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4·3사건 기념의례의 형성과 구조 = Formation and structure of memorial ceremony for Jeju April 3rd inci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85474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全南大學校,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全南大學校 大學院 , 社會學科 ,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072 판사항(4)

      • DDC

        951.90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xi, 209장 : 삽화, 초상 ; 30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191-20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urbulent changes of Korean society, appreciations and discourses about Jeju April 3rd Incident have been historically expanded in different ways. Discourses usually have been circulated through memorial ceremonies, the discoursal effects of memorial ceremonies of April 3rd have been greatly appeared since the memorial ceremonies put experiences or appreciations of groups in the spatiotemporal images so that the experiences and appreciations remain stable and clear. According to this, various subjects have shown discourses and movements through memorial ceremonies.
      However, the truth is that specific ceremony's texts are the ones that raise the incident to the fact but unfortunately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formality or its structure has not been focused yet enough. Thus, this study's interests are three. First, what kinds of memorial ceremonies have the discourses on April 3rd produced according to the time? And what type of topography does each memorial ceremony form? Second, how do the texts, which raise the discourses or incident to the face, form the topography and how is it structured? Third, what are the sociological variables that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memorial ceremonies and in the texts.
      The results of those above are shown as followings. Firstly, memorial ceremonies relevant to April 3rd Incident were memorial service, anniversary, exorcism and so on. These ceremonies' formation had clearly preferred ceremonies according to its subject, the government preferred memorial service, democratized groups preferred anniversary and exorcism and surviving family preferred memorial service, anniversary, exorcism and so on. These subjects have chosen one of memorial ceremonies according to Korean society's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o discourse and those circumstances have been circulating memorial ceremonies in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those subjects.
      Secondly, such dynamic relationships have affected forming texts of memorial ceremonies and the targets, space-time and formalities of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differently appeared in dramatic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s. They were shown through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was when the memorial services, which are only targeting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victims' surviving families' exorcisms were having complications between them. The second stage was when the new subject, democracy groups appeared and they held anniversaries of non-government people and victims of the military and of police to the public and the conflicts concerning memorial ceremonies came to be noticed by the public. And then, at the end of conflicts, the subjects looked for a new joint ceremony, which is a joint service for the dead, by mutual agreements. In the third stage, the country held national memorial ceremonies targeting of victims, only except for victims of the military and of the police, this stage showed two strategies of the country by accepting formal memorial service and joint service as well. In this stage, bereaved families and democracy groups started to commemorate victims through new memorial ceremonies. In these dynamic relationships, properties of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obviously changed and narrativity, mediality, conscious intent and festivit have been formed in different ways.
      Thirdly, social structural variables, that have had effects on the process of formation, formation itself and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one indicates that external environment has affected subjects and there ar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variables including the initial incident.
      If the initial incident was affected by victims, estate such as massacre site or existence of people who experienced it, we can see the political causes such as change of political system, democratized Korean society and the local autonomy system have been involved. As social causes, social movement such as a movement examining the actual facts of April 3rd Incident was a prime cause as well as the pro-democracy movement. As economical causes, the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affec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curing the budget, which was to provide materials required for memorial ceremonies, and each type was lead by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citizens, each type supplied materials and took full responsibility. In the event of cultural causes, they were considerably affected by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eju Society since it is related to 'victim' ceremonies. Thus, forming memorial ceremonies cannot be totally creative. The type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formal ceremonies has appeared as three typesㅡfully imitated, partially accepted and newly formed competing to former ceremonies. Excluding these social structural variables, there were internal causes such as intention of subjects having ceremonies and confrontation that affects formation of memorial ceremonies.
      As we can see above, memorial ceremonies relevant to April 3rd Incident have been affected by various sociological causes, different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formed in dynamic relationships of each subjects and the memorial ceremonies' texts have been formed to make discourses and appreciations, on which the April 3rd Incident made by each subject, stable. However, as the memorial ceremony has become an institution since it has been led by the country, the substantial problem and meaning of April 3rd Incident has moved back again. This suggests us to seriously examine this matter that how is the substantial meaning in the history can be commemorated.
