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몸을 움직여 하는 일"에 대한 실철학(實哲學)적 조망 = A RE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PERSPECTIVE OF Sil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24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실마리들을 뽑아 내보려는 실험적인 고찰이다. 필자는 "실(實)철학"이라는 필자 나름의 개념의 틀을 통하여 대표적인 실학자들(성호 이익, 연암 박지원, 혜강 최한기)의삶과 사상들 속에서, 우리 일상의 육체노동에 대한 긍정적 의미들을 재구성해보았다. 그리고 한 실학 문학가(존재 위백규)의 시작품들을 통해 "생활시" 영역에서의 일상노동의 의미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일상성과 근대성 사이의 연결고리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글은 궁극적으로, 일상의 "몸을 움직여하는 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여 그 일을 하는 주체들로 하여금 통전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

      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실마리들을 뽑아 내보려는 실험적인 고찰이다. 필자는 "실(實)철학"이라는 필자 나름의 개념의 틀을 통하여 대표적인 실학자들(성호 이익, 연암 박지원, 혜강 최한기)의삶과 사상들 속에서, 우리 일상의 육체노동에 대한 긍정적 의미들을 재구성해보았다. 그리고 한 실학 문학가(존재 위백규)의 시작품들을 통해 "생활시" 영역에서의 일상노동의 의미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일상성과 근대성 사이의 연결고리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글은 궁극적으로, 일상의 "몸을 움직여하는 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여 그 일을 하는 주체들로 하여금 통전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tentative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Sil-Hak scholars' life and thoughts can provide a perspective to make a change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first, I reviewed three thinkers in the main stream of Sil-Hak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constructed their living thoughts by means of the conceptual frame of Sil philosophy which I originally designed based on teh spirits of reality, authenticity, and undergoing experience. This interpretation of the thoughts of Sil-Hak leads us to overcome the chronical dualism on "body" and "mind." Second, a poetic form of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of Sil-Hak makes us to recognize the positive meaning of "daily labor." Although I roughly dealt with one of poets in Sil-Hak literature, it gave us an insight that such a rediscover of everyday life can be a significant criterion for the genuine modernity. It is my hope that such a reconsideration of Sil-Hak Sun-bi will encourage us to live a holistic life in all kinds of daily physical labors.
      번역하기

      This is a tentative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Sil-Hak scholars' life and thoughts can provide a perspective to make a change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first, I reviewe...

      This is a tentative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Sil-Hak scholars' life and thoughts can provide a perspective to make a change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first, I reviewed three thinkers in the main stream of Sil-Hak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constructed their living thoughts by means of the conceptual frame of Sil philosophy which I originally designed based on teh spirits of reality, authenticity, and undergoing experience. This interpretation of the thoughts of Sil-Hak leads us to overcome the chronical dualism on "body" and "mind." Second, a poetic form of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of Sil-Hak makes us to recognize the positive meaning of "daily labor." Although I roughly dealt with one of poets in Sil-Hak literature, it gave us an insight that such a rediscover of everyday life can be a significant criterion for the genuine modernity. It is my hope that such a reconsideration of Sil-Hak Sun-bi will encourage us to live a holistic life in all kinds of daily physical lab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Ⅰ. 글을 시작하며
      • Ⅱ. “몸으로 하는 일”에 대한 시각과 ‘실철학적(實哲學的)’ 개념의 틀
      • Ⅲ. 실학 선비들에 있어서 “몸으로 하는 일”에 대한 실철학적 의미
      • 목차
      • 국문초록
      • Ⅰ. 글을 시작하며
      • Ⅱ. “몸으로 하는 일”에 대한 시각과 ‘실철학적(實哲學的)’ 개념의 틀
      • Ⅲ. 실학 선비들에 있어서 “몸으로 하는 일”에 대한 실철학적 의미
      • (가) 성호 이익의 농업(農業) 중시 실학과 생산적 노동의 의미
      • (나) 연암 박지원의 “유통(流通)” 실학과 관점의 유동성
      • (다) 혜강 최한기의 기(氣) 실학과 체험적 구체성
      • Ⅳ. 한 실학 선비의 생활시를 통해 본 일상노동의 의미
      • Ⅴ. 글을 맺으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