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또래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적 능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37157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7
학위논문(박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유아교육·보육전공 , 2017. 2
2017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a Cooperative Ar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ix, 202 p. ; 30 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지현
권말에 부록 수록.
참고문헌 : p. 128-1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또래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적 능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또래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적 능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S시에 위치한 N초등학교 2학년 아동 4개 학급 총 94명의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동일학교 내 두 개 학급(47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두 개 학급(50명)은 비교집단으로 정하였다.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해 Webster-Strattron과 동료들(Webster-Strattron, 1990b; Webster-Strattron & Hammond, 1997)의 WALLY 검사(WALLY Problem Solving Test)를 번안한 뒤 일부 내용을 보안한 김세리(2013)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Weir와 Duveen(1981)의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척도(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PBQ)를 권연희(1995), 이수민(2006)이 번안․수정하여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검토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정서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Mayer와 Salovey(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b)이 한국 상황에 맞게 제작한 초등학교 저학년용(아동용)을 사용하였다. 담임교사가 평정하는 척도는 김경회(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협동미술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또래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 정서적 능력의 사전 점수를 공변인, 사후 또래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 정서적 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은 가설적 또래문제상황에서 양보하기, 용서하기, 기다리기, 제안․협상하기, 공평하게 하기의 상호적이며 공동목적을 추구하는 사고의 수준인 또래문제해결력을 경험하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하였다. 협동미술프로그램은 Barrow와 Mayers(1993)의 문제중심학습(PBL)에 기반을 두고 구성주의적 예술교육방안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네 가지 가설적 또래문제상황(딜레마, 또래방해, 또래거부, 또래괴롭힘)을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을 매개로 소집단 협동미술활동을 해나가면서 상호적이며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는 상위 수준의 또래문제해결력을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협동미술프로그램은 협동활동의 매체로 미술활동이 이루어졌다. 미술활동을 통하여 협동하여 함께 하는 상황에서 ‘양보하기’, ‘용서하기’, ‘기다리기’, ‘제안․협상하기’, ‘공평하게 하기’의 경험을 갖게 하여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의 협동미술프로그램은 그림책의 가설적 또래문제상황과 연계하여 아동들이 또래문제상황에 흥미롭게 접근하여 또래문제해결 경험 기회를 확장하도록 하였다. 각 그림책 당 4회기씩 총 16회기와 되돌아보기의 총정리 17회기로 각 그림책 당 4회기는 제 1제작(1회기), 제 2제작(2회기), 재설계(3회기), 반성평가(4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또래문제해결력 검사, 친사회적 행동 척도, 정서적 능력 척도의 양적평가와 아동 및 담임교사의 자기평가, 참여관찰 및 면담, 활동결과물 수집의 질적 평가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협동미술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프로그램을 경험하기 전에 모든 아동들은 미분화된 자기중심적 사고와 분화된 주관적 사고의 수준 사이의 또래문제해결력을 보여주었으나, 협동미술프로그램을 경험한 이후 실험집단 아동의 또래문제해결력 수준은 상호적이나 자기욕구가 반영된 사고의 수준과 상호적이며 공동목적을 추구하는 사고의 수준 사이로 증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중심학습(PBL)에 기반을 두고 가설적 또래문제상황의 또래문제해결과정을 거치면서 실험에 참여한 아동들의 또래문제해결경험이 내면화되었으며, 이로써 초등학교에서 또래문제가 발생하기 전 가설적 또래문제상황을 문제중심학습(PBL)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협동미술프로그램은 친사회적 행동에도 유의한 증진을 가져왔으며, 정서적 능력에서도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은 또래문제해결력, 친사회적 행동, 정서적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모델을 협동미술프로그램과 연결시켜 또래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의 기초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에 그치지 않고 개발된 프로그램과 또래문제해결력, 친사회적 행동, 정서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협동미술프로그램은 또래문제해결력, 친사회적 행동, 정서적 능력 등의 관련 변인들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밝히는 후속 연구들을 유도하고,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협동미술프로그램, 또래문제해결력,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eveloping and using a cooperative ar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peer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eveloping and using a cooperative ar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urs, emotional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4 children in four 2nd grade classes in 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And two classes (47 children in total) in the same school were chosen as the experiment group, and two other classes (50 children in total) were chosen as the comparative group. In order to measure the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the tools based on the WALLY Problem Solving Test developed by Webster-Strattron and co-workers (Webster-Strattron, 1990b; Webster-Strattron & Hammond, 1997), with some content translated and supplemented by Kim (2013) were utilized wit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e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PBQ) by Weir and Duveen (1981) adapted and modified by Kwon (1995) and Lee (2006) was appropriately evaluated and also used as a tool for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abilities of children, Moon(1996b)’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elementary low-grader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teachers’ developed by Kim (1998) was selected and modified for the questionnaire on classroom control used by the teacher. The SPSS WINDOWS 20.