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지연임신에 관한 임상적 고찰 = Clinical Observation for Postterm Pregna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59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8년 1월 1일부터 1989년 12월 31일까지 만 2년간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임신 42주이상의 지연임신 888례를 대상으로한 임상적 고찰과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1988년 1월 1일부터 1989년 12월 31일까지 만 2년간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임신 42주이상의 지연임신 888례를 대상으로한 임상적 고찰과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대조군으로는 동기간 동안에 분만한 임신 38주부터 42주까지의 만삭분만 12,207례로 하였다.
      1. 지연임신의 발생빈도는 총 분만 14,241례중 888례로 6.24%에 해당되었다.
      2. 연령별 분포는 21~30세군에서 769례(86.6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1~40세군으로 118례(13.29%)이었으며, 임신주수별 분포는 42주가 783례(88.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43주로 93례(10.5%)이었다.
      3. 출산력별 빈도는 초산군에서 7.79%이고 경산군에서는 3.87%로 초산군에서 약 2배 가량 높았다.
      4. 진통개시의 유형별 분포는 유도분만이 507례(57.1%)로 자연진통(340례, 38.3%)보다 더 많았고 무진통이 41례(4.6%)이었다.
      5.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4.28%로 대조군의 빈도인 1.07%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6. 분만방법에 있어서는 질식 자연분만이 607례(68.36%), 흡입분만 164례(18.47%), 제왕절개분만 114례(12.84%), 둔위분만 3례(0.34%)순이었다.
      7. 제왕절개분만은 모두 114례로서 이의 적응증은 아두골반불균형이 50례(43.8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태아곤란증이 28례(24.56%), 유도분만실패 23례(20.18%), 이상태위 7례(6.14%), 기왕제왕절개술3례(2.63%) 순이었으며, 그 외 전치태반 1례, 태반조기박리 1례, 노령초산모 1례가 있었다.
      8. 태아체중의 분포에 있어서는 3.2~3.9kg에서 지연임신군과 대조군이 각각 58.0% 및 57.75%로 양군 모두 가장 많았다. 4kg이상은 지연임신군에서 6.19%, 대조군에서 4.66%로 지연임신군에서 더 빈도가 높았다.
      9. 지연임신에서의 주산기이환율은 이환된 신생아 총 59례중 감염질환이 17례, 신생아 질식 16례, 폐혈증 10례, 신생아 고빌리루빈증 5례, 폐렴 4례, 태변흡입증후군 3례, 기흉 2례, 저혈당증 1례, 선천성 매독 1례 순이엇다.
      10. 본 연구 대상 888례중 490례에서 admission test(AT) 및 acoustic stimulation test (AST)를 시행하였다. Admission test의 결과는 reacitive가 412례(84.08%), equivocal이 71례(14.49%), omnious가 7례(1.43%)이었고, acoustic stimulation test에서는 type I이 455례(92.8%), type II가 15례(3.06%), type III가 20례(4.08%)이었다.또 태아곤란증의 빈도를 보면 AST에서 type I group중에서는 3.74%, type II group에서는 33.33%, type III group에서는 50%가 각각 태아곤란증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linical observation has been made on 888 cases of postterm pregnancies out of 14,241 cases delivered at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Fatima Hospital, Daegu, during 2 years since Jan. 1,1988 to Dec 31,1989. Postterm pregnancy was defined as a...

      A Clinical observation has been made on 888 cases of postterm pregnancies out of 14,241 cases delivered at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Fatima Hospital, Daegu, during 2 years since Jan. 1,1988 to Dec 31,1989.
      Postterm pregnancy was defined as a pregnancy that it exceeds 294 days calculated from first day of the last menstrual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postterm pregnancy was 6.24% with highest incidence occuring in the 21~30 years group. The incidence of postterm pregnancy in primipara(7.79%) was greater than that or multipara(3.87%).
      2. In postterm pergnancies, the gestational weeks of 42 was the most prevalent (88.2%)and 43 weeks was the next(10.5%).
      3. The modes of labor onset in postterm pregnancy showed induction (57.1%), spontaneous(38.3%), and no labor(4.6%).
      4. The incidence of fetal distress was 4.28% and 1.07% in the postterm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5. The incidence of large fetus (weight over 4,000 gm) was 6.19% and 4.66% in the postterm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6. The modes of delivery in postterm pregnancy showed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68.36%
      Vacuum extracted delivery 18.47%
      Breech extraction 0.34%
      Cesarean section 12.84%
      7.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in postterm pregnancies was 12.84% and it was lesser than that of term pregnancy (14.5%) during that same period.
      8. As for indication of Cesarean section in postterm pregnancies, the cephalopelvic disproportion was the most prevalent and fetal distress, failed induction, malpresentation, previous Cesarean section was the next in order.
      9. As for perinatal morbidity in postterm pregnancies, infectious morbidity was the most prevalent and asphyxia neonatorum, sepsis, neonatal hyperbilirubinemia, pneumonea was the next in order.
      10. Admission test and acoustic stimulation test were performed on 490 cases among 888 cases of this study. A type I response was recorded in 81.2% of the women after a reactive admission test result, in 80.3% after an equivocal admission test result, and in none after an omnious admission test result.Fetal distress in labor occurred in 3.74% of cases in type I group,33.33% of cases in type II group, and 50% of cases in type III group, respective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