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 필립 라모(Jean Philippe Rameau)의 프랑스 바로크 세속 칸타타에 관한 연구  :  '성 루이의 날을 위한 칸타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rench Baroque cantatas of Jean Philippe Rameau: Focused on Cantate pour le jour de la Saint Lou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79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rench cantata of Jean Philippe Rameau(1683-1764)reached an apex in this Baroque era. French cantata is the one of the chamber vocal music, which has strong relation with literature, among many genres of French Baroque music. It was greatly influe...

      The French cantata of Jean Philippe Rameau(1683-1764)reached an apex in this Baroque era. French cantata is the one of the chamber vocal music, which has strong relation with literature, among many genres of French Baroque music.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various and strong foreign power of Italian cantata, and was first established
      by Jean Baptiste Rousseau(1671-1741) and Jean Baptiste Morin(1667-1745). Before the advent of French cantata, at the time of the rise and fall of absolutism there had been
      acceptance, disapproval and disputation of Italian culture in many fields in French society, and then divided into pro Italians and defender of French music. Under the all
      these circumstance surrounding French cantata, it is greatly influenced by Italian cantata in its form and showed many similarities. But French cantata showed efforts to change
      from Italian influence to have its own style. Jean Philippe Rameau was the true developer of French cantata with harmonic progress and delicacy musical methods.
      『Cantate pour le jour de la Saint Louis』 is the most recent discovery by his chronicler, Mary Cyr in 1979 even after the publication of Rameau's complete edtion of cantata. It was never appeared in any works about Rameau published before 1980 even including his biography Jean philippe Rameau: His Life and works, rev.ed 1969 by Cuthbert Girdlestone(1895-1975).
      This work in comparison with previous his works shows strong consolidation of poetry and music. Due to Rameau's thoughtful consideration in expressing poetic words,
      his cantata maximized unification between poetry and music. Rameau's cantata is the most comprehensive works in studying French cantatas of 18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 필립 라모(Jean Philippe Rameau 1683-1764)의 칸타타는 프랑스 바로크 칸타타의 정점에 위치한다 프랑스 칸타타는 프랑스 바로크 시대의 음악 장르 중에서 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실내 성악 음...

      장 필립 라모(Jean Philippe Rameau 1683-1764)의 칸타타는 프랑스 바로크 칸타타의 정점에 위치한다 프랑스 칸타타는 프랑스 바로크 시대의 음악 장르 중에서 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실내 성악 음악이다. 그것은 이탈리아 칸타타의 다양하고 강한 외세에 영향을 받으며 시인 루소(Jean-Baptiste Rousseau, 1671-1741)의 작곡가 모랭(Jean-Baptiste Morin)에 의해 처음으로 설립되었다. 프랑스 칸타타가 정립되기 이전 절대 왕권 주의시대의 부흥과 쇠퇴가 있던 시기에 정치, 사회, 문화전반에 걸쳐 이탈리아의 영향에 대한 수용과 거부 그리고 논쟁이 지속되었고 그 안에서 프랑스 음악은 친-이탈리아파와 프랑스 자국 음악을 옹호하는 계파로 양분되었다. 프랑스 칸타타는 이러한 모든 영향아래에서 자국 음악을 옹호하는 계파로 양분되었다. 프랑스 칸타타는 이러한 모든 영향아래에서 이탈리앙 칸타타의 외형과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생겨났다. 그리고 프랑스 칸타타는 프랑스 고유의 중용과 이성을 바탕으로 시와 음악을 동등하게 고려하고 이에 따른 음악적 형식의 차이로 이탈리아 칸타타와는 다른 면모를 보인다.
      라모는 이탈리아의 시형과 음악적 구조를 프랑스의 고유한 것으로 변모시키는 모습을 보이는 것에서 나아가 진보된 화성을 사용하며 섬세한 시의 취급으로 이전보다 더욱 균현적이고 감수성이 돋보이는 프랑스 칸타타를 작곡하였다.
      '성 루이의 날을 위한 칸타타'는 라모의 칸타타 집 출판 이후에 라모의 연대기 편잔자인 싸이어(Mary Cyr)에 의해 1979년에 새로이 발견된 것으로 현존하는 그의 칸타타 중 가장 후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라모의 전기 작가인 거들스톤(Cuthbert Girdlestone, 1895-1975)의 저서"장 필립 라모: 그의 생애와 작품"(Jean philippe Rameau: His life and works, rev.ed. 1969을 포함한 1980년도 이전의 라모에 관한 다른 저서에서 언급되지 않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기 작품보다 시와 음악의 조화로운 균현과 음악의 형식이 함께 고려되어 시와 음악의 결합에 있어 이 두장르의 관계를 더욱 유기적으로 강화하였다. 라모의 논리적이고 섬세한 시적 배려로 그의 칸타타는 시와 음악의 완벽한 융합을 이상적으로 실행하였다. 결국 라모의 칸타타는 프랑스 칸타타에 나타나는 시적인 배려에 의한 음악적 특징들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그것은 암악 양식적으로 더욱 진보되고 섬세한 기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라모 칸타타 연구는 18세기 프랑스 칸타타의 집대성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프랑스 칸타타의 기원과 융성
      • A. 기원
      • B. 융성
      • III. 장 필립 라모의 프랑스 바로크 세속 칸타타
      • I. 머리말
      • II. 프랑스 칸타타의 기원과 융성
      • A. 기원
      • B. 융성
      • III. 장 필립 라모의 프랑스 바로크 세속 칸타타
      • A. 연대기적 특성
      • B. 시적 특성
      • C. 음악적 특성
      • IV. 『성 루이의 날을 위한 칸타타』의 분석적 연구
      • 1. 서주
      • 2. 레시타티브 I
      • 3. 에어 I
      • 4. 레시타티브 II
      • 5. 에어 II
      • 6. 레시타티브 III
      • 7. 에어 III
      • 8. 에어 III-2
      • V.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20 s : 559-570, 1980