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e execution and non-execution of the cooperative art program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pretest scores for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y were set as the covariate variables. Their posttest scores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aim of this cooperative art program developed to improve the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is for the children to experience peer problem solving with a view to achieving a common goal in a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 through actions such as yielding, forgiving, waiting, suggesting, negotiating, and acting fairly.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by Barrows and Mayers (1993) was the foundation for this cooperative art program,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a method of constructivism art education. The goal is for children to experience a high level of peer problem solving that aims to fulfill a common objective, by using a picture book with four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s (dilemma, peer obstruction, peer rejection, and peer bullying) as a medium through which to carry out art activities in small groups. Art activities were the medium of coopertative activities in this cooperative art program. Through such art activities, children were able to experience cooperative situations such as yielding, forgiving, waiting, suggesting, negotiating, and acting fairly, which proved very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addition, the cooperative art program used in this study allowed the children to approach peer problem solving situations from an interesting angle relating to the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s in the picture books expanded their opportunity to experience peer problem solving. For each picture book, there were 4 sessions, resulting in a total of 16 sessions. There was also an additional 17th session in which learning contents were summarized. And the four sessions for each picture book consisted of the 1st production (1st session), the 2nd production (2nd session), a reconstruction (3rd session), and a reflective evaluation (4th session). The evaluations of the program included a quantitative estimation of testing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a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an emotional ability questionnaire, a qualitative evaluation of children’s and teachers’ self evaluati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an analysis of the activity’s results.
The results of applying cooperative art program were as follows. Prior to the program, all of the children demonstrated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with a level of thinking somewhere between undifferentiated self-centered thinking and differentiated subjective thinking. After taking part in the cooperative art program, however, the children demonstrated enhanced problem solving abilities at a level between mutual thinking reflective of one’s own desires, and common-goal oriented mutual thinking. With a founda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the experience of peer problem solving in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s,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internalized their peer problem solving experiences. This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suitable for approaching hypothetical peer problem situations from a PBL point of view, before an actual peer problem occurs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In addition, the cooperative art program also saw significant enhancements in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ies.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cooperative ar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eer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does have effects on the enhancing of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ies.
This study presented the basic model for a cooperative ar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by linking the cooperative art program to the PBL model.
The study went beyond merely developing the program itself,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developed by deter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gram and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ies. The coopertative art program of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encourage further research into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related variables such as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ies, as well as into the provision of the basic materials need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urrent elementary school low-graders.
