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
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실마리들을 뽑아 내보려는 실험적인 고찰이다. 필자는 "실(實)철학"이라는 필자 나름의 개념의 틀을 통하여 대표적인 실학자들(성호 이익, 연암 박지원, 혜강 최한기)의삶과 사상들 속에서, 우리 일상의 육체노동에 대한 긍정적 의미들을 재구성해보았다. 그리고 한 실학 문학가(존재 위백규)의 시작품들을 통해 "생활시" 영역에서의 일상노동의 의미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일상성과 근대성 사이의 연결고리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글은 궁극적으로, 일상의 "몸을 움직여하는 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여 그 일을 하는 주체들로 하여금 통전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tentative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Sil-Hak scholars' life and thoughts can provide a perspective to make a change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first, I reviewe...
This is a tentative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Sil-Hak scholars' life and thoughts can provide a perspective to make a change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first, I reviewed three thinkers in the main stream of Sil-Hak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constructed their living thoughts by means of the conceptual frame of Sil philosophy which I originally designed based on teh spirits of reality, authenticity, and undergoing experience. This interpretation of the thoughts of Sil-Hak leads us to overcome the chronical dualism on "body" and "mind." Second, a poetic form of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of Sil-Hak makes us to recognize the positive meaning of "daily labor." Although I roughly dealt with one of poets in Sil-Hak literature, it gave us an insight that such a rediscover of everyday life can be a significant criterion for the genuine modernity. It is my hope that such a reconsideration of Sil-Hak Sun-bi will encourage us to live a holistic life in all kinds of daily physical labors.
목차 (Table of Contents)
'봄(見)'의 권능과 한계, 인식론적 도정에 대한 헌사
한국현대문학에서 몸 담론과 몸 연구의 새로운 가설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