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캐릭터 아이덴티티 표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2271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게임디자인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Character Visual Identity Representation through Semiotic Analysis of Game Character Design

      • 형태사항

        [5], 83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78-80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캐릭터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핵심 상품으로 다양한 매체에서의 호환성이 높아 게임, 애니메이션, 마케팅 등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그리고 한 번 투자되어 디자인된 캐릭터는 문화상품의 특징인 영속성을 소유하고, 재생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창구를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게임 분야는 온라인 게임 개발을 중심으로 활발한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하지만 게임 자체의 국내, 해외 수출의 성공에 비해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수익 산업으로의 전개(OSMU)는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 게임 콘텐츠는 지속적인 수익 추구를 위한 게임 시스템과 온라인 서비스에 집중한 나머지 특정 장르의 게임에 개발이 집중되며 캐릭터 디자인을 비롯한 콘텐츠 전체의 아이덴티티 구축에 미흡하였다고 판단된다.
      게임 산업의 지속적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타 게임 캐릭터의 부재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업체의 영세함과 낙후된 유통구조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질적인 부분과 차별화된 아이덴티티 구축에 대해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캐릭터 디자인은 순수미술처럼 작가의 자유로운 표현이 아니며 수학처럼 공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다. 캐릭터 디자인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서는 캐릭터의 조형적 이론과 더불어 디자인이 최종적으로 수용자에게 받아들여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것은 기호학 연구와 관련이 깊다. 캐릭터의 디자인에 기호학 이론을 적용하면 캐릭터 아이덴티티 구축을 분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적 게임 캐릭터 26개의 기호적 의미작용 분석해 보았다.
      번역하기

      캐릭터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핵심 상품으로 다양한 매체에서의 호환성이 높아 게임, 애니메이션, 마케팅 등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그리고 한 번 투자되어 디자인된 캐릭터는 문...

      캐릭터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핵심 상품으로 다양한 매체에서의 호환성이 높아 게임, 애니메이션, 마케팅 등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그리고 한 번 투자되어 디자인된 캐릭터는 문화상품의 특징인 영속성을 소유하고, 재생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창구를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게임 분야는 온라인 게임 개발을 중심으로 활발한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하지만 게임 자체의 국내, 해외 수출의 성공에 비해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수익 산업으로의 전개(OSMU)는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 게임 콘텐츠는 지속적인 수익 추구를 위한 게임 시스템과 온라인 서비스에 집중한 나머지 특정 장르의 게임에 개발이 집중되며 캐릭터 디자인을 비롯한 콘텐츠 전체의 아이덴티티 구축에 미흡하였다고 판단된다.
      게임 산업의 지속적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타 게임 캐릭터의 부재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업체의 영세함과 낙후된 유통구조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질적인 부분과 차별화된 아이덴티티 구축에 대해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캐릭터 디자인은 순수미술처럼 작가의 자유로운 표현이 아니며 수학처럼 공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다. 캐릭터 디자인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서는 캐릭터의 조형적 이론과 더불어 디자인이 최종적으로 수용자에게 받아들여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것은 기호학 연구와 관련이 깊다. 캐릭터의 디자인에 기호학 이론을 적용하면 캐릭터 아이덴티티 구축을 분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적 게임 캐릭터 26개의 기호적 의미작용 분석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haracter is the main product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and this makes high added value in game, animation, and marketing because character has high compatibility in various medias. Moreover, designed character that is invested once has the permanence,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duct. Also, this maximizes additional income through various ways because the cost of reproduction about character is cheap.
      Currently, the field of domestic game makes active growth with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online game. However, OSMU, which is the development to various profit industries through game character, is not enough as the success of game export to local area and foreign country.
      Despite of constant quantitative growth of game industry, this field thinks that poverty of company and old structure of distribution are reason of the lack of star game character. However, this is the time to think about the construction for quality part and distinguished identity of game character design.
      Character design is neither free expression of author as the fine arts nor the combination of formula as mathematics. For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of character design, an understanding of process about that plastic theory of character and design are accepted by consumer is necessary. This is deeply related with semiotics research.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can be analytically understood by the application of semiotics theory on character design.
      This study analyses 26 game characters, which are selected on "Korean Super characters 100", through symbolic application of meaning. This is ba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f semiotics theory. Analyzing tool for the extraction of stimulation about each sense is created for the symbolic application of meaning. Analyzing tool is organized as several things such as the extraction of visual stimulation, the extraction of experience stimulation, and the extraction of implicated marking. This study analyses the condition of construction of identity about character through final overall analyzation.
      As a result, the game character is the symbolic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as vision, hearing and experience. Distinguished set-up of marking in each sense largely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Also, the character that contains implicated marking based on the story is useful to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identity.
      Also, this study divides 26 game characters in genre and platform, and result shows that characters of MMORPG genre in the platform of PC online take a lot of quantity. This study considers the condition of advancement of character industry about domestic MMORPG character and the method of identity construction in the process of symbolic meaning.
      The profit structure of domestic game industry is changed from the profit of game to profit of industry of additional value through character. Distinguished construction of identity should be preceded if domestic game character can be succeeded in global character industry because Disney and Japanese characters are dominating this field.
      This study deducts the structure of character recognition about consum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miotics theory, and this study analyses the situation of identity construction of representative domestic game character.
      The consideration about the process of character recognition by consumer gives big assistanc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game character desig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theoretical data of character design.
      번역하기

      A character is the main product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and this makes high added value in game, animation, and marketing because character has high compatibility in various medias. Moreover, designed character that is invested once has the perm...

