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 초기 낭만주의 시의 산문화 경향과 시적 이미지 = The Prosaic Tendency and Poetic Image of Romanticism Poem in Early Moder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의 근대성은 시적인 것과 산문적인 것이라는 두 극(極) 사이에서 방황해간 궤적으로 나타난다. 한국 근대시는 낭만주의를 통해 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 초기 낭만주의 시인들은 현...

      시의 근대성은 시적인 것과 산문적인 것이라는 두 극(極) 사이에서 방황해간 궤적으로 나타난다. 한국 근대시는 낭만주의를 통해 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 초기 낭만주의 시인들은 현실로부터 자율적인 시적 공간을 마련하여 시적인 것을 확보하고자 했다. 하지만 삶을 옥죄는 현실에 대한 감정의 토로로 나아가거나 은유적으로라도 산문적 현실을 담아내야 했기 때문에 산문화에의 지향으로 이끌리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 근대 낭만주의 시에는 시적인 것과 타율적인 산문성이 모순적으로 공존한다.
      낭만주의가 연 근대시는, 독일 초기 낭만주의에서 볼 수 있듯이, 세계를 낭만화하자는 기획 아래서 시의 산문화가 이루어지면서 형성되어갔다. 나아가 시의 산문화는 산문을 이미지의 논리에 용해시키고 이미지의 리듬을 확보하면서 포에지를 획득해 나갔다. 이러한 근대 자유시의 성립 과정은 한국 근대초기 낭만주의 시인들 역시 보여주었는데, 그들은 시적인 것과 산문성의 긴장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에 유입된 산문성을 시적 이미지의 창출과 구성을 통해 승화하고자 했다.
      1910년대 『학지광』에 실린 몇몇 시들은, 정형률에서 탈피하면서 산문과는 다른 자유시의 독자적인 미적 가치를 마련하려는 시인들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서정적 주체의 내면 공간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시적인 것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하지만 시의 공간에 산문적인 것이 침투하면서 시인들은 시적인 것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김억은 ‘밤’의 상징적 이미지를 구축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려고 했다. 주요한은 「불놀이」에서 ‘밤’의 상징적 이미지를 이어받으면서 ‘불꽃’의 이미지를 통해 산문을 산문시로 승화하는 데 성공했다. 김억과 주요한은 ‘밤의 낭만주의’를 통해 한국 근대시를 출범시켰다.
      1920년대의 1920년대의 많은 시들이, 낭만적인 감정의 분출을 통해 산문에 리듬을 만들어냄으로써 시적인 것을 획득하는 「불놀이」의 길을 따라갔다. 이상화와 김소월은 산문이 개입되는 낭만주의의 두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들은 시에 시적인 것을 유지하면서 산문을 들여오는 방안으로 ‘대지’의 상징에 기댔다. 이들은 ‘대지의 시학’을 통해 한국의 산문적 현실을 시에 담아내면서, 이를 낭만적으로 승화시켰다. 이상화 시에서 대지의 이미지는 성적인 의미를 품으면서 열정적이고 발랄한 리듬을 산출했다. 김소월은 대지의 이미지를 통해 상실을 노래했으며, 나아가 일상의 노동을 시화하면서 산문적 경향에 이끌렸다. 이상화와 김소월은 밤의 낭만주의에서 낮의 낭만주의로의 이행을 보여주면서 한국 낭만주의의 두 전형을 정립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etry modernity has appeared in the trace of wandering between poetic extreme and prosaic extreme. Korean modern poetry established through the Romanticism. Korean Romantic poet of early modern age tried to secure the poetic making autonomous poe...

