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평상심과 실심의 소통윤리 = A Communicative Ethics of the Normal mind and Practical mi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8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중국의 마조와 조선의 담헌은 10세기라는 차이를 두면서 생활무대가 다르고 시대상황이 다르지 만 우리에게 소통윤리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마조는 평정과 일상의 소통매개로 평상심을 강조하고, 담헌은 실사와 실지의 소통매개로 실심을 표방함으로써 올바른 생각과 아량을 횡단매개로 삼아 소통윤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비록 서로 다른 맥락이지만 조사선풍에서 평상심의 양태를 찾고, 실학풍토에서 실심의 구조를 탐색하여 소통을 위한 윤리적 조건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서로 다른 방편과 맥락의 차이를 보이면서도, 이들은 모두 올바른 생각에 기초한 아량의 윤리적 자세를 발휘함으로써 참되고자 하는 진심(眞心)의 소통가치를 공공가치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올바른 생각을 유지하고 아량을 발휘하는 현대적 웰빙(well being)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평상심은 마조가 본래마음에 선의지의 진심(眞心)이 구족되어 있음을 강조한 것이며, 실심은 담 헌이 실사구시의 학문자세로서 사실을 진실에 귀착시켜 진심(眞心) 추구의 구조적 방편으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모두 천년시간, 한중차이, 배경차이를 뛰어 넘는 아우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현대인에게도 진심의 소통을 근간으로 평상심은 실심으로, 실심은 평상심으로 원융 회통하는 삶의 지혜를 보여준다. 이처럼 적적(寂寂)의 양태와 성성(惺惺)의 구조적 차이를 보이지만, 마조와 담헌이 제기하는 진실추구를 횡단 매개로 삼아 평정과 실사, 일상과 실지를 소통하는 자세에서 소통윤리의 가치를 확인하게 된다. 서로 다른 맥락에서 각각의 주장을 살펴보면서 상호 맥락소통의 가능성에 따른 통섭으로 평상심 도리와 실심구조를 비교 고찰하면서 소통윤리를 정립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중국의 마조와 조선의 담헌은 10세기라는 차이를 두면서 생활무대가 다르고 시대상황이 다르지 만 우리에게 소통윤리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마조는 평정과 일상의 소통매개로 평상심을 ...

      중국의 마조와 조선의 담헌은 10세기라는 차이를 두면서 생활무대가 다르고 시대상황이 다르지 만 우리에게 소통윤리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마조는 평정과 일상의 소통매개로 평상심을 강조하고, 담헌은 실사와 실지의 소통매개로 실심을 표방함으로써 올바른 생각과 아량을 횡단매개로 삼아 소통윤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비록 서로 다른 맥락이지만 조사선풍에서 평상심의 양태를 찾고, 실학풍토에서 실심의 구조를 탐색하여 소통을 위한 윤리적 조건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서로 다른 방편과 맥락의 차이를 보이면서도, 이들은 모두 올바른 생각에 기초한 아량의 윤리적 자세를 발휘함으로써 참되고자 하는 진심(眞心)의 소통가치를 공공가치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올바른 생각을 유지하고 아량을 발휘하는 현대적 웰빙(well being)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평상심은 마조가 본래마음에 선의지의 진심(眞心)이 구족되어 있음을 강조한 것이며, 실심은 담 헌이 실사구시의 학문자세로서 사실을 진실에 귀착시켜 진심(眞心) 추구의 구조적 방편으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모두 천년시간, 한중차이, 배경차이를 뛰어 넘는 아우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현대인에게도 진심의 소통을 근간으로 평상심은 실심으로, 실심은 평상심으로 원융 회통하는 삶의 지혜를 보여준다. 이처럼 적적(寂寂)의 양태와 성성(惺惺)의 구조적 차이를 보이지만, 마조와 담헌이 제기하는 진실추구를 횡단 매개로 삼아 평정과 실사, 일상과 실지를 소통하는 자세에서 소통윤리의 가치를 확인하게 된다. 서로 다른 맥락에서 각각의 주장을 살펴보면서 상호 맥락소통의 가능성에 따른 통섭으로 평상심 도리와 실심구조를 비교 고찰하면서 소통윤리를 정립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After Matsu Master(馬祖禪師, 709-788) of T`ang(唐) dynasty had gained enlightenment, he had a mind to teach what he had discovered to others as the Normal Mind. Matsu Master began to teach the Noble Truth of the Normal Mind. The First Normal Mind is Open mind. Matsu Master saw that the world was a place of suffering or unsatisfaction. He identified the cause of this suffering as scattering mind. But he said that there was an end to all suffering which is the Normal Mind(平常心). He outlined a practical method for attaining the Normal Mind. It is the restoration of the Normal Mind which is known as the Noble Original Mind. The factors that consist this path are such as Right Understanding, Right Action,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The Matsu Master had taught such Normal mind so that people could develop wisdom, morality and meditative concentration by following the Normal Mind. In the 18th century Joseon(朝鮮), Hong Dae-Yong(洪大容, 1731-83) had tried to create his own the Practical Mind(實心), while partially keeping the Eastern view of nature and accept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He confirmed that the Practical Mind was based on Practical matters(實事), Practical reality (實地). He accepted the Eastern view of nature critically and sometimes refused it. He also suggested new and various scientific thoughts, including an infinite universe theory, on the basis of Western scientific thought. Hong Dae-Y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tility of the Practical Mind. Considering the level of scientific technology at that time. It is reasonable to regard Hong Dae-Yong as a ``scientific technologist in the 18th century Joseon era``, and a natural scientist in the field of Practical science(實學). In conclusion, it can be summarized as reciprocal communication of the Normal Mind of Matsu Master(馬祖禪師) & the Practical mind that Hong Dae-Yong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We can set a guide to produce communication ethics between Chinese people with Korean people in the 21st century to find the True Mind of humankind.
      번역하기

