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행정통합의 재고찰: 겔렌(Arnold Gehlen)의 제도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Administrative Integration in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3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re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that has been progressing since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unification of the two different administrations of East and West Germany. This includes the joining of a bureaucracy which was socialized under different systems. Therefore,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consider humane studies in the study of Germany's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In this respect, Arnold Gehlen (sociologist, philosopher) is an important figure because his theory of systems is improved by putting emphasis on the question, "What are human beings?" Additionally, this study draws the primary factors for successful unification as well as unification's problems drawn from interviews with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the point is to learn from the unification of Germany by observing current ev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re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that has been progressing since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unification of the two different administrations ...

      This study is a re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that has been progressing since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unification of the two different administrations of East and West Germany. This includes the joining of a bureaucracy which was socialized under different systems. Therefore,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consider humane studies in the study of Germany's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In this respect, Arnold Gehlen (sociologist, philosopher) is an important figure because his theory of systems is improved by putting emphasis on the question, "What are human beings?" Additionally, this study draws the primary factors for successful unification as well as unification's problems drawn from interviews with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the point is to learn from the unification of Germany by observing current ev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독일 통일 이후 진행된 행정통합을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측면에서 재고찰하고 있다. 특히 행정통합은 상이한 동・서독 행정제도의 통합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체제에서 사회화된 관료의 통합이다. 따라서 독일 행정통합의 연구를 위해서 행정학은 인문학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제도이론을 발전시킨 독일 출신의 철학자 이며 사회학자인 아르놀트 겔렌(Arnold Gehlen)이 중요하다. 또한 이 논문은 동・서독 관료와의 인터뷰를 통해 행정통합의 문제점과 성공적인 행정통합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독일의 행정통합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독일 통일 이후 진행된 행정통합을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측면에서 재고찰하고 있다. 특히 행정통합은 상이한 동・서독 행정제도의 통합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체제에서 사회...

      이 연구는 독일 통일 이후 진행된 행정통합을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측면에서 재고찰하고 있다. 특히 행정통합은 상이한 동・서독 행정제도의 통합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체제에서 사회화된 관료의 통합이다. 따라서 독일 행정통합의 연구를 위해서 행정학은 인문학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제도이론을 발전시킨 독일 출신의 철학자 이며 사회학자인 아르놀트 겔렌(Arnold Gehlen)이 중요하다. 또한 이 논문은 동・서독 관료와의 인터뷰를 통해 행정통합의 문제점과 성공적인 행정통합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독일의 행정통합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서독 행정통합과 행정현대화"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2001

      2 양현모, "독일정부론" 대영문화사 2006

      3 Lehmburch,Gerhard, "Zur politischen Logik der Verwaltungsintegration in Deutschland in Verwaltungsreform und Verwaltungspolitik im Prozess der deutschen Einigung" 1993

      4 Grundmann,Siegfried, "Zur Akzeptanz und Intergartion von Beamten aus den alten in den neuen Bundesändern. In: Deutschland Archiv" Zeitschrift für das vereinigten Deutschland 1994

      5 König,Klaus, "Zum Verwaltungssystem der DDR in Verwaltungsstrukturen der DDR" Nomos 1991

      6 Pitschas,Rainer, "Verwaltungsintegration in den neuen Bundesländern" Duncker & Humblot 1993

      7 Bogumil Jörg Jann Werner, "Verwaltung und Verwaltungswissenschaften in Deutschland Einführung in die Verwaltungswisschenschaft" Verlag 2009

      8 Ahn,Jiho, "Vergleichsstudie über die Verwaltung zwischen der BRD und der DDR: Zusammenhang zwischen Verwaltungssystem und Mentalität von Verwaltungstätigen. Freie Universität Berlin. Bauch, Jost. Arnold Gehlen: Die Mensch-von Natur ein Kulturwesen"

      9 Gehlen,Arnold, "Urmensch und Spätkultur Pilosophische Ergebnisse und Aussagen in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Athenäum 1964

      10 Gehlen,Arnold, "Studien zur Anthropologie und Soziologie" Luchterhand 1961

      1 "동・서독 행정통합과 행정현대화"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2001

      2 양현모, "독일정부론" 대영문화사 2006

      3 Lehmburch,Gerhard, "Zur politischen Logik der Verwaltungsintegration in Deutschland in Verwaltungsreform und Verwaltungspolitik im Prozess der deutschen Einigung" 1993

      4 Grundmann,Siegfried, "Zur Akzeptanz und Intergartion von Beamten aus den alten in den neuen Bundesändern. In: Deutschland Archiv" Zeitschrift für das vereinigten Deutschland 1994

      5 König,Klaus, "Zum Verwaltungssystem der DDR in Verwaltungsstrukturen der DDR" Nomos 1991

      6 Pitschas,Rainer, "Verwaltungsintegration in den neuen Bundesländern" Duncker & Humblot 1993

      7 Bogumil Jörg Jann Werner, "Verwaltung und Verwaltungswissenschaften in Deutschland Einführung in die Verwaltungswisschenschaft" Verlag 2009

      8 Ahn,Jiho, "Vergleichsstudie über die Verwaltung zwischen der BRD und der DDR: Zusammenhang zwischen Verwaltungssystem und Mentalität von Verwaltungstätigen. Freie Universität Berlin. Bauch, Jost. Arnold Gehlen: Die Mensch-von Natur ein Kulturwesen"

      9 Gehlen,Arnold, "Urmensch und Spätkultur Pilosophische Ergebnisse und Aussagen in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 Athenäum 1964

      10 Gehlen,Arnold, "Studien zur Anthropologie und Soziologie" Luchterhand 1961

      11 Reulen,Stephanie, "Staatliche Institutionenbildung in Ostdeutschland: Aufgabe, Interesse, Ideen" Verlag 2004

      12 Derlien,Hans-Ulrich, "Regimewechsel und Personalpolitik: Beobachtung zur politischen Säuberung und Zur Integration der Staatsfuktionäre der DDR in das Berufsbeamtentum"

      13 Gehlen,Arnold, "Moral und Hypermoral,Frankfurt a" Klostermann 1969

      14 Schulze,Gerhard, "Leiter und Leistungsbeziehungen in der staatlichen Verwaltung in Verwaltungsstrukturen der DDR" Nomos 1991

      15 Hansen,Klaus P, "Kultur und Kulturwissenschaft" UTB 1995

      16 Wollmann, "Institutionenbildung in Ostdeutschland: Neubau, Umbau und schöperische Zerstörung, In Politisches System. Berichte zum sozialen und politischen Wandel in Ostdeutschland, Band 3" Opladen 1996

      17 Weidenfeld, Werner, "Handbuch zur deutschen Einheit:1949-1989-1999" Frankfurt a. M, Campus 1999

      18 Krais, "Habitus" Transkript Verlag 2008

      19 Gehlen,Arnold, "Der Mensch. Seine Natur und Seine Stellung in der Welt" Athenäum 1971

      20 Gehlen,Arnold, "Anthropologische Forschung, Hamburg in 인간학 적 탐구" Rowohlt Taschenbuch Verlag 1961

      21 Hesse,Joachim Jans, "Administrative Chang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Ders.(ed)Administrative Transformation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Blackwell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