      번역하기

      According to turbulent changes of Korean society, appreciations and discourses about Jeju April 3rd Incident have been historically expanded in different ways. Discourses usually have been circulated through memorial ceremonies, the discoursal effects...

      According to turbulent changes of Korean society, appreciations and discourses about Jeju April 3rd Incident have been historically expanded in different ways. Discourses usually have been circulated through memorial ceremonies, the discoursal effects of memorial ceremonies of April 3rd have been greatly appeared since the memorial ceremonies put experiences or appreciations of groups in the spatiotemporal images so that the experiences and appreciations remain stable and clear. According to this, various subjects have shown discourses and movements through memorial ceremonies.
      However, the truth is that specific ceremony's texts are the ones that raise the incident to the fact but unfortunately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formality or its structure has not been focused yet enough. Thus, this study's interests are three. First, what kinds of memorial ceremonies have the discourses on April 3rd produced according to the time? And what type of topography does each memorial ceremony form? Second, how do the texts, which raise the discourses or incident to the face, form the topography and how is it structured? Third, what are the sociological variables that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memorial ceremonies and in the texts.
      The results of those above are shown as followings. Firstly, memorial ceremonies relevant to April 3rd Incident were memorial service, anniversary, exorcism and so on. These ceremonies' formation had clearly preferred ceremonies according to its subject, the government preferred memorial service, democratized groups preferred anniversary and exorcism and surviving family preferred memorial service, anniversary, exorcism and so on. These subjects have chosen one of memorial ceremonies according to Korean society's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o discourse and those circumstances have been circulating memorial ceremonies in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those subjects.
      Secondly, such dynamic relationships have affected forming texts of memorial ceremonies and the targets, space-time and formalities of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differently appeared in dramatic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s. They were shown through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was when the memorial services, which are only targeting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victims' surviving families' exorcisms were having complications between them. The second stage was when the new subject, democracy groups appeared and they held anniversaries of non-government people and victims of the military and of police to the public and the conflicts concerning memorial ceremonies came to be noticed by the public. And then, at the end of conflicts, the subjects looked for a new joint ceremony, which is a joint service for the dead, by mutual agreements. In the third stage, the country held national memorial ceremonies targeting of victims, only except for victims of the military and of the police, this stage showed two strategies of the country by accepting formal memorial service and joint service as well. In this stage, bereaved families and democracy groups started to commemorate victims through new memorial ceremonies. In these dynamic relationships, properties of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obviously changed and narrativity, mediality, conscious intent and festivit have been formed in different ways.
      Thirdly, social structural variables, that have had effects on the process of formation, formation itself and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one indicates that external environment has affected subjects and there ar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variables including the initial incident.
      If the initial incident was affected by victims, estate such as massacre site or existence of people who experienced it, we can see the political causes such as change of political system, democratized Korean society and the local autonomy system have been involved. As social causes, social movement such as a movement examining the actual facts of April 3rd Incident was a prime cause as well as the pro-democracy movement. As economical causes, the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affec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curing the budget, which was to provide materials required for memorial ceremonies, and each type was lead by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citizens, each type supplied materials and took full responsibility. In the event of cultural causes, they were considerably affected by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eju Society since it is related to 'victim' ceremonies. Thus, forming memorial ceremonies cannot be totally creative. The type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formal ceremonies has appeared as three typesㅡfully imitated, partially accepted and newly formed competing to former ceremonies. Excluding these social structural variables, there were internal causes such as intention of subjects having ceremonies and confrontation that affects formation of memorial ceremonies.
