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난관배양액이 처녀발생유기된 돼지난포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orcine Oviductal Conditioned Medium on in Vitro Development of Chemically Activated Porcine Follicular Oocy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2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난관배양액이 돼지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키 위하여 수행하였다. 돼지 미성숙 난포란은 TCM-199, Ham's F-10 그리고 Whitten's 배양액에 10% 난포액과 호르몬(PMSG : 10IU/㎖,...

      본 연구는 난관배양액이 돼지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키 위하여 수행하였다. 돼지 미성숙 난포란은 TCM-199, Ham's F-10 그리고 Whitten's 배양액에 10% 난포액과 호르몬(PMSG : 10IU/㎖, HCG : 10IU/㎖)을 첨가 20시간 배양하고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는 배양액에서 20시간 추가 배양하여 총 40시간동안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후 0.1% hyaluronidase로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15% FCS가 함유된 TCM-199으로 3회 세척하고 TCM-199에 15% FCS와 10% ethanol 혼합액에 세척한 난자를 옮겨 10분간 배양 처녀발생을 유기하였다. 처녀발생 6시간후 전핵형성율은 체외성숙배양액으로 TCM-199을 사용했을 때 56.4%, Ham's F-10의 경우 58.3%, Whitten's 배양액의 경우 74.0%를 보였다. 처녀발생 유기 48시간째 난할율은 TCM-199을 사용했을 때 45.7%, Ham's F-10에서 45.4%, Whitten's배양액에서 39.2%를 보였으며 세종류의 배양액에 POCM을 첨가 배양했을 때 TCM-199에 44.8%, Ham's F-10에서 45.4%, Whitten's배양액에서 43.7%로 나타났다. 처녀발생육 난자를 96시간 체외배양시킨 결과 상실배 발달율이 POCM을 첨가 했을 때 첨가하지 않은 시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porcine oviductal conditioned medium(POCM) on in vitro development of chemically activated porcine oocytes was studied. Porcine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Ham's F-10 and Whitten's medium with hormonal supplements for 20h and 40h a...

      The effect of porcine oviductal conditioned medium(POCM) on in vitro development of chemically activated porcine oocytes was studied. Porcine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Ham's F-10 and Whitten's medium with hormonal supplements for 20h and 40h additional culture without hormonal supplements. After in vitro maturation, the denuded oocytes were washed 3 times with TCM-199 contaning 15%(v/v) ethanol to induce pathenogenetic activation. At 6h after activation, pronuclea formation rates were 56.4% in TCM-199, 59.3% in Ham's F-10 and 74.0% in Whitten's maturation medium. At 48h after activation, 45.7%, 45.4% and 39.2% of oocytes claved in TCM-199, Ham's F-10 and Whitten's culture medium, respectively. And 44.8%, 45.5% and 43.7% of oocytes were claved in TCM-199, Ham;s F-10 and Whitten's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POCM, respectively. The rates of moular were higher in culture medium with POCM than without POCM at 96h after activation.(P<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