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문 요 약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강 윤 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 육 행 정 전 공 (지도교수 김 용)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828623
청주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 , 2012. 2
2012
한국어
충청북도
vi, 77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논 문 요 약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강 윤 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 육 행 정 전 공 (지도교수 김 용) 본 연구...
논 문 요 약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강 윤 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 육 행 정 전 공
(지도교수 김 용)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요인에 대하여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논문들을 재분석하여 이에 대한 연구들의 동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차이는 어떠한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무만족도와 관련있는 논문을 1980년대 논문 14편, 1990년대 논문 15편,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논문 15편 등 총 44편을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학위논문 44편을 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구성요소는 시대별로 조금씩 변하였다. 1980년대에는 인간관계, 인정지위, 행정, 근무환경, 보상, 전문성 신장, 담당직무 등과 같은 변수가 주를 이루었고, 1990년대에는 인간관계, 근무환경, 행정, 담당직무, 보상, 전문성신장 등과 같은 요소가 있었으며 2000년대에는 인간관계, 담당직무, 보상, 근무환경, 행정, 전문성신장, 인정지위 등과 같은 요인이 있었다. 그리고, 인간관계, 행정, 근무환경, 전문성신장, 보상, 담당직무와 같은 요인은 시대와 상관없이 큰 비율을 보였다. 또한, 전문성신장과 인정지위와 같은 요인은 현재로 오면서 비율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인사관계, 사회관계 요인은 1990년대부터 비율이 늘어났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도 요인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었다.
둘째, 직무만족도의 배경변인은 1980년대에는 성, 직위, 연령, 경력, 학력, 학교소재지, 출신, 결혼여부, 수학연한이었다. 1990년대에는 성, 직위, 경력, 학교규모, 학교소재지, 학력, 연령이었고 2000년대에는 성, 경력, 학교규모, 최종학력, 결혼유무, 직위, 전담경력, 근무지역, 체육관유무, 연령, 전공, 월가정수입, 근무연속, 담당학년, 학급인원, 출신대학, 학교소재지이었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성별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지만 유의미한 차이와는 상관없이 남교사가 여교사 보다 직무만족도가 통계적으로 높았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고경력의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학교규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6학급 이하의 소규모 학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서 직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나 그 차이가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부장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일반교사들에 비해서 높게 나왔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은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면 그 요인이 다양하였다. 다양한 변인들을 종속, 매개, 독립 변인으로 사용하였는데 직무만족도, 지도성 유형, 직무내용 및 조건, 학교장의 권력기반, 학교규모, 스포츠참여, 교사들의 배경변인, 교사특성, 만족요인, 학교장의 지도성, 의사결정 참여 수준 및 참여 균형도 등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학교장, 교사 관련 요인들의 비중이 높았다.
※ 본 논문은 2012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