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사전 편찬의 방향 = The direction of the dictionary compilation in the digital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6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Urimalsaem' which is currently operated o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bsite and to suggest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digital era and culture era.
      Since the digital age is an era of information and culture, users of 'Urimalsaem' want not only the meaning of vocabulary, but also culture related to vocabulary. if 'Urimalsaem'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dictionary that meets the needs of users, it should provide various contents by combining digital technology.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of linking Korean history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linking dialect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linking classical literature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linking modern literature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we proposed a method to utilize image corpus from the viewpoint of bibliography of old books. and we present the collection institution of digital materials and suggested ways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websit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Urimalsaem' which is currently operated o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bsite and to suggest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digit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Urimalsaem' which is currently operated o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bsite and to suggest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digital era and culture era.
      Since the digital age is an era of information and culture, users of 'Urimalsaem' want not only the meaning of vocabulary, but also culture related to vocabulary. if 'Urimalsaem'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dictionary that meets the needs of users, it should provide various contents by combining digital technology.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of linking Korean history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linking dialect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linking classical literature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linking modern literature image corpus with text corpus, we proposed a method to utilize image corpus from the viewpoint of bibliography of old books. and we present the collection institution of digital materials and suggested ways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websi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현재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와 문화의 시대에 맞는 보완책을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시대는 정보와 문화의 시대이기 때문에, ‘우리말샘’의 사용자들은단순히 어휘의 뜻풀이만을 원하는 게 아니고, 어휘와 관련된 문화까지도 보고 싶어 한다. 국어사전 ‘우리말샘’이 사용자들의 욕구에 충족하는 사전으로변모해야 한다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내용을 다양하게 서비스해야 할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사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 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방언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 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고전문학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 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현대문학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서지적 관점에서 이미지 말뭉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자료의 소장처를 제시하고, 웹사이트의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현재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와 문화의 시대에 맞는 보완책을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

      이 논문은 현재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국어사전 ‘우리말샘’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와 문화의 시대에 맞는 보완책을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시대는 정보와 문화의 시대이기 때문에, ‘우리말샘’의 사용자들은단순히 어휘의 뜻풀이만을 원하는 게 아니고, 어휘와 관련된 문화까지도 보고 싶어 한다. 국어사전 ‘우리말샘’이 사용자들의 욕구에 충족하는 사전으로변모해야 한다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내용을 다양하게 서비스해야 할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사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 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방언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 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고전문학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 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현대문학 이미지 말뭉치와 텍스트말뭉치를 연계하는 방안, 서지적 관점에서 이미지 말뭉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자료의 소장처를 제시하고, 웹사이트의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BC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2 홍윤표, "최근세 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2009

      3 국립국, "지역어 조사 보고서" 2012

      4 홍윤표, "인문학에서 자료의 구축과 활용" 26 : 5-46, 2010

      5 이태영, "완판본(完板本)의 개념과 범위" 열상고전연구회 (38) : 9-36, 2013

      6 이태영, "배지를 활용한 완판본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49) : 282-312, 2016

      7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조사 보고서" 2012

      8 홍윤표, "디지털 시대의 국어학" 국어국문학회 (143) : 9-32, 2006

      9 이태영, "국어사전과 방언의 정보화" 국어문학회 61 (61): 51-75, 2016

      10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상, 하)" 박이정 2006

      1 MBC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2 홍윤표, "최근세 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2009

      3 국립국, "지역어 조사 보고서" 2012

      4 홍윤표, "인문학에서 자료의 구축과 활용" 26 : 5-46, 2010

      5 이태영, "완판본(完板本)의 개념과 범위" 열상고전연구회 (38) : 9-36, 2013

      6 이태영, "배지를 활용한 완판본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49) : 282-312, 2016

      7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조사 보고서" 2012

      8 홍윤표, "디지털 시대의 국어학" 국어국문학회 (143) : 9-32, 2006

      9 이태영, "국어사전과 방언의 정보화" 국어문학회 61 (61): 51-75, 2016

      10 조희웅, "고전소설 연구보정(상, 하)" 박이정 2006

      11 박재연, "고어대사전"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16

      12 李昶憲, "경판방각소설 판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3 조희웅, "古典小說異本目錄" 집문당 1999

      14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한민족언어정보화 검색 프로그램"

      15 조숙정, "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6" 국립국어원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