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 이후 패스트푸드,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의 음식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영양 부족 또는 과잉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영양적으로 불균형한 식사로 인한 만성질환의 위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82926
무안 :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 조리과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전라남도
vii, 79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화 이후 패스트푸드,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의 음식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영양 부족 또는 과잉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영양적으로 불균형한 식사로 인한 만성질환의 위험...
산업화 이후 패스트푸드,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의 음식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영양 부족 또는 과잉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영양적으로 불균형한 식사로 인한 만성질환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고 과도한 육식으로 인한 성인병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같은 사회병폐의 대안으로 사찰음식의 섭취 실태를 파악해 보고 대중화 방안은 연구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첫째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사찰음식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찰음식의 개선방안 및 대중화 방안은 무엇인가?
조사 결과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은 주로 채식이다, 신선한 자연식품의 재료가 많다는 인식이 강했고 불교도만 먹는 음식이다 라는 인식은 아주 약했다. 두 번째로 사찰음식에 대한 관심도와 선호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산채모듬밥, 연잎밥, 들깨죽, 취나물, 더덕구이, 두부전 및 김치전, 다시마부각, 두부조림, 두릅장아찌, 더덕물김치를 가장 선호했다.
셋째로 사찰음식의 대중화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중화 방법으로는 상설 식당 육성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첫째 사찰음식에 대한 홍보를 강화, 둘째, 사찰음식을 관광상품화, 셋째 사찰음식을 체험할 수 있는 전문 식당의 창업 지원, 넷째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재료 활용과 입맛에 대한 연구를 강화 등을 통해 사찰음식의 대중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