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 개발 방향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7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수준별 교육활동을 분석하고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치원에서의 수준별 교육...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수준별 교육활동을 분석하고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치원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도자료에 제시되어 있는 수준별 활동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수준별 활동의 생활영역별 교육내용에 따른 분포와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이니 생활주제 그리고 활동의 유형별로 활동 수준이 편중되어 제시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75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분석 결과 소속기관(공립과 사립 유치원)에 따라 일부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도자료 분석과 운영실태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s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trend of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s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trend of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Second, what are the opinions and suggestion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bout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Third, what and how co develop the assessment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For this first purpose, the meaning and practical problems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kindergarten were explored, and the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terms of content area, life subject, and activity type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second and third purpose, the questionnaire of the management and perception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wa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 area of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Ⅰ level activities were shown 44.2%, and Ⅱ level activities were shown 55.8%. The frequency of Ⅱ level activities were higher than Ⅰ level activities in four content area except health and physical area. Second, In terms of the questionnaire of the management and perception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it was shown that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recognized strong necessity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is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were tended co be useful co their instruction.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Ⅴ.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방향 모색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Ⅴ.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방향 모색
      • Ⅵ.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