Keyword: cooperative art program, peer problem solving abilities, elementary school’s low-grad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K-ABC 실시 채점요강, 변창진, 문수백, 서울: 학지사, , 1997
2. 편 PBL의 이론과 실제, 강인애, 서울: 문음사, , 2012
3.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별책1], , 2015
4.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조연순, 서울: 학지사, , 2008
5.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서울: 학지사, , 2009
6.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Geahigan비평적 탐구, 김창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13 (2), 115-148, , 2002
7. Piaget 이론에 기초한 영 유아 보육프로그램, 강문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11, 115-148, , 1997
8. 유아들의 화내는 원인 및 화내는 유형 연구, 신미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1995
9. 아동용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윤란,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1995
10. Art PROPEL의 미술과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김정희,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교육논총, 22, 115-148, , 2003
1. K-ABC 실시 채점요강, 변창진, 문수백, 서울: 학지사, , 1997
2. 편 PBL의 이론과 실제, 강인애, 서울: 문음사, , 2012
3.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별책1], , 2015
4.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조연순, 서울: 학지사, , 2008
5.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서울: 학지사, , 2009
6.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Geahigan비평적 탐구, 김창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13 (2), 115-148, , 2002
7. Piaget 이론에 기초한 영 유아 보육프로그램, 강문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11, 115-148, , 1997
8. 유아들의 화내는 원인 및 화내는 유형 연구, 신미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1995
9. 아동용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윤란,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1995
10. Art PROPEL의 미술과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김정희,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교육논총, 22, 115-148, , 2003
11. 비인기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의 적용사례, 김은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2. 애착유형에 따른 또래문제해결력의 차이 연구, 김신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3.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 최윤정,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3(1), 115-148, , 2000
14. Cognitive development(4th): 정영 숙 역 (2003), 인지발달, Miller, P. H., Flavell, J. H., Miller, S. A.,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02
15.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문무경, 창지사, 창지사, , 2005
16. 협동 미술활동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정광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17.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미술과 평가 연구, 최미경, 韓國美術敎科敎育學會, 서울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18. 학령기 아동의 또래 간 갈등해결 프로그램의 효과, 김진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19. 학령전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연구, 김은희, 이영,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2(1), 115-148, , 1991
20.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 1999
21. 유아의 사건표상이 또래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세리, 한국인간발달학회,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22. 협동 미술수업활동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행관, 한국아동미술학회, 아동미술교육, 10, 115-148, , 2011
24.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미술활동에 관한 연구, 유혜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86
25. 극화놀이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최영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26. 미술협동작업이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현경, 전남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2000
27. 유아의 정서지능과 대인 간 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 김선주, 연세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28. 미술공동작업에 있어서 유아의 협동에 관한 질적연구, 김영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1(2), 115-148, , 2001
29. 또래관계 기술지도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성 증진 연구, 이윤옥, 중앙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2
30. 미술 공동작업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희주, 전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8
31. 초등 사회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실행연구, 이혜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경인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32.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와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의 질, 정선진, 연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33. 소집단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안혜숙, 울산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34. 친사회적 토의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영옥, 윤경선, 한국아동학회, 아동 학회지, 20(3), 115-148, , 1999
35.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 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기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36. 과제 상황별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정서대처전략, 이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37.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 서현아, 미래유아교육학회, 미 래유아교육학회지, 9(2), 115-148, , 2002
38. 또래 지위와 친구 관계에 따른 아동의 또래 관계 갈등분석, 김송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1
39. 협동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수금, 홍순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40.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임지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41. 초등학생의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미연,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9
42. 초등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최종호,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관동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43. 구성주의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 구성주의와 한국수학교육, 이혜경, 창간호, 147-167, , 2013
45.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방실, 성균관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46.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방실,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 학교육연구, 2(1), 115-148, , 2001
47.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순자, 전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48. 만3,4,5세 유아의 연령별 사회적 능력과 정서 조절전 략의 관계, 박화윤, 안라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6(4), 115-148, , 2006
49. 만5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따른 또래 간 인기도, 임미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50.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도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 리치료연구, 10(4), 115-148, , 2014
51. 유아의 마음 이론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과 또래 수용의 관계, 엄정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2. 교사의 탐구적 발문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 향, 김영옥, 오숙현,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8(2), 115-148, , 1997
53. 만 3세 또래관계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09년), 임은주,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54.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박진재, 한국유아교육학회, 연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2
