨이 3846.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각각 14.84% 및 24.93%였다.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8.16 mg/g, 20.08 mg/g으로 물 추출물(49.09 mg/g, 14.98 mg/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시료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활성이 더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쇠비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혈당강하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시료 중의 무기물,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for biological properties. Total mineral content was 6025.80 mg/100 g, and potassium was the highest at 3846.99 mg/100 g. Water and 80% ethanol extract yields were 14.8...

      We investigated the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for biological properties. Total mineral content was 6025.80 mg/100 g, and potassium was the highest at 3846.99 mg/100 g. Water and 80% ethanol extract yields were 14.84% and 24.93%,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of ethanol extract were 58.16 mg/g and 20.08 mg/g,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ts water extract (49.09 mg/g and 14.98 mg/g, respecitvely).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at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water extract as well. We suggest that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Portulaca oleracea are due to its mineral and phenolic cont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2 최면, "한약재의 물 추출물이 당대사 관련 효소와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542-547, 2008

      3 허명록, "토후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34-39, 2010

      4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5 김선재,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산화성과 알코올 탈수소효소 저해성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1-206, 2004

      6 김용덕, "수확시기별 제주재래종 감귤과피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462-469, 2009

      7 김동청, "쇠비름을 이용한 차의 제조와그 품질 특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375-376, 2007

      8 이희정,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그 활성성분" 한국생물공학회 18 (18): 165-169, 2003

      9 곽 가,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77-81, 2006

      10 이정민,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43-1248, 2010

      1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2 최면, "한약재의 물 추출물이 당대사 관련 효소와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542-547, 2008

      3 허명록, "토후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34-39, 2010

      4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5 김선재,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산화성과 알코올 탈수소효소 저해성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1-206, 2004

      6 김용덕, "수확시기별 제주재래종 감귤과피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462-469, 2009

      7 김동청, "쇠비름을 이용한 차의 제조와그 품질 특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375-376, 2007

      8 이희정,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그 활성성분" 한국생물공학회 18 (18): 165-169, 2003

      9 곽 가,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77-81, 2006

      10 이정민,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43-1248, 2010

      11 최용민, "국내 시판되는 일부 다류 제품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723-727, 2003

      12 Duval, B,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25 : 361-377, 2001

      13 Habtemariam, S., "The muscle relaxant properties of Portulaca oleracea are associa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potassium ions" 40 : 195-200, 1993

      14 Larson,R.A,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27 : 969-978, 1988

      15 Hwang, J. B.,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29 : 671-679, 1997

      16 Kang, Y. H.,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27 : 978-984, 1995

      17 Oyaizu, M,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44 : 307-315, 1986

      18 Miliauskas, G.,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85 : 231-237, 2004

      19 Kirkinezos, I. G, "Reactivr oxygen species and mitocondrial disease" 12 : 449-457, 2001

      20 Xing, J., "Rapid screening for cyclo-dopa and diketopiperazine alkaloids in crude extracts of Portulaca oleracea L.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22 : 1415-1422, 2008

      21 조영제, "Portulaca oleracea의 생리활성과 항균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49-54, 2008

      22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 58 : 966-968, 1981

      23 Oliveira, I.,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e L. leaves and stems" 92 : 129-134, 2009

      24 Omara-Alwala, T. R., "Omega-three fatty acids in Purslane(Portulaca oleracea) tissues" 68 : 198-199, 1991

      25 Choi, K. P., "Inhibitory effects of Porturaca oleracea L. extract on the mutagenicity of various mutagen" 7 : 527-537, 1997

      26 Hee Sun Song,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Profiles of β-Glucans Isolated from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한국식품과학회 15 (15): 437-440, 2006

      27 Feng, P. C., "High concentration of (-)-Noradrenaline in Portulaca oleracea L" 191 : 1108-, 1961

      28 Liu, L., "Fatty acids and β-carotene in Australian purslane(Portulaca oleracea) varieties" 893 : 207-213, 2000

      29 Rocha, M. J. A., "Effects of hydroalcoholic extracts of Portulaca pilosa and Achyrocline satureioides on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43 : 179-183, 1994

      30 Lim, S. M.,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o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27 : 399-405, 1998

      31 Hertog, M. G.,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342 : 1007-1011, 1993

      32 Kim, D. S.,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20 : 463-468, 1987

      33 Moreno, M. I. N.,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34 Tabart, J., "Comparative antioxidant capacities of phenolic compounds measured by various tests" 113 : 1226-1233, 2009

      35 Chung, M. J., "Chemical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on, Phyteuma japonicum Miq" 11 : 437-443, 1998

      36 Mohamed, A. I, "Chemical composition of purslane (Portulaca oleracea)" 45 : 1-9, 1994

      37 Kim, T. S., "Changes in antioxidant and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of soybean leaves subjected to water stress" 42 : 246-251, 1999

      38 Lim, Y. Y, "Antioxidant properties of different cultivars of Portulaca oleracea" 103 : 734-740, 2007

      39 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0 Won, J. T,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s extracts obtained from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 12 : 235-241, 1980

      41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42 Lim, M. K,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oibirhyum (Portulace oleracea) against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tract" 17 : 565-570, 2001

      43 Lee, J. M, "A study 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ea extracts" 12 : 567-572,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