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지역 거주 노인의 시력과 청력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Vision and Hearing for Elderly People in Jealla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57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measure that uncorrected vision, hearing, distribution of refraction error and hearing disability of elderly people living in Jeallanam-do. Also to investigate differences by age significance below .05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vision and hearing results.
      Methods: The elderly of sixty-seven subjects with mean ages were 73.75±7.00 years old, were evaluated vision and hearing tests through visited at clinical center of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and 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 university, or participated volunteer service at geriatric welfare center over the course of May through October of 2013.
      Result: According to results of vision and hearing evaluation, uncorrected vision and hearing of comparative younger group (under 74 years) were worse than them of older age group (over 75 years) and showed differences by age. Hyperopia were larger than myopia in refraction errors totally, and hearing disabilities were more unfavorable as old age. Correlation of vision and hearing results were showed low level correlation but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p<.05).
      Conclusion: The functions of peripheral system like vision or hearing were weakened as age increased, but correlations between vision and hearing were not enough high level. Through the research about various aspects of vision and hearing, basic data were prepared for welfare of increasing elderly people population.
      번역하기

      Purpos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measure that uncorrected vision, hearing, distribution of refraction error and hearing disability of elderly people living in Jeallanam-do. Also to investigate differences by age significance below .05 level, and...

      Purpos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measure that uncorrected vision, hearing, distribution of refraction error and hearing disability of elderly people living in Jeallanam-do. Also to investigate differences by age significance below .05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vision and hearing results.
      Methods: The elderly of sixty-seven subjects with mean ages were 73.75±7.00 years old, were evaluated vision and hearing tests through visited at clinical center of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and 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 university, or participated volunteer service at geriatric welfare center over the course of May through October of 2013.
      Result: According to results of vision and hearing evaluation, uncorrected vision and hearing of comparative younger group (under 74 years) were worse than them of older age group (over 75 years) and showed differences by age. Hyperopia were larger than myopia in refraction errors totally, and hearing disabilities were more unfavorable as old age. Correlation of vision and hearing results were showed low level correlation but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p<.05).
      Conclusion: The functions of peripheral system like vision or hearing were weakened as age increased, but correlations between vision and hearing were not enough high level. Through the research about various aspects of vision and hearing, basic data were prepared for welfare of increasing elderly people popu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역 거주 노인의 나안시력, 청력, 근시와 원시 분포 및 청력손실의 정도를 측정하여 유의수준 .05 미만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시력과 청력 검사 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13년 5~10월에 걸쳐서 평균 나이 73.75±7.00세의 노인 67명을 대상으로 ○○대학교 안경광학과와 언어치료청각학과 임상 센터에 내원하였거나 노인복지관의 방문 봉사활동을 통해 시력과 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시력 및 청력검사 결과, 비교적 나이가 적은 연령군(74세 이하)보다 나이가 많은 연령군(75세 이상)이 나안시력과 청력이 더 나쁜 결과를 보였으며 연령대별 차이를 나타냈다. 굴절이상도는 전체적으로 원시안이 근시안보다 많았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청력손실의 정도가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 및 청력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시력과 청력의 상관은 낮으나 유의미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 .05).
      결 론: 시력이나 청력과 같은 노인의 말초기관 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청력과 시력의 상관성은 그다지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다양한 노인의 시력 및 청력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늘어나는 노인 인구의 복지를 위한 기초자료가 마련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역 거주 노인의 나안시력, 청력, 근시와 원시 분포 및 청력손실의 정도를 측정하여 유의수준 .05 미만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시력과 청력 검사 결...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역 거주 노인의 나안시력, 청력, 근시와 원시 분포 및 청력손실의 정도를 측정하여 유의수준 .05 미만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시력과 청력 검사 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13년 5~10월에 걸쳐서 평균 나이 73.75±7.00세의 노인 67명을 대상으로 ○○대학교 안경광학과와 언어치료청각학과 임상 센터에 내원하였거나 노인복지관의 방문 봉사활동을 통해 시력과 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시력 및 청력검사 결과, 비교적 나이가 적은 연령군(74세 이하)보다 나이가 많은 연령군(75세 이상)이 나안시력과 청력이 더 나쁜 결과를 보였으며 연령대별 차이를 나타냈다. 굴절이상도는 전체적으로 원시안이 근시안보다 많았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청력손실의 정도가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 및 청력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시력과 청력의 상관은 낮으나 유의미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 .05).
      결 론: 시력이나 청력과 같은 노인의 말초기관 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청력과 시력의 상관성은 그다지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다양한 노인의 시력 및 청력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늘어나는 노인 인구의 복지를 위한 기초자료가 마련되길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기정, "시력저하노인의 기능상태,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 (20): 225-234, 2013