      The poetry modernity has appeared in the trace of wandering between poetic extreme and prosaic extreme. Korean modern poetry established through the Romanticism. Korean Romantic poet of early modern age tried to secure the poetic making autonomous poetic space from reality. However Korean modern poetry inclined to the prosaic tendency because of exposing the feelings of choking reality or having to express the prosaic reality metaphorically. Therefore Korean Romantic modern poem had coexistence of both the poetic and the heteronomous prosaic.
      Like early Romanticism of Germany we could have seen, modern poem which Romanticism opened has been formed making poem prosaic under the plan of romanticizing the world. Furthermore, to make the poem prosaic has been acquiring the ‘poesie’ not only melting the prose in image logic but also securing the image rhythm. Korean Romantic poet of early modern age also showed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free verse. They tried to sublimate the prosaic of poem through creating and organizing the poetic image in order to relax the tension between the poetic and the prosaic.
      Several poems which was published in the 『Hak Ji Kwang』 of 1910s showed the effort of poet who has created the independent aesthetic value of free verse differently from prose getting out of fixed rhythm. They tried to make the poetic forming the inward space of lyrical subject. However poets had hard time securing the poetic while the prosaic passing through in the poem space.
      Kim Yeok tried to solve such a difficulty by means of cultivating the symbolic image of ‘night’. Ju Yo-Han succeeded in sublimating the prose into prose poem through the image of flame, while he inherited the symbolic image of ‘night’ from the 「Fireworks」. Kim Yeok and Ju Yo-Han inaugurated Korean modern poetry through the ‘Romanticism of night’.
      A lot of poetry of 1920s followed the way of 「Fireworks」 acquiring the poetic by means of making the rhythm in the prose through the eruption of romantic emotion. Lee Sang-Wha and Kim So-Wol showed the aspect of Romanticism intervening the prose very well. They leaned on the symbol of the ‘Earth’ as a way of adopting the prose maintaining the poetic in the poetry. They not only melted the prosaic reality of Korea into the poetry through the ‘Poetics of Earth’ but also sublimated it romantically.
      The earth image of Lee Sang-Wha’s poem not only had the sexual meaning but also produced the passionate and vivacious rhythm. Kim So-Wol recited the loss through the earth image. In addition, he was attracted by the prosaic tendency poeticizing everyday labor. It could be evaluated that Lee Sang-Wha and Kim So-Wol established two models of Korean Romanticism, while showing the transition from Romanticism of night to Romanticism of 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낭만주의 시문학의 내적 논리:독일 초기 낭만주의에서 포에지, 산문, 이미지
      • Ⅲ. 한국 근대 자유시의 성립과정에서 김억과 주요한 시의 산문성과 이미지
      • Ⅳ. 이상화와 김소월의 ‘대지(흙) 이미지’와 그 상징성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낭만주의 시문학의 내적 논리:독일 초기 낭만주의에서 포에지, 산문, 이미지
      • Ⅲ. 한국 근대 자유시의 성립과정에서 김억과 주요한 시의 산문성과 이미지
      • Ⅳ. 이상화와 김소월의 ‘대지(흙) 이미지’와 그 상징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외" 솔 1999

      2 옥타비오 파스, "활과 리라" 솔출판사 1998

      3 김용직, "현대 한국의 낭만주의 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4) : 1968

      4 김억, "해파리의 노래(외)" 범우사 2004

      5 장만호, "한국시와 시인의 선택" 서정시학 2015

      6 오세영, "한국 낭만주의 시 연구" 일지사 1980

      7 정우택, "한국 근대 자유시의 이념과 형성" 소명출판 2004

      8 김동규,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한국 모더니즘 시" 새미 출판사 2004

      9 위르겐 하버마스,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0

      10 질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출판사 2001

      1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외" 솔 1999

      2 옥타비오 파스, "활과 리라" 솔출판사 1998

      3 김용직, "현대 한국의 낭만주의 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4) : 1968

      4 김억, "해파리의 노래(외)" 범우사 2004

      5 장만호, "한국시와 시인의 선택" 서정시학 2015

      6 오세영, "한국 낭만주의 시 연구" 일지사 1980

      7 정우택, "한국 근대 자유시의 이념과 형성" 소명출판 2004

      8 김동규,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한국 모더니즘 시" 새미 출판사 2004

      9 위르겐 하버마스,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0

      10 질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출판사 2001

      11 이상규, "이상화 문학전집" 경진출판 2015

      12 김진수, "유럽 낭만주의 문학의 한국적 수용 : 1920년대의 『백조』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21 : 215-240, 2005

      13 오장환, "오장환 전집" 실천문학사 2002

      14 에른스트 벨러, "아이러니와 모더니티 담론" 동문선 2005

      15 이정일, "시학사전" 신원문화사 1995

      16 가스똥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이학사 2007

      17 가스똥 바슐라르, "불의 시학의 단편들" 문학동네 2004

      18 가스똥 바슐라르, "물과 꿈" 문예출판사 1980

      19 필립 라쿠-라바르트, "문학적 절대. 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 그린비출판사 2015

      20 김흥규, "문학과 역사적 인간" 창작과 비평사 1980

      21 발터 벤야민,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도서출판b 2013

      22 가스똥 바슐라르, "대지와 의지의 몽상" 삼성출판사 1982

      23 가스똥 바슐라르,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02

      24 이시야 벌린, "낭만주의의 뿌리" EJB 2005

      25 프레데릭 바이저,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 그린비 2011

      26 Lillian R. Furst, "낭만주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8

      27 알베르 베갱, "낭만적 영혼의 꿈" 문학동네 2001

      28 권영민, "김소월 시전집" 문학사상 2007

      29 조영복,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1) : 1999

      30 "『학지광』,『태서문예신보』,『창조』,『조선지광』등. 김소월, 이상화의 전집"

      31 최명국, "『백조』동인들의 문학적 지향과 시사적 의의" (24) : 2011

      32 박승희, "1920년대 데카당스와 동인지 시의 재발견" 한민족어문학회 (47) : 311-334, 2005

      33 황정산, "1920년대 낭만주의 시의 계몽주의적 성격― 『백조』파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0) : 293-310, 2003

      34 허혜정, "1920년대 낭만주의 시에 나타난 '아이'의 근대적 의미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4 (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1 1.36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