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무의식과 젠더 표상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표상을 무의식적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오정희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은 무의식을 반영하는 은유로 표상되고 있다. 작품 속 화자의 유년...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표상을 무의식적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오정희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은 무의식을 반영하는 은유로 표상되고 있다. 작품 속 화자의 유년시절 상실체험은 애도의 과정을 끝내지 못하고 동일시 대상의 내면화로 이어진다. 때문에 화자는 여성으로서 젠더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자아 비난과 환멸의 시선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아버지 상실 단계에서 어머니와의 애착과 통합을 통해 동일시 대상을 대체하는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아버지라는 초자아가 화자의 무의식에 자리 잡게 된다. 화자의 무의식에 자리잡은 남성 초자아는 상실의 분노를 자신에게 향하게 한다. 그 결과 화자는 자기비하와 여성 젠더에 대한 환멸적 시선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렇듯 불안하고 왜곡된 화자의 젠더 정체성은 작가의 후기작인 옛우물에서 변모한 모습을 보인다. 옛우물 은 화자의 무의식이 반영된 은유를 통해 내면화된 동일시 대상을 대체하는 서사로 변모한다. 작품에서 화자는 자신의 기억을 소환하여 해석하고 명명하면서 타자가 자리 잡은 초자아와의 분리와 주체적 젠더 정체성 형성을 모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가 오정희의 경험과 의식이 작품 속 화자와 연동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정희가 창작을 통해 지속해온 여성적 자의식 탐구가 자신의 여성적 자의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ed the symbol of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the novels of Oh Jung-h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conscious. Gender identity in her novels is represented as a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The experience of loss of the ...

      This study considered the symbol of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the novels of Oh Jung-h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conscious. Gender identity in her novels is represented as a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The experience of loss of the narrator from the childhood appearing in her works fails in completion of the process of condolences, and is connected to internalization of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For this reason, the narrator is not able to acquire gender identity as a woman and begins to build the vision of self-condemnation and self-disillusionment. In other words, the narrator cannot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through attachment and integration with her mother in the stage of losing her father, she allows the superego called “father” to be installed in her unconscious. The male superego installed in the narrator’s unconscious leads the fury of loss to be directed to herself, and creates disillusion towards female gender. Nonetheless, the unstable and distorted gender identity of the narrator changes in “The old well” written in the late stage of production of the novelist. This work “The old well” transforms into a narrative replacing the internalized object of identification through the metaphor reflecting the unconscious of the narrator. The narrator in this work recalls her memory to interpret and designate it, until she achieves to separate superego installed by other, and seeks for formation of independent gender identit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writer Oh Jung-hee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narrator of her own work, in the middle of this process. This demonstrates that the research of female sense of identity, which Oh Jung-hee has been maintaining through her creation, is not irrelevant to female sense of identity of her ow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동일시와 젠더 정체성
      • Ⅲ. 무의식의 과정으로서 은유와 젠더 정체성 변모
      • Ⅳ. 나가며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동일시와 젠더 정체성
      • Ⅲ. 무의식의 과정으로서 은유와 젠더 정체성 변모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