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6-17세기 비르투오소의 역할 고찰: 디미누션 연주와 스프레짜투라(sprezzatura)를 중심으로 = Contemplating the Role of Virtuoso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focusing on Diminution and Sprezzatu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8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6-17세기는 성악음악 뿐만 아니라 기악음악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시기로, 기악 음악의 레퍼토리는 보다 풍부해졌으며 성악곡의 반주나 편곡을 연주하는 수준을 넘어 독자적인 기악곡 장르...

      16-17세기는 성악음악 뿐만 아니라 기악음악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시기로, 기악 음악의 레퍼토리는 보다 풍부해졌으며 성악곡의 반주나 편곡을 연주하는 수준을 넘어 독자적인 기악곡 장르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연주법을 소개하는 이론서들이 많이 출판됨으로써 그 어느 시기보다도 연주 실제에 대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 연주법에 대해 다룬 문헌들에서는 장식음, 특히 디미누션(diminution)에 대해 주로 다루었는데, 이는 기악음악의 발전에 상응하는 결과이자 이 시기의 주요 특징이기도 하다. 이처럼 디미누션 연주법에 대한 다양한 지침서들의 등장은 당시 비르투오소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이상적인 연주자에 대한 중요성과 기대가 이전보다 커졌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 이상적인 궁정인의 자질을 가리켰던 ‘스프레짜투라’(sprezzatura )는 카스틸리오네(Baldassare Castiglione, 1478~1529)의 『궁정론』(Il Cortegiano , 1528)에서 언급되었는데 이 후 카치니(Giulio Caccini, 1550~1618)가 최초로 이 용어를 연주법에 적용시켰다. 그러나 이후 이 용어는 카치니 동시대 및 다음 세대에서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다. 비록 연주자의 자질을 가리키는 한 용어로서 사용되었던 스프레짜투라는 카치니 이후 어느 문헌에서도 언급되지 않았지만 기악음악이 발달한 16-17세기 비르투오소들에게 의미있고 유효한 개념임에 틀림없다. 본 논문에서는 ‘스프레짜투라’ 용어를 음악의 연주 실제에 적용하여 16-17세기 비르투오소의 역할과 당시 주요 논의 대상이었던 디미누션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상적인 비르투오소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6th and 17th century is the period not only vocal music but also instrumental music developed dramatically. The repertoire for instrumental music became more abundant than any period before, and the independent genre for instrumental music emerge...

      The 16th and 17th century is the period not only vocal music but also instrumental music developed dramatically. The repertoire for instrumental music became more abundant than any period before, and the independent genre for instrumental music emerged, not just by accompanying or transcribing vocal music. At the same time, as a lot of treatises that introduced performance technique of the time published, many musicians and musicologists concentrated on performance practice in a discussion. The treatises of the performance practice in this period treated the practice of ornamentation, especially "diminution," which was a result that corresponded to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music and a key characteristic of the time as well. The advent of such various guides related to the practice of diminution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many virtuoso of the time. This phenomenon has a meaning in that an importance and expectation of ideal virtuoso has increased more than before. The term "Sprezzatura," which indicated the qualification of ideal courtier, mentioned in Il Cortegiano (1528) by Baldassare Castiglione. Giulio Caccini was the first who applied this term to performance practice. However, sprezzatura had never been referred to among any musician after that. Although this happened, it is true that sprezzatura must be a fundamental and valid concept for virtuoso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is article, applying the notion sprezzatura to performance practice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music,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virtuoso of the time and diminution and contemplates the meaning of ideal virtuos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