      2 박철원, "노인의 이과질환 : 개요"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5 (25): 3-6, 2014

      3 황준호,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청력상태 및 청능재활 서비스 프로그램 요구 조사"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9 (9): 175-189, 2013

      4 신은영, "노년기 청력에 따른 삶의 질 평가 척도"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8 (8): 224-237, 2012

      5 조수진,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역치의 비교" 한국안광학회 14 (14): 89-93, 2009

      6 Berry P, "Vision and hearing loss in older adults: Double trouble" 5 (5): 35-40, 2004

      7 Bergman B, "Vision and hearing in old age" 30 (30): 255-263, 2001

      8 Lawrence K. H., "Spatial disparity affects visual-auditory interactions in human sensorimotor processing" 122 (122): 247-252, 1998

      9 Caban AJ, "Prevalence of concurrent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 in US adults: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7-2002" 95 (95): 1940-1942, 2005

      10 Smith S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ual sensory impairment (hearing and vision) in a veteran population" 45 (45): 597-609, 2008

      1 차기정, "시력저하노인의 기능상태,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 (20): 225-234, 2013

      2 박철원, "노인의 이과질환 : 개요"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5 (25): 3-6, 2014

      3 황준호,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청력상태 및 청능재활 서비스 프로그램 요구 조사"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9 (9): 175-189, 2013

      4 신은영, "노년기 청력에 따른 삶의 질 평가 척도"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8 (8): 224-237, 2012

      5 조수진,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역치의 비교" 한국안광학회 14 (14): 89-93, 2009

      6 Berry P, "Vision and hearing loss in older adults: Double trouble" 5 (5): 35-40, 2004

      7 Bergman B, "Vision and hearing in old age" 30 (30): 255-263, 2001

      8 Lawrence K. H., "Spatial disparity affects visual-auditory interactions in human sensorimotor processing" 122 (122): 247-252, 1998

      9 Caban AJ, "Prevalence of concurrent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 in US adults: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7-2002" 95 (95): 1940-1942, 2005

      10 Smith S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ual sensory impairment (hearing and vision) in a veteran population" 45 (45): 597-609, 2008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hysical status with aid wearing and its prevalence in the elderly by sex and age"

      12 Aparicio M., "Phonological processing in relation to reading: an fMRI study in deaf readers" 35 (35): 1303-1316, 2007

      13 Hickson L, "Hearing and Vision in Healthy Older Australians, Objective and Self-Report Measures" 1 (1): 95-105, 1999

      14 Mathers C, "Global burden of hearing loss in the year 2000"

      15 Weinstein BE, "Geriatric Audiology" Thieme 55-63, 2000

      16 Horowitz A, "Depression and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s in Later Life" 27 (27): 32-38, 2003

      17 Chou KL, "Combined effect of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in elderly Chinese" 19 (19): 825-832, 2004

      18 Schnecket ME, "Asssociation between hearing and vision impairments in older adults" 32 (32): 45-52, 2012

      19 Kim JS, "A Study on the statue of the medical security policy for elderly people in Jeonnam's rural province: focusing on the survey of the perception of Gurye and nearby neighborhood residents in Jeonnam"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9 0.8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