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양양군 수동골 마을제사 연구 = A Study about Village Rites at Sudong-Gol in Yangyang-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7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wrote about village rites in sudong-gol in yangyang-gun. Sudong-gol is consist of six ri include Yib-am-ri. This village is bounded with Yangyang-gun and Gangneung-si and so that it has both culture's characters. Even though is surrounded ...

      This thesis wrote about village rites in sudong-gol in yangyang-gun. Sudong-gol is consist of six ri include Yib-am-ri. This village is bounded with Yangyang-gun and Gangneung-si and so that it has both culture's characters. Even though is surrounded with mountain, field and sea, it didn't have any folk about sea. Sudong-gol has won many prises from folk art competitions. Beach opening rites and sun rising rites are the new folk that they had created. That is why it has very unique folk culture.
      we can devide the village rites into ‘tradition transmitted village rites’ and ‘modern commercial village rites’. The former has Seonangje(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GiwuJe(a ritual for rain), Daewangje(rites for king) and Muhuje(rites for the childness ancester) from the ancient time. The other was started from the commercial reason and there are beach opening rites and sun rising rites.
      Most of tradition transmitted village rites don't exist any longer or changed. Sudong-gol is not an exception. In case of Seonangje(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two places were burn down and due to the low participation one place don't perform it anymor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our places where they have kept it very well. Daewangje(rites for king) in Sangwolcheon-ri doesn't exit anymore. Giwuje(a ritual for rain) in Hawolcheon-ri can be held whenever there is a drought. Muhuje(rites for the childness ancester) has been handed down just as like tradition or transformed. Village people are keen to it and the change is quite slow.
      Mordern commercial rites are for producing profit related to the beach only in Wonpo-ri and Jigyeong-ri. The rites can be ceased anytime when the beach is closed permanently. However this commercial rites perform Daewangje(ritual for the sea king) which it has never done in Sudong-gol and also has very special rites such as Sansinje(ritual for the god of a mountain) and Hwasangamje(ritual for the Hwasang rock). These rites have been done on a basis of beach and has strong business wise purpo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수동골 마을제사 현황
      • Ⅲ. 수동골 마을제사의 형태와 특징앞서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수동골 마을제사 현황
      • Ⅲ. 수동골 마을제사의 형태와 특징앞서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종원, "한국대왕신앙의 역사와 현장" 일지사 2008

      2 "양양의 전설과 설화" 襄陽文化院 2004

      3 장정룡, "양양군민속지" 양양군ㆍ양양문화원 2001

      4 이학주, "양양군 수동골권역 인문자원조사 보고서" 한국농어촌공사 2009

      5 이한길, "양양군 서낭제 축문연구" 민속원 2007

      6 장정룡, "양양군 마을제당 조사" 양양문화원 2002

      7 이학주, "소금강권역 인문자원조사 보고서" 한국농촌공사 2008

      8 이병도,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1991

      9 김의숙, "물의 제의(祭儀)연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10 "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39" 민족문화추진회 1969

      1 신종원, "한국대왕신앙의 역사와 현장" 일지사 2008

      2 "양양의 전설과 설화" 襄陽文化院 2004

      3 장정룡, "양양군민속지" 양양군ㆍ양양문화원 2001

      4 이학주, "양양군 수동골권역 인문자원조사 보고서" 한국농어촌공사 2009

      5 이한길, "양양군 서낭제 축문연구" 민속원 2007

      6 장정룡, "양양군 마을제당 조사" 양양문화원 2002

      7 이학주, "소금강권역 인문자원조사 보고서" 한국농촌공사 2008

      8 이병도, "삼국사기 ,하" 을유문화사 1991

      9 김의숙, "물의 제의(祭儀)연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10 "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39" 민족문화추진회 1969

      11 이학주, "강원도 무후제 조사 연구"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2007

      12 金甲童, "高麗時代의 城隍信仰과 地方統治" 한국사연구회 74 : 1991

      13 정승모, "高麗時代 鄕村社會의 變動과 農民組織" 한국역사민속학회 1 : 1991

      14 서영대, "韓國ㆍ中國의 城隍信仰史와 淳昌의 <城隍大神事跡>, in: 성황당과 성황제" 민속원 1998

      15 장정룡, "襄陽郡의 民俗資料" 江陵大學校博物館 1994

      16 신종원, "襄陽郡 縣南面 웃달내 마을(上月川里)大王祭 參觀記" 강원지역문화연구회 (창간) : 2001

      17 "襄州誌" 襄陽郡 1990

      18 "北譯 高麗史 8" 신서원 1991

      19 "『강원의 전통 민속예술』 ,강원도,1994"

      20 "『國譯 江原道誌 』上,강원도,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