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언간 자료와 사전의 표제어 = Vernacular Script Data and Headword of Diction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1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t up the standard of what was selected as headwords out of diverse different expressions of one word and to make a plan for selecting headwords of 'vernacular script word example dictionary'. To do so, this study exa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t up the standard of what was selected as headwords out of diverse different expressions of one word and to make a plan for selecting headwords of 'vernacular script word example dictionary'. To do so,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ing archaic dictionaries on the basis of 'selection of headword', 'format of headword items' and 'arrangement method of headword items'. In this paper, I also review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headwords', 'format of headword items' and 'arrangement method of headword items' in vernacular script word example dictionary. When one word has diverse forms and only one form or some forms are selected as a headword, we need to know the linguistic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forms in advance. 'Vernacular script word example dictionary' selects different words followed by historic changes, regional dialects, social class, each expression and each specific family, as a headword. Because it has characteristics followed by distribution of the times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eoul/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distribution of nobleman's class and gender in royal family; expressive distribution with differences in recognition about expressions; and distribution by each family with differences by each family. In the format of headword items, the study used form analysis applied to the 「Grand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4 - old sayings and Idu」. In the arrangement method of headword items, the study regarded the syllabic order prescribed by 'Korean Orthography' as standard, and arranged by the Byeongseo letters of initial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옛말[古語] 사전의 성격
      • 3. 옛말[古語] 사전의 표제항
      • 4. ‘언간 어휘 용례 사전’(가칭)의 표제항
      • 5. 결론
      • 1. 머리말
      • 2. 옛말[古語] 사전의 성격
      • 3. 옛말[古語] 사전의 표제항
      • 4. ‘언간 어휘 용례 사전’(가칭)의 표제항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희, "한국어사전과 고어" 21 : 41-66, 1996

      2 이병근,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3 유현경,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도서출판 역락 2008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5 김양진, "표제어 배열방식에 따른 국어사전의 거시구조 연구" 우리어문학회 (30) : 7-31, 2008

      6 최경봉, "특수사전 편찬의 현황과 과제" 우리어문학회 (30) : 59-86, 2008

      7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8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9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1992

      10 신성철, "옛말 어휘 사전의 의의와 과제-언간 어휘 사전의 체재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48 (48): 89-114, 2010

      1 이현희, "한국어사전과 고어" 21 : 41-66, 1996

      2 이병근,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3 유현경,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도서출판 역락 2008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5 김양진, "표제어 배열방식에 따른 국어사전의 거시구조 연구" 우리어문학회 (30) : 7-31, 2008

      6 최경봉, "특수사전 편찬의 현황과 과제" 우리어문학회 (30) : 59-86, 2008

      7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8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9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1992

      10 신성철, "옛말 어휘 사전의 의의와 과제-언간 어휘 사전의 체재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48 (48): 89-114, 2010

      11 이병근, "사전 및 사전학. in: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554-567, 1990

      12 남길임, "말뭉치 기반 사전 편찬의 동향과 지향 방향 -최근 30년간의 사전편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16) : 75-98, 2005

      13 김민수, "국어사전 - 그 표제어 선정과 배열 문제" 36-57, 1986

      14 홍윤표, "국어 어휘 역사 자전에 대하여" 1 : 31-56, 2003

      15 남기심, "국어 사전의 자모의 차례와 표제어의 배열순에 관하여" 2 : 7-23, 1989

      16 홍종선, "국어 사전 편찬의 역사(1)" 우리어문학회 30 (30): 117-143, 2008

      17 이전경, "구결사전 편찬에 대하여" 7 : 217-243, 2006

      18 남광우,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1997

      19 박재연, "고어뎐" 선문대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1

      20 남광우, "고어사전" 동아출판사 1960

      21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Ⅱ" 국립국어연구원

      2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Ⅰ" 국립국어연구원 2000

      2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세기 국어사전" 태학사 1995

      24 한재영, "15세기 국어사전 편찬에 관한 몇 문제" 25 (25): 523-547,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1-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ong Wo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Joongwo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원언어학회 -> 한국중원언어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1 0.86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