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하대 원성왕대의 宗廟와 瑞祥 = A Study on the Jongmyo Shrine and the auspicious sign of King Wonseong of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47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Wonseong ascended the throne as the 12th-generation descendant of King Namul.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were also descendants of King Namul. King Wonseong recognized both King Namul and King Taejong Muyeol as ancestors. Depending on the ...

      King Wonseong ascended the throne as the 12th-generation descendant of King Namul.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were also descendants of King Namul. King Wonseong recognized both King Namul and King Taejong Muyeol as ancestors. Depending on the patriarchal system, the person who accedes to his father’s position was called Jongja(宗子) and the other sons, Jija(支子). The lineage of the head family is called Jongtong(宗統). When there is no Jongja, the Jija is considered as the successor to inherit the Jongtong. King Wonseong succeeded to the throne as the Jija.
      Emperor Guangwu of the Later Han Dynasty is the ninth-generation descendant of Emperor Gotti of the Former Han Dynasty. He held a memorial service for Emperor Xuan and Emperor Yuan at Jongmyo Shrine. Guangwu built a private tomb(私親廟) for his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andfather.
      King Wonseong gave the title of the Great King(大王) to his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andfather. He also he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grandfather and father at Jongmyo Shrine. It is like a Sijo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his ancestors at Jongmyo Shrine.
      King Wonseong was actually a founder and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royal command. Like King Mu of the Zhou Dynasty, King Wonseong used the red crow, which means fire, as an auspicious sign. This means the establishment of a new 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원성왕의 종묘 개편과 서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종법제에 따르면 宗統은 宗子가계승하며, 나머지 아들은(別子, 支子) 小宗의 시조가 된다. 종자가 없으면 지자가 종통의 후사가 되어...

      이 글은 원성왕의 종묘 개편과 서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종법제에 따르면 宗統은 宗子가계승하며, 나머지 아들은(別子, 支子) 小宗의 시조가 된다. 종자가 없으면 지자가 종통의 후사가 되어(爲人後者) 대종을 계승한다(入繼大統). 원성왕은 나물왕의 12세손으로 왕위를 계승하였으므로, 지자로서 대통을 계승한 것이 된다. 그는 선덕왕과 모계로 형제뻘이지만 재위한 왕의 아들, 손자, 증손, 사위, 외손에 해당하지 않는 방계였다. 원성왕은 만파식적의 수수를 통해 중대 왕실의 계승을 표방하였다. 이는 원성왕이 나물왕계이자 태종무열왕계라는 중첩된 계보인식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前漢의 宣帝는 武帝의 증손으로 즉위하였는데, 아들이 천자이면 아버지를 천자로 제사한다는 예에 따라 아버지를 위한 皇考廟를 세웠다. 반면 後漢의 光武帝는 전한 고조의 9세손으로 즉위하였는데, 위인후자설에 따라 직계 4친을 私親廟로 격하하여 제사하였다. 원성왕과 관료들은 『한서』, 『예기』 등을 통해 위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원성왕은 지자로서 직계 4 친을 私親으로 대해야 했으나, 재위왕과 같은 대왕으로 추봉하였다. 또 선제와 같이 아버지만을 부묘해야 했으나, 직계 2친을 종묘에 부묘하였다. 이는 새로운 왕통의 개창을 표방하려는 원성왕의 의사가 어느정도 관철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원성왕은 즉위하며 赤烏를 받았는데, 적오는 이때 처음 등장하는 서상이다. 적오는 周 武王의 대업을 상징하는 서상으로 火德에 해당한다. 전한의 고조와 후한의 광무제도 화덕을표방하였다. 당시 패강진 두상인 김암은 오행설에 근거하여 적오를 헌상하였고, 원성왕은이를 통해 새 왕통의 확립을 선전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인 애장왕, 헌덕왕은 화덕을 표방하며 적오를 서상으로 삼아 왕위 계승의 정당화를 꾀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