      2 "” American Institute of Musicology" 1968

      3 "“Towards a Chronology of Rameau's Cantatas" 539-541, 1983

      4 "“The Italian cantata to 1800 ”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20 s : 1980

      5 "“The Italian Cantata of the XVII Century" 34 120-2 48 132, 1926

      6 "“The French Cantata to 1800 ”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713-15, 1980

      7 "“The French Cantata in Performance" 47-55, 1974

      8 "“The Contemporaneity of Eighteenth-Century Musical Taste" 175-194, 1984

      9 "“The Contemporaneity of Eighteenth-Century Musical Taste" 175-194, 1984

      10 "“An Investigation of the Bariton Solo Cantatas of Jean-Philippe Rameau ” Journal of research in Singing" 30-54, 1983

      1 "”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20 s : 559-570, 1980

      2 "” American Institute of Musicology" 1968

      3 "“Towards a Chronology of Rameau's Cantatas" 539-541, 1983

      4 "“The Italian cantata to 1800 ”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20 s : 1980

      5 "“The Italian Cantata of the XVII Century" 34 120-2 48 132, 1926

      6 "“The French Cantata to 1800 ”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713-15, 1980

      7 "“The French Cantata in Performance" 47-55, 1974

      8 "“The Contemporaneity of Eighteenth-Century Musical Taste" 175-194, 1984

      9 "“The Contemporaneity of Eighteenth-Century Musical Taste" 175-194, 1984

      10 "“An Investigation of the Bariton Solo Cantatas of Jean-Philippe Rameau ” Journal of research in Singing" 30-54, 1983

      11 "“An Investigation into the Influence of Rhetoric on Jean-Philippe Rameau's Solo Vocal Cantatas and Treatise of 1722” D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88

      12 "“A Comparison Between the French and Italian Music" 411-436, 1946

      13 "Vaillant, Alain" 동문선 2000

      14 "Translated by Robert Kolben" Aron Volk Verlag 1968

      15 "The Eighteenth century French Cantata" Clarendon press Oxford 1997

      16 "Rameau's Writing for the Voice" 318-327, 1980

      17 "Rameau and musical thought in the Enlighte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8 "Prentice Hall of Music series" 1994

      19 "Music in the Baroque Era" Norton &Company 1947

      20 "Manuel illustre d'histoire de la litterature francaise" 1995

      21 "La musique fran?aise classique ? 1650 a 1800" 1995

      22 "La litterature de l'age baroque en France" 예림 기획 2001

      23 "Jean-Baptiste Rousseau his Life and Work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1

      24 "Jean Philippe Rameau" Sadie, Stanley 20 : 2001

      25 "Histoire de la poesie Francaise" 고려원 1997

      26 "Harmonic Principles of Jean-Philippe Rameau and His Contemporaries" Indiana University 1964

      27 "French Baroque Music from Beaujoyeulx to Rameau" 19811982

      28 "Cantata" Sadie, Stanley 5 : 2001

      29 "Baroque Music,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2005

      30 "An Investigation of the Baritone solo Cantatas of Jean-PhilippeRameau Journal of Reasearch in Singing vol" 30-53,

      31 "A short history of opera" Columbia Univ Press 1988

      32 "A Performer's Guide to Baroque Music"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5-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6 0.54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