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략적 사고에 기초한 평생교육 정책 분석과 시사점 = Strategic Thinking Model based Analysis of National Lifelong Learning Policies and Implications -Mainly with After Amend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4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0년 3월 평생교육법이 시행된 지 10년을 맞이하여 전략적 사고에 기초한 국가 수준 평생교육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착수되었다. 이를 위해 Mintzberg, Ahlstra...

      이 연구는 2000년 3월 평생교육법이 시행된 지 10년을 맞이하여 전략적 사고에 기초한 국가 수준 평생교육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착수되었다. 이를 위해 Mintzberg, Ahlstrand, & Lampel(1998)의 전략적 사고(strategic thinking) 모형을 토대로 평생교육 정책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즉, ① 정책 이념-목표, ② 정책 과정-영역 ③ 정책 주체-대상이라는 세 가지 분석 차원을 적용하여 범 부처 차원의 평생교육 정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책 이념과 정책 목표와 관련해서는 교과부 평생교육의 주요 정책이 고용가능성과 자아실현 및 사회통합 등 평생교육 정책 3대 이념에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 과정과 영역에서는 학습자인 국민과 접점을 형성하는 프로그램의 범위 면에서 다양성을 갖추고 있었다. 다만 인문교양, 문화예술, 시민참여 교육 부문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중앙 차원에서 지원되거나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정책 주체와 대상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 외 다양한 부처의 평생교육 차원 정책사업 실시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향후 일자리 창출과 연계된 고용가능성 지향의 평생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lifelong learning policies of twentieth century in Korean government. The analysis is based on strategic thinking model by Mintzberg, Ahlstrand, & Lampel(1998). According to strategic thinking model, the framework 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lifelong learning policies of twentieth century in Korean government. The analysis is based on strategic thinking model by Mintzberg, Ahlstrand, & Lampel(1998). According to strategic thinking model, the framework of analysis were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They are 1) lifelong learning policy ideal-goals, 2) lifelong learning process-areas of programs, and 3) lifelong learning policy subjects-objects.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main lifelong learning policies were generally balanced with three ideals of lifelong learning -self actualization, employability, and social inclusion- with analyzing Annual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s, policy assessment report of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most of the lifelong learning policies cover all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felong Education Act(Act No. 9641, May, 8, 2009). But it is partly reveale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policy interventions for program areas such as Humanities and General Education, Art and Culture Program, and Citizen Participatory Program. Third, it is implied that lifelong learning policies are proliferated by most of governmental agencies including MEST. The focus of lifelong learning policy in the near future will turn towards lifelong employ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평생교육 정책 분석의 틀
      • Ⅲ. 평생교육 정책 분석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평생교육 정책 분석의 틀
      • Ⅲ. 평생교육 정책 분석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