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Emotional Labor on Exhaus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톨게이트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정책적 제언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

      본 연구는 톨게이트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정책적 제언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 2일부터 5월 27일까지 할당추출법으로 표집한 169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감정노동은 소진의 하위요인 중에서 감정적 고갈, 비인격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성취감 저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정노동과 감정적 고갈, 감정노동과 비인격화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톨게이트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정도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고,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감정적 고갈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비인격화를 초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돌발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업무매뉴얼을 만들어야 하며, 감정노동에 의해 직무스트레스가 심화되어 소진이 유발되기 전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의 제공 등과 같은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on exhaus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to search for policy suggestions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For this purpose, a 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on exhaus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to search for policy suggestions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 2016 to May 27, for four wee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labor had a meaningful impact on emotional depletion and depersonaliz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xhaustion, an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ed sense of accomplishment. Second,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epletion, and depersonalization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emotional labor can be a factor of emotional exhaustion and impersonalization. Therefore, we have created a work manual that would help female toll booth workers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and we recommend the introduction of th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to mitigate emotional labor and to prevent burnout, and job stress on behalf of female toll booth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Background
      • III. Research Method
      • IV. Results
      • [Abstract]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Background
      • III. Research Method
      • IV. Results
      • V. Discussion and Suggestions
      • References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태완, "호텔 직원의 일-가족갈등, 사회적지지, 소진, 직무만족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5 (35): 177-199, 2011

      2 박호현,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서비스제공수준에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관광경영학회 17 (17): 99-119, 2013

      3 권미경,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항행학회 15 (15): 808-822, 2011

      4 최동희, "항공사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23-39, 2014

      5 송흥섭, "카지노의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비인격화와 성취감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37-57, 2016

      6 정경이,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280-286, 2015

      7 이동영,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295-315, 2014

      8 박종찬,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114-5123, 2012

      9 이웅,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15-140, 2011

      10 손인봉,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07-124, 2013

      1 강태완, "호텔 직원의 일-가족갈등, 사회적지지, 소진, 직무만족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5 (35): 177-199, 2011

      2 박호현,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서비스제공수준에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관광경영학회 17 (17): 99-119, 2013

      3 권미경,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원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항행학회 15 (15): 808-822, 2011

      4 최동희, "항공사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23-39, 2014

      5 송흥섭, "카지노의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비인격화와 성취감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37-57, 2016

      6 정경이,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280-286, 2015

      7 이동영,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295-315, 2014

      8 박종찬,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114-5123, 2012

      9 이웅,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15-140, 2011

      10 손인봉,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107-124, 2013

      11 권경자,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8 (18): 383-393, 2012

      12 김세리, "외식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 소진, 고객지향성의 관계" 한국관광연구학회 24 (24): 119-136, 2010

      13 이경님,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지능 및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93-112, 2014

      14 최윤미,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581-598, 2002

      15 강수연,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성지능 수준에 따라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37 (37): 53-72, 2011

      16 최수찬,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9) : 5-31, 2008

      17 김미란,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93-101, 2013

      18 김영수,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75-88, 2014

      19 윤혜진, "병원 영양사들의 소진과 직무만족 요인 및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16 (16): 195-207, 2010

      20 한지희, "문화기반시설 서비스 인력의 감정노동과 소진: 감성지능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6 (16): 65-92, 2015

      21 김유나, "돌봄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일가치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분석" 사회복지연구소 37 : 123-148, 2013

      22 최수찬,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177-196, 2005

      23 이명구, "국외여행인솔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3 (13): 269-287, 2014

      24 정혜경, "교정공무원의 근로환경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복지학회 (32) : 111-138, 2014

      25 임재강, "경찰관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냉소주의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조직학회 10 (10): 153-178, 2013

      26 김효실,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8 (38): 321-344, 2014

      27 김민주, "감정노동의 결과에 대한 한국과 미국간의 비교연구-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5 (15): 35-57, 2006

      28 이지영, "감정노동-소진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237-260, 2009

      29 김수지,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직종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231-246, 2015

