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R 전문가들의 국가관계에 대한 인식 유형 = How Relation Experts Understand the National Relationship : Q Study of the PR Practitioners’ Perception betwee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정학적으로 인접한 국가들은 문화적 교류나 경제적 거래 등의 이점이 있으나, 동시에 국경 분쟁이나 어업권 침해 혹은 공해 문제와 같은 군사적 충돌이나 산업적 마찰이 불가피하게 일어...

      지정학적으로 인접한 국가들은 문화적 교류나 경제적 거래 등의 이점이 있으나, 동시에 국경 분쟁이나 어업권 침해 혹은 공해 문제와 같은 군사적 충돌이나 산업적 마찰이 불가피하게 일어나기도 한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에도 역사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불편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일 두 나라 사이의 관계가 왜 불편하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러한 불편한 관계를 해소 내지는 개선시켜나가기 위한 실증적 방법 모색을 위한 전략수립을 기초 자료를 구축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Q 방법론을 적용, 한국인과 일본인 PR 전문가들에게 동일한 Q 표본을 사용하여 한일 관계에 대한 인식 유형을 발견하였다. 먼저 한국의 한일 관계에 대한 인식은 ‘지배논리형’, ‘환경수용형’, ‘교류의존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의 일한 관계에 대한 인식은 ‘여론의존형’, ‘시대상황형’, ‘여건중시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가에 따른 인식 유형의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해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들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간의 관계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ional conflict might not be unavoidable in-between the neighboring countries like Korea and Japan and vice vers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or mitigate the uncomfortable relationship of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unde...

      National conflict might not be unavoidable in-between the neighboring countries like Korea and Japan and vice vers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or mitigate the uncomfortable relationship of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factors. Most of the prior studies done by specific subjects like history,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or culture. These studies are not easy to free from the stereotyped frame by its subject and related professionals. So this study focused just on the ‘Relationship’ itself by focusing on the PR experts. Q methodology adapted against the PR Agency practitioners who has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s both in Korea and Japan. Result found 3 different perception types each on both countries. In Korea, those are ‘(National) Management’ Type, ‘Environment(Accept ance)’ Type, and ‘Exchange(Improvement)’ Type. In Japan, named ‘Public Opinion(Reliance)’ Type, ‘Contemporary (Circumstance)’ Type, and ‘Requirement(Priority)’ Type each. Every type on both sides has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further discussion and implication followed to provide background for further strategic implementation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two incumbent nations. To elaborate this study for further actionable strategies development, more diversified experts group research need to be follow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 J., "호모 루덴스: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81

      2 "허핑턴포스트코리아"

      3 정재정, "한일협력과 역사문제 - 갈등을 넘어 화해로" 현대일본학회 (43) : 65-93, 2016

      4 정재정, "한일관계의 위기와 극복을 향한 오디세이: 영토와 역사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5) : 2013

      5 김상준, "한일관계의 안정과 지속: 정치지도자의 메시지 전달과 정향을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41) : 107-131, 2015

      6 이원덕, "한일관계와 역사마찰: 김영삼 정권의 대일 역사외교를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40) : 241-268, 2014

      7 양기웅, "한일관계와 역사갈등의 구성주의적 이해"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171-191, 2014

      8 이창현, "한일관계와 뉴스 보도의 프레임, 그리고 상호인식"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 2007

      9 김영희, "한일관계에서 언론의 역할" 관훈클럽 2015

      10 정미애, "한일관계에서 시민사회의 역할과 뉴거버넌스" 국제지역연구원 18 (18): 17-41, 2011

      1 Huizinga, J., "호모 루덴스: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81

      2 "허핑턴포스트코리아"

      3 정재정, "한일협력과 역사문제 - 갈등을 넘어 화해로" 현대일본학회 (43) : 65-93, 2016

      4 정재정, "한일관계의 위기와 극복을 향한 오디세이: 영토와 역사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5) : 2013

      5 김상준, "한일관계의 안정과 지속: 정치지도자의 메시지 전달과 정향을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41) : 107-131, 2015

      6 이원덕, "한일관계와 역사마찰: 김영삼 정권의 대일 역사외교를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40) : 241-268, 2014

      7 양기웅, "한일관계와 역사갈등의 구성주의적 이해"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171-191, 2014

      8 이창현, "한일관계와 뉴스 보도의 프레임, 그리고 상호인식"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 2007