      As we can see above, memorial ceremonies relevant to April 3rd Incident have been affected by various sociological causes, different memorial ceremonies have been formed in dynamic relationships of each subjects and the memorial ceremonies' texts have been formed to make discourses and appreciations, on which the April 3rd Incident made by each subject, stable. However, as the memorial ceremony has become an institution since it has been led by the country, the substantial problem and meaning of April 3rd Incident has moved back again. This suggests us to seriously examine this matter that how is the substantial meaning in the history can be commemor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격동적인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라 제주4·3사건에 대한 평가와 담론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담론의 유포는 주로 기념의례들을 통해 이뤄졌는데, 기념의례는 집단의 경험이나 평가를 특정한 시공간적 이미지에 배치시킴으로써 그 경험이나 평가를 안정시키고 명료하게 만들었기에 4·3기념의례들의 담론적 효과는 매우 컸다. 이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오랫동안 기념의례들을 통해 담론투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에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실제 구체적인 의례의 텍스트들이 담론이나 사건을 부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것의 형성과정과 형식 및 구조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문제인식은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4·3사건에 대한 담론들은 시기에 따라 어떤 기념의례들로 생산되어 나타났는가? 그리고 각 기념의례들은 상호 어떤 역학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가? 둘째 그 과정에서 담론이나 사건을 부상시키는 각 기념의례의 텍스트들은 어떤 형식과 구조로 이뤄져 있는가? 셋째 이러한 기념의례의 형성과정과 텍스트에 관여한 여러 사회학적 변수들은 무엇인가?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4·3사건과 관련된 기념의례들은 크게 위령제, 추모제, 굿 등으로 나타났다. 이런 기념의례의 형식들은 주체들에 따라 뚜렷한 선호 의식이 있었는데, 국가는 위령제를, 민주화 집단은 추모제와 굿을, 유족들은 위령제와 추모제, 굿 등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들 주체들은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상황에 따라 각 기념의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공산폭동, 민중항쟁, 양민학살, 국가폭력, 평화 등의 담론을 전개해왔는데, 이런 상황은 각 주체들의 역학 관계 속에서 각 기념의례들을 배치되도록 하였다.
      둘째 이러한 역학관계는 각 기념의례들의 텍스트 구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주로 기념의례의 대상, 기념의례의 시공간, 기념의례의 형식들이 주체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달리 나타났다. 주체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기념의례들의 양상은 크게 세 시기를 통해 변화를 보였다. 1차 시기는 국가의 군경 및 우익희생자만을 기념대상으로 삼는 충혼위령제와 이들에게 희생당한 희생자 유족들의 굿과 같은 기념의례가 잠정적인 갈등 상황에 놓여 있을 때였다. 이 시기 공산폭동이 사회 주도 담론이었다. 2차 시기는 새로운 주체인 민주화 집단이 민중항쟁론을 주장하고 국가와는 다른 민간인 및 무장대 희생자들을 공개적인 기념대상으로 삼는 추모제를 개최하면서 기념의례를 둘러싼 갈등들이 표면화 된 시기였다. 그리고 갈등 끝에 주체들의 합의에 의해 새로운 공동 의례가 모색되어 합동위령제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 양민학살론이 사회 주도 담론이 되었다. 3차 시기는 국가가 간부급 무장대 희생자만을 배제하고 나머지 희생자들을 모두 국가 기념의례의 대상으로 삼는 시기로, 기존 충혼위령제 외에 합동위령제를 수용함으로써 국가의 두 가지 전략을 보여주는 시기였다. 이 시 국가의 두 가지 전략을 드러내듯 평화라는 담론이 대두되었다. 이 시기 유족들과 민주화 집단도 새로운 기념의례들을 통해 희생자들을 기념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새로운 면모는 새로운 담론과 역학관계를 조성하면서 기념의례들의 속성도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이런 형성과정과 형식 및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구조적 요인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외부환경이 주체들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그것은 원초적 사건을 비롯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수들이었다.
