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the shamanistic works of Siyonghyangakbo are related to the Buddhist cul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its origin in <Naedang(內堂)>and <Samsungdaewang(三城大王)>. The relation to Buddhism or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90574
2016
-
내당 ; 삼성대왕 ; 대국 ; 삼성(三聖) ; 내불당(內佛堂) ; 미륵신앙 ; 호국불교 ; 여제(?祭) ; 액막이 ; 삼성각 ; Naedang(內堂) ; Samsungdaewang(三城大王) ; Daekuk ; Samsung ; Naebuldang ; the Worship of Maitreya(Metteyya) ; Patriotic Buddhism ; Yeoje ; Exorcise Evil Spirits ; Samseonggak
200
KCI등재
학술저널
133-178(4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shamanistic works of Siyonghyangakbo are related to the Buddhist cul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its origin in <Naedang(內堂)>and <Samsungdaewang(三城大王)>. The relation to Buddhism or ...
Since the shamanistic works of Siyonghyangakbo are related to the Buddhist cul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its origin in <Naedang(內堂)>and <Samsungdaewang(三城大王)>. The relation to Buddhism or Buddhist characteristics mentioned in this paper ar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or provable correlations specified in Buddhist scriptures. The lyrics of <Naedang> was considered indecent, but it reflects the tradition of ‘Naebuldang(內佛堂)’, continued from Goryeo to Joseon, and the worship of Maitreya. Moreover, <Samsungdaewang>, in relation to the memorial ceremony for ‘Daekuk’ and ‘Samsung’, is associated with ‘Samsung(三聖)’religion in the dynasty of the Chungryeol King(忠烈王) of Goryeo and takes the form of ‘exorcise evil spirits’ based on patriotic Buddhism. Both works are not purely shamanistic, but rather related to the Buddhist culture and tradition dating from the Goryeo era. Until now, the works of Siyonghyangakbo have been seen as shamanistic due to the missing consideration of their Buddhist ceremonial nature. The shamanistic poetry of Siyonghyangakbo are related to the national ceremony ‘Yeoje(?祭)’and the like; Yeoje and Sooryukjae(水陸齋) after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re all based on the Buddhist culture of Goreyo. Even aftrer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could not function as exorcise evil spirits in the Royal Court and Buddhism had to take the responsibility. Furthermore, by orga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삼성(三城)’ in <Samsung - daewang(三城大王)> and the Samsung(三聖) religion, Samsung(三聖) religion based on Dangun and Samsung(三聖) religion in Buddhist temples were comprehended. This will be the groundwork for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s of religious culture and folklore relig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승국,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419, 1991
2 "한국문집총간" 한국고전번역원 2005
3 신근영, "한국무속 연구의 한 단면" 민속원 189-204, 2005
4 서대석,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347-358, 1992
5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69-272, 1961
6 붓다고사, "청정도론 3" 초기불전연구원 1-535, 2004
7 이완교, "주역과 격암유록" 아름다운사람들 1-716, 2010
8 "조선왕조실록"
9 이은주, "조선시대 남종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18 (18): 221-233, 1994
10 이희재, "조선 중종대 왕실의 불교의례 - 忌晨齋를 중심으로" 한국불교문화학회 3 : 137-151, 2004
1 임승국,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419, 1991
2 "한국문집총간" 한국고전번역원 2005
3 신근영, "한국무속 연구의 한 단면" 민속원 189-204, 2005
4 서대석,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347-358, 1992
5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69-272, 1961
6 붓다고사, "청정도론 3" 초기불전연구원 1-535, 2004
7 이완교, "주역과 격암유록" 아름다운사람들 1-716, 2010
8 "조선왕조실록"
9 이은주, "조선시대 남종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18 (18): 221-233, 1994
10 이희재, "조선 중종대 왕실의 불교의례 - 忌晨齋를 중심으로" 한국불교문화학회 3 : 137-151, 2004
11 나정순, "조선 전기 향악 불찬의 성격과 연원"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8) : 271-324, 2015
12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송당대우 1656
13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9
14 "악장가사"
15 "신편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02
16 이병기, "시용향악보의 한 고찰" 한글학회 113 : 367-393, 1955
17 정재호, "시용향악보의 ‘삼성대왕’ 소고"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5 : 83-91, 1964
18 임재해, "시용향악보 소재 무가류 시가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9 : 155-182, 1982
19 권재선, "시용향악보 내당가사의 어석" 한민족어문학회 14 : 1-9, 1987
20 "시용향악보" 연희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4
21 "세종실록악보"
22 "삼성훈경(三聖訓經)"
23 "삼국유사"
24 "삼국사기"
25 "불교사전"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12
26 마노 다카야, "도교의 신들" 들녘 15-406, 2001
27 "국역 증보문헌비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28 홍윤표,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근대편Ⅰ)" 태학사 181-187, 1993
29 남광우, "고어사전" 동아출판사 1-553, 1960
30 Roger Leverrier, "고려시대 호국법회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4-117, 1970
31 "고려사절요"
32 "고려사"
33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이우출판사 15-382, 1980
34 김수경, "고려 처용가의 미학적 전승" 보고사 13-467, 1990
35 윤대웅, "격암유록과 남사고 비결서 상고(相考)" 경상북도향토사연구협의회 10 : 229-248, 2012
36 남사고, "격암유록" 세종출판 1-372, 1987
37 한기문, "高麗時代 王室願堂과 그 機能" 국사편찬위원회 71 : 37-68, 1996
38 佛陀耶舍共竺佛念, "長阿含經 18"
39 日稱, "諸法集要經 6"
40 "漢文大藏經" 中華電子佛典協會 2016
41 "漢典"
42 道世, "法苑珠林 28"
43 "明靑實錄" 臺灣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2015
44 "日中中日辞典" 白水社
45 法衆, "大方等陀羅尼經 3"
46 實叉難陀, "大方廣佛華嚴經 49"
47 佛馱跋陀羅, "大方廣佛華嚴經 43"
48 實叉難陀, "地藏菩薩本願經 9"
49 寶貴合曇無讖, "合部金光明經 6"
50 "史記 (天官書)"
51 香港廟祝, "入屋叫人·跟廟拜神" 超媒體出版有限公社 1-177, 2015
52 帛戸梨蜜多羅, "佛説灌頂七萬二千神王護比丘呪經 12"
53 藏川, "佛說預修十王生七經 1"
54 藏川, "佛說地藏菩薩發心因緣十王經 1"
55 曇無讖, "佛本行經 1, 2"
56 不空, "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 2"
57 이병휴, "九谷黃鍾東敎授停年紀念 史學論議" 간행위원회 351-372, 1994
58 "中國正史朝鮮傳 譯註" 국사편찬위원회 1989
59 최용수, "『시용향악보』의 <삼성대왕> 연구" 한국시가학회 9 : 259-280, 2001
60 나정순, "『시용향악보』 소재 <성황반><나례가>의무불 습합적 성격과 연원" 대동문화연구원 (87) : 207-240, 2014
「선문청규(禪門淸規)」의 교단사적 의의(意義)와 승려의 역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5-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재단법인 선학원 부설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1.36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