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유산 정읍무성서원의 건축구성에 관한연구 - 강학영역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World Heritage Jeongeup MuseongSeowon - Focusing on the Lecture A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won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Such a Seowon has a certain form in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buildings. Korean Seowon were recognized as excellent for ...

      Seowon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Such a Seowon has a certain form in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buildings. Korean Seowon were recognized as excellent for localization by transforming them according to the local environment. Therefore, it w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Museongseowon is located in the village differently from the 8 registered Seowons. However, data and research on the location setting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MuseongSeowon are insignificant, so related research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ppearance of the period when MuseongSeowon was equipped with architectural formality was investigated. This study compared the appearance of MuseongSeowon in Chilkwong-do drawn in 1910 and the present appearance, focusing on the Ganghak area. As a result,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Seowon was similar to the present appearance after the revision of the Gangdang area in Chilkwong-do. Therefore, the present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Seowon appears to be the same as before 1900.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appearance of Heunghakjae and Myeonamsa, which were currently lost in the Gangsujae area, were partially derived. It seems that seowon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village even after 1910. Also, since it is located in the village, the building seems to have a flexible spatial compos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민, "한국의 유교건축" 도서출판 발언 1993

      2 趙想淳, "필암서원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3 김정식 ; 김재식 ; 김정문, "칠광도(七狂圖)에 표현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30-37, 2008

      4 정읍시, "정읍무성서원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3

      5 김정문, "정읍 무성서원 및 주변지역 정비·복원 기본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영문 (영문): 80-91, 2006

      6 문도건축유산보존연구소,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종합정비계획 수립안내서"

      7 이상해, "서원" 열화당 2002

      8 최만봉, "무성서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2 (22): 2004

      9 손윤희, "무성서원의 건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선구, "돈암서원의 이건 이후 변화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1

      1 김지민, "한국의 유교건축" 도서출판 발언 1993

      2 趙想淳, "필암서원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3 김정식 ; 김재식 ; 김정문, "칠광도(七狂圖)에 표현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30-37, 2008

      4 정읍시, "정읍무성서원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3

      5 김정문, "정읍 무성서원 및 주변지역 정비·복원 기본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 영문 (영문): 80-91, 2006

      6 문도건축유산보존연구소,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종합정비계획 수립안내서"

      7 이상해, "서원" 열화당 2002

      8 최만봉, "무성서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2 (22): 2004

      9 손윤희, "무성서원의 건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선구, "돈암서원의 이건 이후 변화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1

      11 서경태, "도산서원 건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3

      12 李相圭, "덕천서원의 조영과 변천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9

      13 金銀重, "朝鮮時代 書院建築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5

      14 박정민, "1900년대 초 태인 고현내의 경관 - 칠광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9) : 189-226, 2020

      15 박정민, "110년 전 무성서원을 품은 칠광도, 보물 지정을 위한도약" 전북연구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