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Contribu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Australian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3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오늘날 관심받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찾아보고 지리교육의 현장 적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호주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분석하였다. 그간 지리교...

      본 연구는 오늘날 관심받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찾아보고 지리교육의 현장 적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호주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분석하였다. 그간 지리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의 핵심교과로 인정받아 왔다. 특히, 호주 지리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에서 역할과 기여면 에서 특별함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호주 지리교육의 세계시민교육에서의 역할과 기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면에서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을 결부한 장소성, 장소 간의 연결, 세계의 복잡성과 다양성, 그리고 상호 연결망, 글로벌 이슈 등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둘째, 방법 면에서 관찰, 분석, 현장답사 등의 탐구학습과 GIS, GPS, 구글어스 등 지리정보와 ICT 활용을 통해 글로벌 관점과 지리적 상상력으로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셋째,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환경`에의 접근 교육이다. 호주에서는 지리교육을 통해 환경에 대한 교육과 환경을 위한 교육을 위해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적 관점으로 교육에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과 지리교육과의 관계를 고려해볼 필요를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geography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ustralia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core subje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geography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ustralia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core subject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Australian geography education has played a special role and contribution in educating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education.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Australian geography education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contents, places, connections between places, global diversity, complexity an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laces, global issues are included in geography education. Second, in methodological aspects, inquiry learning including observation, analysis and fieldwork and us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IS, GPS, Google Earth and maps help to foster an insight into the global with a global perspective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Thir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 is learned to the students. It is the access to edu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education in primary scho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다니엘라 틸버리, "호주의 문화 간 이해교육" (봄) : 172-197, 2003

      2 권정화, "지리교육학 강의노트" 푸른길 2015

      3 이태주,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회 45 (45): 293-317, 2010

      4 권정화, "지구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37 : 1-12, 1997

      5 서태열, "지구촌 시대의 '환경을 위한 교육'의 개념적 모형의 재정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1-12, 2003

      6 이경한,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지리의 연계성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45-75, 2015

      7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8 심광택,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보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53-68, 2012

      9 옥한석, "세계화시대 세계지리 읽기" 한울아카데미 2011

      10 Appiah, K. A., "세계시민주의" 바이북스 2008

      1 다니엘라 틸버리, "호주의 문화 간 이해교육" (봄) : 172-197, 2003

      2 권정화, "지리교육학 강의노트" 푸른길 2015

      3 이태주,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회 45 (45): 293-317, 2010

      4 권정화, "지구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37 : 1-12, 1997

      5 서태열, "지구촌 시대의 '환경을 위한 교육'의 개념적 모형의 재정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1-12, 2003

      6 이경한,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지리의 연계성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45-75, 2015

      7 김현미,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33-43, 2014

      8 심광택,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보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53-68, 2012

      9 옥한석, "세계화시대 세계지리 읽기" 한울아카데미 2011

      10 Appiah, K. A., "세계시민주의" 바이북스 2008

      11 UNESCO, "세계시민교육:학습주제 및 학습목표"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2015

      12 김다원,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에서 ‘여행’의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131-162, 2015

      13 김갑철,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 51 (51): 455-472, 2016

      14 정우탁,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살림터 2015

      15 이선경,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살림터 218-235, 2015

      16 이경한,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도서출판 살림터 326-341, 2015

      17 강순원,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69-91, 2010

      18 Christine, I., "다문화교육의 세계동향" 시그마프레스 95-105, 2014

      19 Standish, A., "글로벌관점과 지리교육" 푸른길 2015

      20 조철기,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162-180, 2013

      21 지바 아키히로, "국제이해교육의 국제적 전망과동향" 10 : 10-40, 1999

      22 Blij, H. D., "공간의 힘" 천지인 2009

      23 Anderson, J., "What is geography’s contribution to making citizens?" 93 (93): 34-39, 2008

      24 Hicks, D., "Visions of the future: Why we need to teach for tomorrow" trentham Books 1995

      25 Mannion, G., "The global dimension in education and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genealogy and critique" 9 (9): 443-456, 2011

      26 Cabrera, L., "The Practice of Global Citizenship"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7 Australian Education Council, "The Hobart Declaration on Schooling"

      28 Kirby, C., "The Future Starts Here" 2016

      29 ACARA, "The Australian Curriculum: Geography"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30 Kincheloe, J., "Teachers as Researchers: Qualitative Inquiry as a Path to Empowerment" Routledge Falmer 2003

      31 Paige, R., "Study Abroad for Global Engagement: The Long-term Impact of Mobility Experiences" 20 (20): 29-44, 2009

      32 ACARA, "Shape of the Australian Curriculum: Geography"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33 Lambert, D., "Secondary Geography Handbook" Geographical Association 30-37, 2006

      34 한경구, "SDG’s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추진 방안" APCEIU 2015

      35 Machon, P., "Reflective Practice in Geography Teaching" Paul Champman Publishing 179-191, 2000

      36 Gryl, L., "Re-centering geoinform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oward a spatial citizenship approach" 47 (47): 2-12, 2012

      37 Victoria State Government, "Internationalising Schooling"

      38 Morris, D.,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Scale" 15 (15): 445-466, 2011

      39 Andreotti, "Glob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Post-’ of Postmodernism" 2 (2): 5-22, 2010

      40 Global Education Guidelines Working Group, "Global Education Guidelines"

      41 OECD, "Global Competency for an inclusive world" OECD

      42 Wintersteiner, W.,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ustrian Commission for UNESCO 2015

      43 Palmer, Joy A.,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Peter Lang 3-11, 1997

      44 Oxfa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45 Kehl, K., "Differences in Globalmindedness between Short-term and Semester-long Study Abroad Participants at selected private Universities" 15 (15): 67-80, 2008

      46 Andreotti, V. O., "Between the nation and globe: education for global mindness in Finland, Globalization" 13 (13): 246-259, 2015

      47 Hanvey, R. G., "An Attainable Global Perspective" 21 (21): 162-167, 1982

      48 Education Council, "Adelaide Declar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