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스포츠심리학 : 초등학생의 신체 유능성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n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8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신체 유능상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인천광역시 소재 5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780명을 대상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신체 유능상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인천광역시 소재 5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780명을 대상으로 '신체 유능성’ 지각과 체육 수업에서 내적 동기 검사를 하였다 초등학생의 '신체 유능성’ 지각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Harter(1982)의 아동용'신체 유능성’ 검사지(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ubscale for Children; PPCSQ를 초등학생의 독서 수준에 맞게 우리말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내적 동기의 검사는 유생열(1999)이 McAuley 등(1991)의 내적 동기 질문지를 대학의 체육 실기 수업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초등학생의 독서력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신체 유능성’ 지각 검사를 토대로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표준편차 +1이상인 아동을 '신체 유능성’ 지각이 높은 집단으로, -1이하인 아동을 '신체 유능성’ 지각이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 두 집단의 내적 동기 요인별 평균차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 유능성’ 지각이 높은 아동들이 '신체 유능성’ 지각이 낮은 아동들보다 체육수업에서 내적 동기 3가지 요인(노력-중요성, 지각된 유능감, 흥미-즐거움)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한가지 요인인 긴장-입력요인에서는 '신체 유능성’ 지각이 높은 아동들이 낮은 아동들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핀별분석 실시결과 종속변인의 수준별 각 독립변인의 평균차이에 대한 집단 구분의 가능성에 있어서 원래의 집단 사례수중 86.9%가 올바르게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신체적 유능성이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신체적 유능성 신장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이 논의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n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780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n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780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Korea version of PPCSC(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ubscale for Children) was utilized as a tool to obtain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other Korean version of IMI(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tension-pressure’, ‘effort-importance’, ‘perceived competence’, and ‘interest-enjoy’. The researchers divided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tandard Deviation(SD)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cale. The subjects whose score was more than positive 1 of SD were assigned as ‘Higher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Group’(HPPCG) and The subjects whose score was less than negative 1 of SD was assigned as ‘Lower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Group’ (LPPCG). MANOVA was utilized to se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HPPCG and LPPCG. There were significant(p<.05)mean differences in all 4 levels of IMI. HPPCG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effort-importance’, ‘perceived competence’, and ‘interest-enjoy’. However, LPPCG demonstrated higher mean score in ‘tension-pressure’. Discriminant function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IMI( 4 factors) may be used to predict significantly (p<.05) HPPCG and LPPCG. Percent of cases corretly classified was 86.9%. Some suggestions for higher physical self-competence are propo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