      30 김인순,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 15 (15): 515-526, 2009

      31 전지영, "가사서비스 종사자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1) : 137-173, 2009

      32 Yi, Y. C.,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in the skilled nursing home for the old" Yonsei University 2003

      33 Beehr, T. A., "Work-role stress and attitudes toward co-workers" 6 (6): 201-210, 1981

      34 Dickerson, S. J., "Work adjustment and general level of functioning pre-and post-EAP counseling" 27 (27): 217-226, 2012

      35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36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2): 99-113, 1981

      37 Park, J. -J., "The impact of Job Stress on Burnout among Public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yle" 5 (5): 35-54, 2015

      38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39 Bakker, A. B., "The crossover of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mong working couples" 58 (58): 661-689, 2005

      40 Schaufeli, W., "The burnout companion to research and practice : A critical analysis" Taylor & Francis 1998

      41 Maslach, C., "The burn-out syndrome in the day care setting" 6 (6): 100-113, 1977

      42 Choi, G. Y. K., "The Study on the Hotel Employee's Burnout and Its Antecedents" 9 (9): 141-161, 2000

      43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Survey on Industrial Safety in Vulnerable Workers in Service Industry"

      44 Park, H.-j.,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n the Employee Burnout in the Hotel Industry" Gye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2

      45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46 Freudenberger, H. J., "Staff burn‐out" 30 (30): 159-165, 1974

      47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290-312, 1982

      48 Service, K. W. C. W., "Research for Activation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 2015

      49 Parker, D. F.,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32 (32): 160-177, 1983

      50 Schaufeli, W.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 A multi‐sample study" 25 (25): 293-315, 2004

      51 Maslach, C., "Job burnout" 52 (52): 397-422, 2001

      52 Lee, I.-c., "Job Stress of Youth Companion and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 Control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ress Disposal Method -"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gwoon University 2010

      53 Kruml, S. M.,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14 (14): 8-49, 2000

      54 Grandey, A. 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5 (5): 95-110, 2000

      55 Ashforth, B. E.,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18): 88-115, 1993

      56 Brotheridge, C. M., "Emotional labor and burnout :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people work"" 60 (60): 17-39, 2002

      57 Hochschild, A. 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85 (85): 551-575, 1979

      58 Ashforth, B. E., "Emotion in the workplace : A reappraisal" 48 (48): 97-125, 1995

      59 Lee, S., "Effects of Golf Caddy's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A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4

      60 Yoo, J. -h.,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Broadcast Staff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2 (2): 97-114, 2010

      61 Selvik, R., "EAP impact on work, relationship, and health outcomes" 34 (34): 18-22, 2004

      62 Ashforth, B. E., "Defens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 A preliminary model" 43 (43): 621-648, 1990

      63 Pines, A.,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Free press 1988

      64 IA, F., "Burnout in teachers : shattered dreams of impeccable professional performance" 56 (56): 595-606, 2000

      65 Perlman, B., "Burnout : Summary and future research" 35 (35): 283-305, 1982

      66 Maslach, C., "Burned-Out" 5 : 7-22, 1976

      67 Edelwich, J., "Burn-out :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Vol 1)" Human Sciences Press New York 1980

      68 Yoo, T. -g., "Basic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Data Analysis" 2006

      69 염영희, "Analysi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한국간호과학회 43 (43): 821-821, 2013

      70 Kim, G. -t.,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the Elderly Welfare Workers" 21 : 1-23, 2002

      71 Park, H. -y., "A Study on the Job Stress determinativ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Flight Attendants"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2005

      72 Kim, D.-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Job attitude: Focus ing on the first class hotels employee in Seoul" 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0

      73 Kim, I., "A Study on the Health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Worker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4

      74 Kim, H. -J.,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 Job Satisfaction of Major Supermarket Sales Clerk-By Having Social Support as Moderating Variable" 28 : 167-207, 2014

      75 Park, S. R.,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tel &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Restaurants" Th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2015

      76 Institute, K. L. S.,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n Emotional Labor"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6 1.41 1.78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