      9 김영희, "한일관계에서 언론의 역할" 관훈클럽 2015

      10 정미애, "한일관계에서 시민사회의 역할과 뉴거버넌스" 국제지역연구원 18 (18): 17-41, 2011

      11 김호섭, "한일관계 형성에 있어서 정치 리더십의 역할" 현대일본학회 (29) : 59-83, 2009

      12 이동준, "한일관계 보도 이대로 좋은가" 관훈클럽 2016

      13 박형준, "한일 신문의 프레임과 주관적 표현비교를 통한 갈등 조장 여부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37-66, 2014

      14 KBS-NHK, "한일 공동 국민의식 조사"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0

      15 "한국일보"

      16 박선영, "한국병합 100년과 한일 언론 : 병합의 부당성에 대한 인식의 갭"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181-214, 2011

      17 신경애, "한국 대학생의 한일관계에 대한 인식과 관련 수업에 대한 니즈" 동아시아일본학회 (55) : 163-185, 2015

      18 세종연구소, "한․일 전략회의 개최 및 결과 보고"

      19 "프레시안"

      20 Luhmann, N., "체계이론 입문" 새물결 2014

      21 "조선일보"

      22 임도경, "정치부 기자들의 정치인 인식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17) : 67-82, 2008

      23 이성환, "일본 대중문화의 유입과 한일관계" 동아시아일본학회 (53) : 273-294, 2015

      24 박진우, "여론조사를 통해서 본 한일관계의 상호인식"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7) : 101-129, 2014

      25 김일철, "언론인의 공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18) : 25-39, 2009

      26 남상구,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한일관계사학회 (46) : 225-265, 2013

      27 진창수, "아베 정권과 한일관계의 개선 가능성" 제주평화연구원 155 : 2014

      28 박진희, "서평 : 한일관계, 역사를 알면 미래로 나갈 수 있을까? - 정재정,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 (역사비평사, 2014) ; 조세영, 『한일관계 50년, 갈등과 협력의 발자취』(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 한국역사연구회 (96) : 393-411, 2015

      29 이동준, "불편한 회고: 외교사료로 보는 한일관계 70년" 삼인 2016

      30 김일철, "병원PR에 관한 실무자들의 인식 유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0) : 5-26, 2015

      31 "미래한국"

      32 김성해, "미디어에 나타난 이웃: 한 ․ 중 ․ 일 언론의 상호국가보도" 한국언론재단 2005

      33 "두산백과사전"

      34 "동아일보"

      35 김성한, "동북아 세 가지 삼각관계의 역학구도: 한중일, 한미일, 한미중 관계"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 (20): 71-95, 2015

      36 곽진오, "독도와 한일관계: 일본의 독도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46) : 47-64, 2010

      37 "경향신문"

      38 정재정, "‘위안부’ 문제와 한일관계" 세종연구소 2016

      39 Sommer, M. S., "Toward Scientific Marketin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64

      40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41 Stephenson, W, "The Quamtumization of Psychological Events" 12 (12): 1998

      42 Hwang, S., "The Elephant in the Room is Awake and Takes Things Personally: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 The General Public’s Estimation of American Diplomacy" 34 : 2009

      43 Sundland, D. M., "The Construction of Q Sorts: A Criticism" 69 : 1962

      44 Wang, J., "Strategic Public Diplomacy and Local Press: How A Highprofile “Head-of-State” Visit was Covered in America’s Heartland" 30 (30): 2004

      45 Gilboa, E., "Secret Diplomacy in the Television Age" 60 (60): 1998

      46 Kerlinger, F. N., "Science,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72

      47 김흥규,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8 Brown, S.,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49 한정호, "PR실무자의 PR업무역할에 대한 인식의 유형분석연구" 한국언론학회 46 (46): 11-385, 2002

      50 Zhang, J., "Message Strategies of Saudi Arabia’s Image Restoration Campaign After 9/11" 30 : 2004

      51 Wang, J., "Effectively Managing National Reputation : Strategic Public Diplomacy Revisited" 2009

      52 Thomas, D. B., "Defining Obama: The Political Subjectivity of Presidential Identity and Authenticity in the Public Mind" 9 (9): 2011

      53 Stephenson, W., "Applications of Communication Theory: I. The Substructure of Science" 23 (23): 1972

      54 Cha, V. D., "Alignment Despite Antagonism: The United States-Korea-Japan Security Trian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55 Neff, W. S., "A Method for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Internal Consistency of Q-sort Arrays" 68 : 1967

      56 Zhang, J., "A Contingency Approach to the Sino-US Conflict Resolution" 30 (30): 2004

      57 민희, "386세대의 정치적 태도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17) : 23-4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77 1.22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