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중국 중앙과 지방정부 간 종교정책의 상호작용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교사무조례」는 중국 최초의 종교행정법규인데, 이는 국무원령과 지방정부령의 두 가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54756
2020
-
820
KCI등재
학술저널
759-774(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 중앙과 지방정부 간 종교정책의 상호작용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교사무조례」는 중국 최초의 종교행정법규인데, 이는 국무원령과 지방정부령의 두 가지...
본 논문은 중국 중앙과 지방정부 간 종교정책의 상호작용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교사무조례」는 중국 최초의 종교행정법규인데, 이는 국무원령과 지방정부령의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즉 국무원령 조례가 따로 있고, 성‧시‧자치구는 관할지역의 종교적 특수성을 반영한 조례를 따로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왜냐하면 중국은 지역마다 민족 구성성분과 종교적 상황이 다르므로, 하나의 통일된 조례를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앙-지방정부가 제정한 조례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종교정책의 상호작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of religious policy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re are two main institutions that implement China‘s religious policies. One is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other is the 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of religious policy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re are two main institutions that implement China‘s religious policies. One is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other is the local government. If the central government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country s religious policy, the local government implements the country s religious policy. However, there is a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m. Because different local governments have different ethnicities and different religious situations. Therefore, local governments establish the Regulations on Religious Affair, reflecting the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ligious specificity of the jurisdictio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mechanism of Chinese religious policy by comparing the Regulations on Religion Affair established by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현대중국어 ‘(不)一会儿’ 구문의 생성 조건과 기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