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7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그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그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일 양국의 도시 중 역사적, 환경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부산과 고베를 선택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다문화수용성 척도는 이주민에 대한 차별 정도에 해당하는 ‘차별’, ‘거부회피’, ‘문화개방’, ‘상호교류’, ‘고정관념’ 등 총 5개 요인,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문화수용성과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본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한국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일본 대학생의 경우에는 외국인친구가 있거나, 다문화강좌 수강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 대학생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유학/연수 의향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은 양국 대학생 모두에게서 확인되었다. 또한, 하위요인의 기여순위를 분석해본 결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의 구조에는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한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 explaining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compare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sub-factors between K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 explaining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compare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sub-facto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survey conducted in Busan and Kobe as two citi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istory,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scale consisted of 13 items and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as 5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rejection/avoidance”, “cultural openness”, “willingness to exchange”, and “stereotypes”. The result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overall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Japanes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Specifically, college students having foreign friends, having taken multicultural classes, and planning to study abroad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cceptance scor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nking of the contribution of sub-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This difference could provid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seeking ways to chang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론
      • Ⅳ. 분석결과
      • 요약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론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순,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 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45-67, 2008

      2 배진한, "한국과 일본 대학생집단의 대인매체 인식 비교연구-휴대전화의 적합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73-100, 2012

      3 김희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4, 2012

      4 신경애, "한국 대학생의 한일관계에 대한 인식과 관련 수업에 대한 니즈" 동아시아일본학회 (55) : 163-185, 2015

      5 신경애, "한국 대학생의 한일 간 역사쟁점에 대한 인식조사" 동아시아일본학회 (57) : 137-165, 2016

      6 최호림, "한국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동아시아의 이주: 현황과 쟁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5-55, 2015

      7 이경희,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11-131, 2011

      8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학제적·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11 : 1-33, 2011

      9 한영균, "일본인의 한류수용에 따른 한국인식의 변화" 한일관계사학회 (48) : 383-420, 2014

      10 이혜진, "일본의 다문화공생 개념과 커뮤니티라디오방송국 FMYY" 비판사회학회 (96) : 360-401, 2012

      1 김옥순,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 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45-67, 2008

      2 배진한, "한국과 일본 대학생집단의 대인매체 인식 비교연구-휴대전화의 적합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73-100, 2012

      3 김희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3-104, 2012

      4 신경애, "한국 대학생의 한일관계에 대한 인식과 관련 수업에 대한 니즈" 동아시아일본학회 (55) : 163-185, 2015

      5 신경애, "한국 대학생의 한일 간 역사쟁점에 대한 인식조사" 동아시아일본학회 (57) : 137-165, 2016

      6 최호림, "한국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동아시아의 이주: 현황과 쟁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5-55, 2015

      7 이경희,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11-131, 2011

      8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학제적·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11 : 1-33, 2011

      9 한영균, "일본인의 한류수용에 따른 한국인식의 변화" 한일관계사학회 (48) : 383-420, 2014

      10 이혜진, "일본의 다문화공생 개념과 커뮤니티라디오방송국 FMYY" 비판사회학회 (96) : 360-401, 2012

      11 박재진, "온라인 쇼핑몰 이미지 측정 지수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방송광고공사 (73) : 61-79, 2006

      12 안지민, "새마을 해외봉사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학생・결혼이주여성 공동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209-235, 2014

      13 이연옥, "민족문제에 대한 일본의 대응과 일본 민족주의"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5) : 52-74, 2013

      14 장임숙, "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이주인권 정책에 대한 태도"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77-199, 2012

      15 하선영, "대학생의 다문화인 수용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교육과학연구소 45 (45): 69-91, 2014

      16 전미순,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3 (3): 9-14, 2013

      17 정명희, "대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81-105, 2014

      18 이수정, "대학생의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멘토링 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22, 2014

      19 박혜숙,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03-325, 2010

      20 임도경,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5-34, 2011

      21 박혜숙,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 타당화" 교육과학연구소 44 (44): 219-248, 2013

      22 염미경, "대학 다문화교육과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2 (2): 211-233, 2012

      23 김혜숙,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51-89, 2011

      24 황성욱, "다문화수용성,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다문화수용성 측정 지수 개발" 분쟁해결연구센터 12 (12): 167-196, 2014

      25 김태완, "다문화수용성 척도의 타당성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57-78, 2016

      26 강진구, "다문화교육이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친 영향 조사" 5 : 53-77, 2008

      27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28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29 이인희, "다문화 관련 미디어 보도 프레임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다문화통합연구소 6 (6): 83-108, 2013

      30 김현숙,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한·중·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141-168, 2011

      31 홍유진, "광주․전남지역 대학생의 문화개방성, 고정관념 및 차별, 상호교류 행동의지의 관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17-347, 2014

      32 安達理恵, "英語および外国や外国人に対する高校生の意識調査" 31 : 2001

      33 神戸市, "神戸市内の学校の様子, 卒業後の状況. 平成26年度学校基本調査"

      34 神戸市, "神戸人口統計"

      35 小坂井敏晶, "異文化受容のパラドックス" 朝日新聞社 1996

      36 文部科学省, "産学連携によるグローバル人材育成推進会議,産学官によるグローバル人材の育成のための戦略"

      37 安達理恵, "日本人の異文化受容態度にみられる傾向: 一地方都市での年代別・国別態度調査より" 35 : 153-173, 2008

      38 法務省報道発表資料, "平成27年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確定値)"

      39 塘利枝子, "子どもの異文化受容" カニシヤ出版 1999

      40 杉原亨, "大学生の多文化共生志向に関する一考察" 21 : 27-39, 2014

      41 松本邦彦, "多文化共生論と歴史認識:「嫌韓流」の挑戦を考察する" 18 : 23-34, 2012

      42 経団連, "多文化共生社会の構築に向けて" (3248) : 2015

      43 関口知子, "在日日系ブラジルジンの子ども達-異文化間に育つ子ども達のアイデンティティ形成に関する教育人類学的研究" 名古屋大学大学院 2000

      44 文部科学省, "スーパーグローバル大学等事業"

      45 文部科学省, "「留学生30 万人計画」骨子の策定について"

      46 교육부, "‘유학생유치확대방안’ 발표 보도자료"

      47 교육부, "‘2016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발표 보도자료"

      48 Allport, G. W., "The nature of prejudice" Addison-Wesley 1954

      49 Castles, S., "The age of migration" The Guilford Press 2014

      50 Munroe, A.,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66 (66): 819-834, 2006

      51 곽진희, "TV 폭력의 맥락차원(Context Dimensions)과 시청자의 폭력성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15 (15): 7-41, 2001

      52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53 채구묵, "SPSS와 AMOS를 이용한 고급통계학" 양서원 2014

      54 Liu, W. M., "Multicultural competency in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research training and self-efficacy, and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10 (10): 214-329, 2004

      55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56 Segars, A., "Assessing the unidimensionality of measurement: A paradigm and illustration with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5 (25): 107-121, 1997

      57 행정자치부, "2015년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58 국가통계포털, "2015년도 대학교 재학생수(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자료)"

      59 법무부, "2015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한상문화연구단 ->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영문명 : Resea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 Culture -> Center for Global Diaspora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5 1.433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