      A character is the main product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and this makes high added value in game, animation, and marketing because character has high compatibility in various medias. Moreover, designed character that is invested once has the permanence,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duct. Also, this maximizes additional income through various ways because the cost of reproduction about character is cheap.
      Currently, the field of domestic game makes active growth with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online game. However, OSMU, which is the development to various profit industries through game character, is not enough as the success of game export to local area and foreign country.
      Despite of constant quantitative growth of game industry, this field thinks that poverty of company and old structure of distribution are reason of the lack of star game character. However, this is the time to think about the construction for quality part and distinguished identity of game character design.
      Character design is neither free expression of author as the fine arts nor the combination of formula as mathematics. For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of character design, an understanding of process about that plastic theory of character and design are accepted by consumer is necessary. This is deeply related with semiotics research.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can be analytically understood by the application of semiotics theory on character design.
      This study analyses 26 game characters, which are selected on "Korean Super characters 100", through symbolic application of meaning. This is ba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f semiotics theory. Analyzing tool for the extraction of stimulation about each sense is created for the symbolic application of meaning. Analyzing tool is organized as several things such as the extraction of visual stimulation, the extraction of experience stimulation, and the extraction of implicated marking. This study analyses the condition of construction of identity about character through final overall analyzation.
      As a result, the game character is the symbolic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as vision, hearing and experience. Distinguished set-up of marking in each sense largely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Also, the character that contains implicated marking based on the story is useful to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identity.
      Also, this study divides 26 game characters in genre and platform, and result shows that characters of MMORPG genre in the platform of PC online take a lot of quantity. This study considers the condition of advancement of character industry about domestic MMORPG character and the method of identity construction in the process of symbolic meaning.
      The profit structure of domestic game industry is changed from the profit of game to profit of industry of additional value through character. Distinguished construction of identity should be preceded if domestic game character can be succeeded in global character industry because Disney and Japanese characters are dominating this field.
      This study deducts the structure of character recognition about consum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miotics theory, and this study analyses the situation of identity construction of representative domestic game character.
      The consideration about the process of character recognition by consumer gives big assistanc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game character desig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theoretical data of character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 II. 캐릭터 디자인과 기호학의 이론적 배경 4
      • I.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 II. 캐릭터 디자인과 기호학의 이론적 배경 4
      • 1. 캐릭터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4
      • 1) 캐릭터의 개념 4
      • 2) 캐릭터의 기능 5
      • 3) 캐릭터의 종류 5
      • 4) 게임 캐릭터의 특징 7
      • (1) 게임 캐릭터의 정의, 기능 7
      • (2) 게임 캐릭터의 서사적 특성 8
      • (3) 게임 캐릭터의 시각 표현 기술 10
      • 5) 게임 캐릭터 아이덴티티 11
      • 6) 캐릭터 라이선스 시장의 확대 11
      • 2. 기호학의 개념과 주요이론 13
      • 1) 기호와 기호학의 정의 13
      • 2) 주요 기호학 연구 사례 14
      • (1) 소쉬르의 구조언어학 14
      • (2) 퍼스의 기호학 16
      • (3) 롤랑바르트의 기호학 17
      • III. 게임 캐릭터의 의미작용 분석 18
      • 1. 기호학 이론과 게임 캐릭터 18
      • 2. 게임 캐릭터의 기호적 인지과정을 통한 아이덴티티 구축 20
      • 1) 자극 21
      • 2) 감성 21
      • 3) 각 자극별 기표 도출 21
      • 4) 기의 연상 및 함축 기의 도출 22
      • 3. 캐릭터 인식의 자의성 22
      • 1) 보편적 의미과정 22
      • 2) 감성 23
      • 4. 캐릭터 분석 툴 예시 24
      • IV. 캐릭터 인지과정에 따른 아이덴티티 분석, 비교 27
      • 1. 분석대상 27
      • 2. 분석방법 28
      • 1) 캐릭터의 기본정보 수집 29
      • 2) 시각적 기표 추출 29
      • 3) 경험요소 30
      • 4) 추출된 기의의 의미작용 30
      • 5) 종합적 아이덴티티 평가 31
      • 6) 제외 사항 31
      • 3. 26개 캐릭터 분석 32
      • 4. 분석결과 71
      • 1) 플랫폼, 장르별 캐릭터 분류 71
      • 2) 결과 분석 72
      • V. 결론 75
      • 1) 연구의 결론 75
      • 2)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6
      • (1) 기표의 추출과정과 의미과정의 자의성 76
      • (2) 차별적 시각 아이덴티티 평가의 한계 77
      • (3) 감성 자극과 청각 자극 77
      • (4) 마케팅 관련 연구 필요 77
      • 참고문헌 78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