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 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적용- = The Roles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for the Community Building : In-Depth Interviews for Cases in Chungcheong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3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간지원조직은 농촌 공동체 활성화를 견인하는 중요한 조직이다. 중간지원조직은 지역사회 개발흐름에서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하여 운영되는 조직인 만큼 바람직한 역할과 활동이 매우 ...

      중간지원조직은 농촌 공동체 활성화를 견인하는 중요한 조직이다. 중간지원조직은 지역사회 개발흐름에서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하여 운영되는 조직인 만큼 바람직한 역할과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생겨나고 있는 많은 중간지원조직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그 의견이 많이 갈리는 상태이다. 이에 중간지원조직의 본래 설치 의미가 퇴색하지 않도록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정립에 도움이 될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중간지원조직과 관계된 전문가와 실무자 등 5명을 참여자로 한 심층 면담이다. 연구결과, 먼저,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중간지원조직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실력 있는 자들이 지역에 많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 조성과 교육이나 토론 등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다양성 확보가 중요하였다. 둘째,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관해서는 지역의 공동체 활성화를 돕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지역의 성공모델을 발굴하여 정착시키는 역할과 지역의 상담소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중간지원조직의 운영 사례에 관해서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중간지원조직의 운영을 위해 법적 제도 마련이 시급하였으며, 강력한 운영위원회의 구성으로 중간지원조직 운영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중간지원조직 역할의 정립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질적인 지표를 제시한 것이다. 정책적 시사점은 중간지원조직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전문가 영입을 위한 업무 환경 개선과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계점은 비용적·시간적 제약 때문에 좀 더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지 못한 부분이 아쉬운 것과 충청남도의 중간지원조직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is an important organization leading the revitalization of rural communities. Since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is an organization operating based o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flow of the deve...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is an important organization leading the revitalization of rural communities. Since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is an organization operating based o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flow of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their desirable roles and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However, the opinions of the roles many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 unit should play split much. Thus,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helpful for establishing the roles of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so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installation of them will not be discolored. The research method is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persons, including experts and hands-on workers related to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s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ncerning the necessity of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t would be important to set the conditions in which many capable persons could flow into the regions so that they can operate well and to secure the diversity of programs for the empowerment model like education or discussion. Second, concerning the roles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their roles to discover success local models and settle them and to serve as local counseling centers are important as a group of experts helping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ies. For metropolises, the roles would be necessary centering around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while for local governments, the education adhered to the site and the role of local networking would be important. Third, concerning the cases of the operation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t would be urgently necessary to prepare legal institutions for their stable and steady operation, and it would be important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operation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by organizing a powerful operating committee. As an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t presented qualitative indices,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establish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s a policy implication, legislation would be required so that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could function properly.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treatment for recruiting experts. As limitations,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since more diverse experts could not participate due to the constraints of cost and time,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be careful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since it was conducted limited to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n Chungcheongnam-d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훈, "헝가리 고추산업 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2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홈페이지 전국 센터 찾기"

      3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4 우치다 유조, "커뮤니티 워크를 활용한 마을 만들기" 82 : 5-23, 2006

      5 김재현,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6 지식경제부, "커뮤니티 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매뉴얼" 18-, 2011

      7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8 송두범, "충남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과제" 56 : 31-39, 2011

      9 John W. Crewell,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5

      10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 김성훈, "헝가리 고추산업 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2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홈페이지 전국 센터 찾기"

      3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4 우치다 유조, "커뮤니티 워크를 활용한 마을 만들기" 82 : 5-23, 2006

      5 김재현,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6 지식경제부, "커뮤니티 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매뉴얼" 18-, 2011

      7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8 송두범, "충남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과제" 56 : 31-39, 2011

      9 John W. Crewell,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5

      10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1 배응환, "지역혁신체제와 중개조직 - 대덕밸리의 BI사업과 RIC사업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7 (17): 193-222, 2008

      12 정지웅, "지역사회개발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3 임경수,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발전 방향 자료집" 지역농업연구원 2013

      14 최인수,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선진형 행∙재정적 지원체계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15 박종관,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83-193, 2012

      16 김학실, "지역경제 위기에 대응한 사회적 경제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 활동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75-97, 2014

      17 김현호,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18 김두순, "주민주도 마을 만들기를 위한 농촌현장포럼 프로세스 개선 -면담에 의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6 (26): 215-235, 2018

