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파편적 존재들로 구성되는가, 아니면 유기체인가? 전체는 부분의 합인가, 아니면 부분의 합과 그 외의 무엇으로 된 것인가? 이 물음은 우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부단한, 그러나 아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56144
200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3-193(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는 파편적 존재들로 구성되는가, 아니면 유기체인가? 전체는 부분의 합인가, 아니면 부분의 합과 그 외의 무엇으로 된 것인가? 이 물음은 우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부단한, 그러나 아직...
세계는 파편적 존재들로 구성되는가, 아니면 유기체인가? 전체는 부분의 합인가, 아니면 부분의 합과 그 외의 무엇으로 된 것인가? 이 물음은 우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부단한, 그러나 아직도 미결된 주제로 남아 있다. 실제로 철학적 질문을 약간이라도 복잡하게 제기하는 모든 동서고금의 철학자들에게서 이 우주적 질문을 발견할 수 있지만, 아주 핵심적이고도 체계적인 형태로 드러낸 사람은 토마스 아퀴나스였다.그는 우주가 경험 가능한 존재뿐만 아니라 그것을 얽어매는 법칙으로 종합되어 있다고 보고, 그것을 알 수 있는 '다섯 가지 길'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그 법칙으로 인하여 세계의 운행자로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그의 이런 주장은 세계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변화와 운동의 존재를 통해 시도된다. 눈앞에 벌어지고 있는 삼라만상의 바뀜이 관찰된다면, 그것의가능성으로서의 법칙이 존재할 것이고, 결국 그 법칙의 존재 기반으로서 하나님은 존재해야 할 것이다.아퀴나스의 우주적 법칙은 필연성과 인과성으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필연성과 인과성은 논리적인 측면에서라면 몰라도 존재론적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것이 여러 비판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여기서는 그 한 예로서 현대철학자인 플란팅가의 분석을 살펴보았다. 그는 아퀴나스의 진술을 10개의논증으로 도식화한다. 그리고 이내 이 논증의 핵심이 운동과 변화의 설명 속에 드러나는 필연성의 문법 문제라고 분석하면서 아퀴나스가 양태의 표현에 무디었음을 지적하는 한편, 존재 명제는 필연적일 수 없다는 현대철학자들의 맹목적인 비판에도 재고를 요청한다.플란팅가는 기취나 브라운 등이 시도한 <필연성> 개념의 의미를 받아들임으로써 우주론적 의미의 새로운 적극적 해석의 발판을 마련한다. 이를테면, 자체 내에서 필연적이 아니라, 다른 것에 의해 인과된 필연적 존재라는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우주나 신에 대한 존재론적 필연성을 확보될 수 있다고 플란팅가는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philosopher who provided a well-formed cosmolog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Thomas Aquinas wrote The Five Ways in which Aquinas claims that every thing and event consists of changes and motions. According to him, those changes and...
The first philosopher who provided a well-formed cosmolog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Thomas Aquinas wrote The Five Ways in which Aquinas claims that every thing and event consists of changes and motions. According to him, those changes and motions are finally touched to the unmoved mover, God. In other words, whether they are connected to things or laws, they are naturally attached to the fundamental being. Therefore if it is possible for us to look various aspects of things/events before our eyes, he claims, we are compelled to concede that God exists. However, this claim has been attacked by many modem philosophers who stand against cosmological argument. They argue against the claim that God is a necessary being, holding that existential statements do not go with statements with necessity. They believe that existence is contingent while logic is necessary. What they say is, as Kant says, that there is no existential beings necessary. This story does not end if we look at Plantinga who tries to show another way to interpret Thomas Aquinas. Accepting P. Geach and P. Brown, Plantinga analyzes What Aquinas means and points out that the latter fails to distinguish between modal terms: possible, real and necessary. Even among necessary beings, they are divided into two: a necessary being a se and a necessary thing ab aliter. With the latter, Plantinga believes to succeed in presenting the fact that the proposition 'God exists' is necessarily true and that God exis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984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