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중소기업 인력정책의 전개과정과 정책적 개선방향 및 과제 = Human Resource Policies for Korean SMEs from 2003 to 2012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HR Poli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1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in the last 10 years and evaluating its performance and limit by time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during the Roh and Lee administration by classifying the legislation and general plan, personal recruitment, employment by training, training, and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Since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is scattered around governmental department includi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and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his study is intended for that promoted by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evaluation on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major problems are drawn such as reducing effectiveness of policy due to low awareness of SMEs, policy focusing on suppliers in the short term, insufficiency of policy evaluation and feedback, and etc. Thus, this study suggests key improvements to enhance performance of establishing 3rd general plan for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reinforce drawing power(attractivity & retentivity) of its human resource, and strengthen its effectiven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in the last 10 years and evaluating its performance and limit by time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during the Roh and Le...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in the last 10 years and evaluating its performance and limit by time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during the Roh and Lee administration by classifying the legislation and general plan, personal recruitment, employment by training, training, and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Since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is scattered around governmental department includi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and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his study is intended for that promoted by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evaluation on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major problems are drawn such as reducing effectiveness of policy due to low awareness of SMEs, policy focusing on suppliers in the short term, insufficiency of policy evaluation and feedback, and etc. Thus, this study suggests key improvements to enhance performance of establishing 3rd general plan for human resource policy for SMEs, reinforce drawing power(attractivity & retentivity) of its human resource, and strengthen its effective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필규, "핵심인력의 중소기업 유입을 위한 정책과제" 중소기업연구원 (6) : 2005

      2 노민선,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 연구인력 고용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2 (22): 199-229, 2012

      3 대한상공회의소, "청년층의 중소기업취업 의사 및 미스매치 실태조사" 2012

      4 박상일, "중앙일보 인터뷰, 2013년 08월 29일자"

      5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중소기업청예․결산 검토보고서"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6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중소기업청예․결산 검토보고서"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7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실태조사 보고서" 중소기업청

      8 이춘우, "임금격차에 대한 산업생태계 관점에서의 해소방안, In 한국자본주의 생태계새로운 모색" 205-212, 2012

      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력채용패키지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0 노민선, "연구개발 보조금 지원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의 석・박사급 연구인력 고용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387-409, 2009

      1 백필규, "핵심인력의 중소기업 유입을 위한 정책과제" 중소기업연구원 (6) : 2005

      2 노민선,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 연구인력 고용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2 (22): 199-229, 2012

      3 대한상공회의소, "청년층의 중소기업취업 의사 및 미스매치 실태조사" 2012

      4 박상일, "중앙일보 인터뷰, 2013년 08월 29일자"

      5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중소기업청예․결산 검토보고서"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6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중소기업청예․결산 검토보고서"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7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실태조사 보고서" 중소기업청

      8 이춘우, "임금격차에 대한 산업생태계 관점에서의 해소방안, In 한국자본주의 생태계새로운 모색" 205-212, 2012

      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력채용패키지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0 노민선, "연구개발 보조금 지원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의 석・박사급 연구인력 고용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387-409, 2009

      11 Martin, J. P., "What works and for whom: A review of OECD countries' experience with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 8 (8): 9-56, 2001

      12 중소기업중앙회, "2013년 중소기업 현황"

      13 고용노동부, "2013 상반기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보고서" 고용노동부 2013

      14 고용노동부, "2011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조사 보고서" 고용노동부 2012

      15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0년도 취업자격 체류 외국인현황"

      16 중소기업청, "2008년도 중소기업 인력채용캐피지사업 결과보고서" 중소기업청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3 1.52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