      원초적 사건은 희생자와 학살터와 같은 유산과 경험자들의 존재가 영향을 미쳤다면 정치적 요인은 크게 정치체제의 변화, 한국사회의 민주화, 지방자치제도 등이 개입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사회적 요인들로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비롯해 그것에 영향을 받은 4·3진상규명운동 등 일련의 사회운동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경제적 요인은 기념의례 형성에 필요한 물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산확보 방식에 따라 기념의례가 영향을 받았는데, 예산을 확보하는 방식은 국가전담 방식, 지방정부전담 방식, 민간조달방식 등이었다. 문화적 요인들에서 ‘희생’의례와 관련된 제주사회의 문화적 특성들에 의해 상당부분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의례구성은 완전히 창조적일 수 없었다. 이전 의례에 영향을 받는 방식은 완전히 모방하거나, 부분적으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그것과 경쟁하여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이런 사회구조적인 변수 외에 기념의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의례주체들의 지향점이나 각 주체들의 대응과 같은 내적 요인들이 개입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4·3사건과 관련된 기념의례들은 여러 사회학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각 주체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다양한 기념의례들이 형성되었고, 각 기념의례의 텍스트들은 주체들의 4·3사건에 대한 평가와 담론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국가주도의 기념의례가 관례적 기념이라는 제도화된 틀 속으로 들어가면서 4·3사건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와 의미를 퇴행시키고 있다. 이는 역사 속에 담긴 본질적 의미를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해 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번역하기

      격동적인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라 제주4·3사건에 대한 평가와 담론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담론의 유포는 주로 기념의례들을 통해 이뤄졌는데, 기념의례는 집단의 경험이�...

      격동적인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라 제주4·3사건에 대한 평가와 담론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담론의 유포는 주로 기념의례들을 통해 이뤄졌는데, 기념의례는 집단의 경험이나 평가를 특정한 시공간적 이미지에 배치시킴으로써 그 경험이나 평가를 안정시키고 명료하게 만들었기에 4·3기념의례들의 담론적 효과는 매우 컸다. 이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오랫동안 기념의례들을 통해 담론투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에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실제 구체적인 의례의 텍스트들이 담론이나 사건을 부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것의 형성과정과 형식 및 구조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문제인식은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4·3사건에 대한 담론들은 시기에 따라 어떤 기념의례들로 생산되어 나타났는가? 그리고 각 기념의례들은 상호 어떤 역학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가? 둘째 그 과정에서 담론이나 사건을 부상시키는 각 기념의례의 텍스트들은 어떤 형식과 구조로 이뤄져 있는가? 셋째 이러한 기념의례의 형성과정과 텍스트에 관여한 여러 사회학적 변수들은 무엇인가?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4·3사건과 관련된 기념의례들은 크게 위령제, 추모제, 굿 등으로 나타났다. 이런 기념의례의 형식들은 주체들에 따라 뚜렷한 선호 의식이 있었는데, 국가는 위령제를, 민주화 집단은 추모제와 굿을, 유족들은 위령제와 추모제, 굿 등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들 주체들은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상황에 따라 각 기념의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공산폭동, 민중항쟁, 양민학살, 국가폭력, 평화 등의 담론을 전개해왔는데, 이런 상황은 각 주체들의 역학 관계 속에서 각 기념의례들을 배치되도록 하였다.