      After Matsu Master(馬祖禪師, 709-788) of T`ang(唐) dynasty had gained enlightenment, he had a mind to teach what he had discovered to others as the Normal Mind. Matsu Master began to teach the Noble Truth of the Normal Mind. The First Normal Mind...

      After Matsu Master(馬祖禪師, 709-788) of T`ang(唐) dynasty had gained enlightenment, he had a mind to teach what he had discovered to others as the Normal Mind. Matsu Master began to teach the Noble Truth of the Normal Mind. The First Normal Mind is Open mind. Matsu Master saw that the world was a place of suffering or unsatisfaction. He identified the cause of this suffering as scattering mind. But he said that there was an end to all suffering which is the Normal Mind(平常心). He outlined a practical method for attaining the Normal Mind. It is the restoration of the Normal Mind which is known as the Noble Original Mind. The factors that consist this path are such as Right Understanding, Right Action,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The Matsu Master had taught such Normal mind so that people could develop wisdom, morality and meditative concentration by following the Normal Mind. In the 18th century Joseon(朝鮮), Hong Dae-Yong(洪大容, 1731-83) had tried to create his own the Practical Mind(實心), while partially keeping the Eastern view of nature and accept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He confirmed that the Practical Mind was based on Practical matters(實事), Practical reality (實地). He accepted the Eastern view of nature critically and sometimes refused it. He also suggested new and various scientific thoughts, including an infinite universe theory, on the basis of Western scientific thought. Hong Dae-Y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tility of the Practical Mind. Considering the level of scientific technology at that time. It is reasonable to regard Hong Dae-Yong as a ``scientific technologist in the 18th century Joseon era``, and a natural scientist in the field of Practical science(實學). In conclusion, it can be summarized as reciprocal communication of the Normal Mind of Matsu Master(馬祖禪師) & the Practical mind that Hong Dae-Yong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We can set a guide to produce communication ethics between Chinese people with Korean people in the 21st century to find the True Mind of humanki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용, "홍대용의 실학과 18세기 북학사상" 예문서원 2005

      2 "팔리 경전이 들려주는 고타마 붓다" 불광 출판부 1994

      3 주칠성, "실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2

      4 한국사상연구회,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5 홍원식,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

      6 "선림고경총서 18, 조주록" 장경각 1987

      7 "선림고경총서 11, 마조록" 장경각 1987

      8 홍대용, "고전국역총서,담헌서 Ⅰ,Ⅱ,Ⅲ,Ⅳ" 민족문화추진회 1982

      9 "菩提達摩略辨大乘入道四行論"

      10 "祖堂集"

      1 김문용, "홍대용의 실학과 18세기 북학사상" 예문서원 2005

      2 "팔리 경전이 들려주는 고타마 붓다" 불광 출판부 1994

      3 주칠성, "실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2

      4 한국사상연구회,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5 홍원식,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

      6 "선림고경총서 18, 조주록" 장경각 1987

      7 "선림고경총서 11, 마조록" 장경각 1987

      8 홍대용, "고전국역총서,담헌서 Ⅰ,Ⅱ,Ⅲ,Ⅳ" 민족문화추진회 1982

      9 "菩提達摩略辨大乘入道四行論"

      10 "祖堂集"

      11 "景德傳燈錄卷6 (大正藏, 51)"

      12 "景德傳燈錄"

      13 "宗鏡錄"

      14 "宋高僧傳"

      15 "天聖廣燈錄"

      16 "四家語』卷1 馬祖道一禪師語錄"

      17 "古尊宿語錄"

      18 Dhammacakkappavattana Sutta, "Turning the Wheel of Dhamm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