55. 유아의 사회 정서 능력 향상을 위한 협동적 입체미술활동의 효과, 김보영,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덕성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6.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프로그램 모형개발연 구, 이부미, 이수경, 한국조형교육학회, 조형교육, 28, 267-270, , 2006
57.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박민아, 광주여자대학교, 광주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58.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갑숙, 정재원,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 17(5), 115-148, , 2010
59.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심혜숙, 왕정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95-112, , 2001
60. 협동미술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김가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61.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 김정임, 한국아동미술학회, 아동미술, 8, 229-248, , 2009
62.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위한 또래문제해결 프로그램 모형 구안, 이윤옥, 중앙유아교육학회, 유 아교육학논집, 6(2), 115-148, , 2002
63. 협동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 및 양상, 송미선, 한국유아교육학회, 강 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64. 미술협동작업 과정에서 유아의 역할수용능력 변화에 관한 질적 분석, 이현경, 김영옥,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3(1), 115-148, , 2000
65. 아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과 행동특성 발달, 이옥경, 김윤경, 한국심리학회지. 14(2), 115-148, , 2001
66. 유아 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력과의 인과관 계, 유민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67. 아동의 인지양식과 대인문제해결력 : 5세, 7세 및 9세 아동을 대상으로, 정윤주, 한국아동학회,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3
68. 초등학교 '관심군' 아동의 정서 발달을 위한 미술활동 지도 방안 연구, 남선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69. 학령기 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연구, 문영희,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998
70.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태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71. 협동미술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수기,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2005
72.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73. 유아의 정서이해와 대인간 문제해결전략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은, 한국아동학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74.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홍상황, 이경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초등상담연구. 12(1), 115-148, , 2013
75. 초등학교 저학년 영양교육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학습자료 디자인 연 구, 박유빈,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76. 리더십 수준에 따른 학령 후기 아동의 정서지능과 대인간 문제해결 전 략, 김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77. 협동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자폐성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 향, 배현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78. ‘바퀴'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 치는 효과, 이화영, 문연심,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41-161, , 2008
79. 또래인기도에 따른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 향, 이나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80.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정현희,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 15(3), 115-148, , 2008
81.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 향, 임지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82.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또래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윤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83.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미술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 는 효과, 안진아,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84. 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정은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85. 협동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효과, 이숙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5
86. 그림책을 통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영향, 지숙영,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87.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영향, 이소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88. 어머니의 상휘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최난이,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89. 저소득층 이혼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및 문제해결력이 문제행동에 미 치는 영향, 정지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90.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미 치는 영향, 김유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91. 산책을 통한 자연친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수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93. 자신과 타인이해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 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현옥, 강문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7(2), 115-148, , 1996
94. 실내 외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 유 능성과의 관계, 유나영, 미래유아교육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95.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성,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 박경자, 권연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4(3), 115-148, , 2003
97. 사회성 증진 집단 프로그램과 학령전기 아동의 또래수용도․대인문제 해결력에 관한 연구, 박희애,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98. 협동미술활동에 있어서 집단구성방법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오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99.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사회기술,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인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100.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발표. 1996년도 유아교육 학술대회, 성숙한 감성교육의 방향모색, 문용린, 유아교육, 21-30, , 1996
102. 유아 교수 학습 유형이 친사회적 행동, 또래 인기도, 사회인지 및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영옥, 윤경선, 유아교육연구, 26(4), 115-148, , 2006
1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권연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1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가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백민정,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06. 유아의 또래간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가 조망수용 및 대인문 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107. 스트로킹 기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관계,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다연,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09. 또래집단 미술치료를 활용한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 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유희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16.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ducation: 홍용희 역(1995), 어린이들의 학습의 비계 설정- 비고스키와 유아 교육, Winsler, A., Berk, L. E., 서울: 창지사, , 1995
118. 한국학생들의 정서지능 측정연구. Perter Salovey 교수 초청강연,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 문용린,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59-89, ,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