      둘째 이러한 역학관계는 각 기념의례들의 텍스트 구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주로 기념의례의 대상, 기념의례의 시공간, 기념의례의 형식들이 주체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달리 나타났다. 주체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기념의례들의 양상은 크게 세 시기를 통해 변화를 보였다. 1차 시기는 국가의 군경 및 우익희생자만을 기념대상으로 삼는 충혼위령제와 이들에게 희생당한 희생자 유족들의 굿과 같은 기념의례가 잠정적인 갈등 상황에 놓여 있을 때였다. 이 시기 공산폭동이 사회 주도 담론이었다. 2차 시기는 새로운 주체인 민주화 집단이 민중항쟁론을 주장하고 국가와는 다른 민간인 및 무장대 희생자들을 공개적인 기념대상으로 삼는 추모제를 개최하면서 기념의례를 둘러싼 갈등들이 표면화 된 시기였다. 그리고 갈등 끝에 주체들의 합의에 의해 새로운 공동 의례가 모색되어 합동위령제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 양민학살론이 사회 주도 담론이 되었다. 3차 시기는 국가가 간부급 무장대 희생자만을 배제하고 나머지 희생자들을 모두 국가 기념의례의 대상으로 삼는 시기로, 기존 충혼위령제 외에 합동위령제를 수용함으로써 국가의 두 가지 전략을 보여주는 시기였다. 이 시 국가의 두 가지 전략을 드러내듯 평화라는 담론이 대두되었다. 이 시기 유족들과 민주화 집단도 새로운 기념의례들을 통해 희생자들을 기념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새로운 면모는 새로운 담론과 역학관계를 조성하면서 기념의례들의 속성도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이런 형성과정과 형식 및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구조적 요인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외부환경이 주체들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그것은 원초적 사건을 비롯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수들이었다.
      원초적 사건은 희생자와 학살터와 같은 유산과 경험자들의 존재가 영향을 미쳤다면 정치적 요인은 크게 정치체제의 변화, 한국사회의 민주화, 지방자치제도 등이 개입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사회적 요인들로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비롯해 그것에 영향을 받은 4·3진상규명운동 등 일련의 사회운동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경제적 요인은 기념의례 형성에 필요한 물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산확보 방식에 따라 기념의례가 영향을 받았는데, 예산을 확보하는 방식은 국가전담 방식, 지방정부전담 방식, 민간조달방식 등이었다. 문화적 요인들에서 ‘희생’의례와 관련된 제주사회의 문화적 특성들에 의해 상당부분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의례구성은 완전히 창조적일 수 없었다. 이전 의례에 영향을 받는 방식은 완전히 모방하거나, 부분적으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그것과 경쟁하여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이런 사회구조적인 변수 외에 기념의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의례주체들의 지향점이나 각 주체들의 대응과 같은 내적 요인들이 개입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4·3사건과 관련된 기념의례들은 여러 사회학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각 주체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다양한 기념의례들이 형성되었고, 각 기념의례의 텍스트들은 주체들의 4·3사건에 대한 평가와 담론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국가주도의 기념의례가 관례적 기념이라는 제도화된 틀 속으로 들어가면서 4·3사건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와 의미를 퇴행시키고 있다. 이는 역사 속에 담긴 본질적 의미를 어떻게 기념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해 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4.3기념의례에 대한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 5
      • 가. 4.3기념의례의 개념규정과 범위 = 5
      • 나.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 9
      • 제1장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4.3기념의례에 대한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 5
