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 A Study on the concept of moral reflec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4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도덕적 성찰의 의미를 명료성을 높이고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초점은 우선 도덕적 성찰의 특성과 도덕적 성찰의 대상이 무엇...

      본 논문에서는 도덕적 성찰의 의미를 명료성을 높이고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초점은 우선 도덕적 성찰의 특성과 도덕적 성찰의 대상이 무엇인지에 두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도덕적 성찰 포트폴리오, 성찰 멘토링을 활용한 도덕적 성찰, 문학작품을 활용한 도덕적 성찰 방법을 제시하고 그 활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과로서 도덕과는 학생들이 삶에서 필요한 도덕규범과 예절을 익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도덕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도덕적 습관 형성, 도덕적 사고와 판단능력을 발달시켜 다양한 도덕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도록 돕는다. 특히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부터 윤리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그것을 구현하는 두 가지도덕 공부 방법으로 도덕적 성찰과 도덕적 탐구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는 아직까지 명료하게 정의되지 않고 있다. 도덕적 성찰은 도덕과의 지식의 구조 중 하나이므로 개념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이 교과교육학적으로 중요하며 도덕적 성찰을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을 정립하는 기초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 a detailed account of concept of moral reflection and its application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moral reflection, the objects of moral reflection, in other words what individual ...

      This paper focus a detailed account of concept of moral reflection and its application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moral reflection, the objects of moral reflection, in other words what individual should reflect on and how an individual should go about identifying this objects, This is followed with a sugges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oral reflection such as moral reflection portfolio, moral reflection mentoring, moral reflection based on novel.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helps students become equipped with moral norms and etiquette in their lives. For these purposes,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not only on the formation of moral habits for observing norms and maintaining good manners, but also on the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and judgement abilities, helping students to solve various moral problems rationally. Especially, since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tresses ethical approach to social problems as a inquiry principle and moral reflection and moral inquiry as a method of moral thinking and reasoning. But concept of moral reflection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till now. In Moral Education, moral reflection is one of subject structures. Therefore, an effort to define clearly the notion of moral reflection is important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moral reflection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rankle,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1994

      2 한혜정, "자아성찰과 교수방법으로서의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17-132, 2005

      3 박세원, "도덕적 삶과 성찰의 관계적 의미에 관한 담론적 탐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4 : 139-176, 2004

      4 박병기,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윤리학적 접근’의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통일․다문화교육연구소 63-81, 2011

      5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6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7 Eccles, J. C, "뇌의 진화-자아의 창조" 민음사 1998

      8 Pinar, W. F., "교육과정이론이란 무엇인가?" 문음사 2005

      9 김국현,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과 지식의 재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3, 2010

      10 Bold, C., "flecting meaningfully, reflecting differently" 10 (10): 13-26, 2009

      1 Frankle,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1994

      2 한혜정, "자아성찰과 교수방법으로서의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17-132, 2005

      3 박세원, "도덕적 삶과 성찰의 관계적 의미에 관한 담론적 탐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14 : 139-176, 2004

      4 박병기,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윤리학적 접근’의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통일․다문화교육연구소 63-81, 2011

      5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6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7 Eccles, J. C, "뇌의 진화-자아의 창조" 민음사 1998

      8 Pinar, W. F., "교육과정이론이란 무엇인가?" 문음사 2005

      9 김국현,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과 지식의 재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3, 2010

      10 Bold, C., "flecting meaningfully, reflecting differently" 10 (10): 13-26, 2009

      11 Menke, C., "Virtue and Reflection: The Antinomies of Moral Philosophy" 12 (12): 36-49, 2005

      12 Duke, C. R., "The role of Reflection, Problem-Solving and Discussion in the Teaching of Literature"

      13 Noffke, S. E, "The dimensions of Reflection: A conceptual and Contextual Analysis"

      14 Minott, M, "The Role of Reflection: in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Process" 12 (12): 1-10, 2009

      15 Lowe, M, "The Role of Reflection in Implementing Learning from Continuing Education into Practice" 27 (27): 143-148, 2007

      16 Luttenberg, J., "Teacher reflection: the development of typology" 14 : 543-566, 2008

      17 Murphy, M, "Reflective Inquiry in Social Work Education, In Handbook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Inquiry" Springer 2010

      18 Glen, S, "Reflecting on reflection: a personal encounter" 15 : 61-68, 1995

      19 Kelly, M., "Professional Pedagogies and Research Practices: Teaching and Researching Reflective Inquiry Through a Medical Portfolio Process, In Handbook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Inquiry" Springer 2010

      20 Kish, C. K., "Portfolios in the classroom: A vehicle for developing reflective thinking" 80 (80): 1-10, 1997

      21 Nuhuis, E, "Patterns of Moral Reflection of Trainee Teachers of Catholic Primary Schools in the Netherlands" 3 (3): 117-139, 2002

      22 Brown, L. S., "Moral reflection, Moral improve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2009

      23 Meyers, D. T, "Moral Reflection: Beyond Impartial Reason" 8 (8): 1-47, 1993

      24 Ransome, W., "Moral Reflection" Palgrave Macmillan 2009

      25 Le Cornu, A, "Meaning,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Reflection and Its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59 (59): 279-297, 2009

      26 Lockyer, J., "Knowledge Translation: The Role of and Place of Practice Reflection" 24 : 50-56, 2004

      27 Felten, P., "Emotion and Learning" (spring) : 38-46, 2006

      28 Chen, Nian-Shing, "Effects of matching teaching strategy to thinking style on learner's quality of refle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56 : 53-64, 2011

      29 Pring, R., "Curriculum Content: Principles of Selection, In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Studies" Routledge & Kegan Paul 1978

      30 Blount, A, "Critical Reflection for Public Life: How Reflective Practice Helps Students Become Politically Engaged" 2 : 271-283, 2006

      31 Kim, H. S, "Application of Critical Reflective Inquiry in Nursing Education, In Handbook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Inquiry" Springer 2010

      32 Cornway, P. F., "Anticipatory reflection while learning to teach" 17 : 89-106, 2000

      33 오기성, "2011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