      19 노정민, "주거지 재생사업에서 일상활동과 계획활동의 사회적 자본에의 영향관계 분석 - 도시재생사업단 창원시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307-319, 2013

      20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21 이자성, "일본 커뮤니티 비즈니스(Ⅱ)" 113 : 118-132, 2011

      22 이자성, "일본 지역공동체 경영을 위한 주민 참여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1-19, 2010

      23 강내영, "일본 시민사회의 꽃 NPO 지원센터를 가다" 희망제작소 69-80, 2008

      24 고재경,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101-135, 2014

      25 박경철, "아산시 마을 만들기 민간네트워크 구축 및 중간지원조직 운영방안" 충남연구원 2015

      26 이재완,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09-437, 2014

      27 "사회적기업 육성법. (개정 2012.2.1. 법률 제11275호)"

      28 김태영, "사회적경제 영역의 광역단위 중간지원조직 역할 수행 분석: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적용" 정부학연구소 22 (22): 81-125, 2016

      29 데보라 K. 패짓,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나남출판 2001

      30 권진휘, "부산시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의 전략과 구상" 78-83, 2015

      31 박세훈, "마을만들기 참여 거버넌스의 비교분석 : 제도주의적 접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07-220, 2009

      32 박태정, "마을공동체사업의 프로그램논리모형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5 (15): 31-55, 2014

      33 이기태,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 거래비용이론 관점에서 -" 한국정책학회 25 (25): 455-490, 2016

      34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마을 살이 작은 연구" 서울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 2015

      35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36 전창진,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주 T/B 중간지원조직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2 (12): 297-310, 2014

      37 김지현,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 지원센터 발전방안 세미나 :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 설립 및 운영방안" 94-98, 2016

      38 조은영, "도시재생 시민참여과정 비교분석 연구: 서울시 ‘서울로7017’과 ‘문화비축기지’사업 사례" 한국비교정부학회 22 (22): 165-189, 2018

      39 김홍주,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도시재생지원센터거버넌스 특성 및 향후 운영" 한국공간환경학회 28 (28): 140-165, 2018

      40 김두순,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업무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20 (20): 937-952, 2013

      41 이차희, "농촌체험관광 중간지원조직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양평군·이천시 농촌나드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20 (20): 75-88, 2014

      42 송미령, "농업· 농촌정책의 연속성 제고를 위한 농정 추진체계 정비의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43 Glaser, B. G, "근거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 학지사 2011

      44 고재경, "경기도 저탄소 녹색마을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2

      45 남원석, "경기도 마을 만들기 지원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2

      46 de Souza Briggs, X, "Working the middle Roles and challenges of intermediaries" 2003

      47 Rhodes, R, "Understanding Governance: Policy Networks, Governance, Reflexity and Accountability" Open University Press 1997

      48 Howard Partners, "The Role of Intermediaries in Support of Innovation" Department of Industry. Tourism and Resources 2007

      49 Rhodes, R. A. W, "The New Governance :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44 (44): 652-667, 1996

      50 Chaskin, R, "The Issue of Governance in Neighborhood-based Initiatives" 32 (32): 631-661, 1997

      51 Brown, L. D,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Evolution of the NGO Sector" 31 (31): 231-258, 2002

      52 Dahl, R. A, "Size and Democr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3

      53 Bastow , S, "Re-Energising Citizenship : Strategies for Civil Renewal" Palgrave 112-137, 2006

      54 Creswel, J,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2

      55 Blank, M. J, "Local Intermediary Organizations: Connecting the Dots for Children, Youth, and Families" Job for the Future 2003

      56 Lowndes, V, "How Low Can You Go? Rationales and Challenges for Neighbourhood Governance" 86 (86): 53-74, 2008

      57 Denzin, N. K,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005

      58 박덕병, "EU의 농촌개발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123-162, 2009

      59 박덕병, "EU 국가의 농촌개발정책: 스페인 엑스트라마두라, Jerta Valley 사례" 한국농촌지도학회 15 (15): 551-576, 2008

      60 Cuningham, J. V, "Citzen Participation in Public Afairs" 32 : 589-602, 1972

      61 Yang, K, "Citizen Involvement Efforts and Bureaucratic Responsiveness : Participatory Values, Stakeholder Pressures, and Administrative Practicality" 67 (67): 249-264, 2007

      62 Chaskin, R, "Building Community capacity : As Definition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36 (36): 291-323, 2001

      63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014

      64 행정안전부, "2018년 마을기업육성사업 시행지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3 1.0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