      • 가. 4.3기념의례의 개념규정과 범위 = 5
      • 나.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 9
      • 다. 논문의 구성 = 11
      • 3.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 12
      • 가. 기념의례에 대한 이론적 전개 = 12
      • 나. 분석틀 = 17
      • 4. 4.3기념의례의 역사적 전개 = 19
      • 가. 반공 국가 기념의례 등장과 유족의례의 억압 = 19
      • 나. 민주화집단의 저항과 기념의례의 갈등 = 20
      • 다. 새로운 국가 기념의례의 정립과 유족 기념의례의 확산 = 21
      • 제2장 반공 국가 기념의례의 등장과 유족 기념의례의 억압 = 23
      • 1. 충혼위령제의 형성과 구조 = 23
      • 가. 충혼위령제의 형성과정 = 23
      • 1) 반공주의 국가의 대두 = 23
      • 2) 충혼위령사업의 법적?제도적 기반 조성 = 26
      • 나. 충혼위령제의 형식과 구조 = 30
      • 1) 충혼위령제의 대상자 = 30
      • 2) 충혼위령제의 시공간 = 32
      • 3) 충혼위령제의 형식과 내용 = 36
      • 2. 유족 기념의례의 양상 = 40
      • 가. 유족 기념의례의 형성과정 = 40
      • 1) 4.3사건 희생의 유산과 억압 = 40
      • 2) 반공국가 시기 유족들의 대응 = 44
      • 3) 제주의 전통의례의 영향과 단골공동체 = 46
      • 나. 유족 기념의례의 형식과 구조 = 47
      • 1) 유족 기념의례의 대상자 = 47
      • 2) 유족 기념의례의 시공간 = 50
      • 3) 유족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 = 52
      • 3. 소결 = 58
      • 제3장 민주화집단의 저항과 기념의례 갈등 = 61
      • 1. 사월제의 등장 = 61
      • 가. 사월제의 형성과정 = 61
      • 1)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5?18진상규명운동 = 61
      • 2) 4.3진상규명운동과 문화운동 = 63
      • 3) 사월제 공동준비위원회 = 69
      • 나. 사월제의 형식과 구조 = 71
      • 1) 사월제의 대상자 = 71
      • 2) 사월제의 시공간 = 73
      • 3) 사월제의 형식과 내용 = 75
      • 2. 합동위령제의 등장 = 81
      • 가. 합동위령제의 형성과정 = 81
      • 1) 반공적 4.3유족회의 등장 = 81
      • 2)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위령사업의 전개 = 84
      • 3) 사월제 공준위와 4.3유족회의 합의사항 = 86
      • 4) 합동위령제 봉행위원회의 구성 = 91
      • 5) 4.3특별법 투쟁 = 93
      • 나. 합동위령제의 형식과 구조 = 95
      • 1) 합동위령제의 대상자 = 95
      • 2) 합동위령제의 시공간 = 98
      • 3) 합동위령제의 형식과 내용 = 100
      • 다. 전야제의 시행 = 104
      • 1) 제주민예총의 성립 = 104
      • 2) 전야제의 형식과 구조 = 106
      • 3. 소결 = 107
      • 제4장 새로운 국가 기념의례의 정립과 유족 기념의례의 확산 = 110
      • 1. 합동위령제의 수용과 정립 = 110
      • 가. 합동위령제 수용과정 = 110
      • 1) 과거사 정리 및 국가의 공식 사과 = 110
      • 2) 4.3특별법과 평화공원조례 = 112
      • 3) 합동위령제 봉행위원회의 변화 = 116
      • 나. 합동위령제의 형식과 구조의 변화 = 118
      • 1) 합동위령제 대상자의 선택과 배제 = 118
      • 2) 합동위령제 시공간의 변화 = 122
      • 3) 합동위령제 형식 및 내용의 변화 = 129
      • 2. 유족단위 위령제의 확산 = 135
      • 가. 유족단위 위령제의 형성과정 = 135
      • 1) 원초적 사건의 차이 = 135
      • 2) 각 유족회의 경험과 태도 = 139
      • 나. 북촌위령제 = 140
      • 1) 북촌위령제의 형성과정 = 140
      • 2) 북촌위령제의 형식과 구조 = 146
      • 다. 백조일손위령제 = 151
      • 1) 백조일손위령제의 형성과정 = 151
      • 2) 백조일손위령제의 형식과 구조 = 157
      • 라. 행방불명인 진혼제 = 159
      • 1) 행방불명인 진혼제의 형성과정 = 159
      • 2) 행방불명인 진혼제의 형식과 구조 = 160
      • 3) 행방불명인 진혼굿의 형식과 구조 = 162
      • 마. 무장대 희생자들에 대한 기념의례 = 173
      • 1) 이덕구에 대한 기념의례의 등장 = 173
      • 2) 이덕구에 대한 기념의례의 의미 = 175
      • 3. 해원상생굿의 연행과 의미 = 176
      • 4. 소결 = 180
      • 제5장 결론 = 182
      • 참고문헌 = 191
      • 영문초록 = 2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