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개에 발생한 혈관성 평활근종의 보고 = Vascular leiomyoma of the pal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56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활근종(leiomyoma)은 평활근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두경부 영역에서는 흔치 않은 질환이다. 구강내 평활근종의 경우 혈관성 평활근종이 가장 흔하다. 구강내 혈관성 평활근종은 비교...

      평활근종(leiomyoma)은 평활근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두경부 영역에서는 흔치 않은 질환이다. 구강내 평활근종의 경우 혈관성 평활근종이 가장 흔하다. 구강내 혈관성 평활근종은 비교적 단단하고, 매끈한 표면을 가지며, 경계가 명확하고, 둥글고 돌출되어 있다. 대부분 무통성으로 느리게 성장하기 때문에 환자가 병원을 찾게 될 때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며, 병력 및 임상검사, 방사선학적으로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지 않아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만 진단이 가능하다. 본 증례는 구개부에 연성종양을 주소로 내원한 53세의 여자 환자에서 종양 적출술을 시행, 병리조직학적으로 혈관성 평활근종으로 확진된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iomyoma is benign neoplasm of smooth muscle, but it is rare in the oral cavity. The most common type of leiomyoma in the oral cavity is vascular leiomyoma. Clinically, vascular leiomyoma usually grows slowly and is generally a small, painless, sessi...

      Leiomyoma is benign neoplasm of smooth muscle, but it is rare in the oral cavity. The most common type of leiomyoma in the oral cavity is vascular leiomyoma. Clinically, vascular leiomyoma usually grows slowly and is generally a small, painless, sessile, firm and superficial nodule like lesion, and the length of time before patients seek medical attention may span months to years. The diagnosis of oral leiomyoma is possible with only histological studies with special stains because there are no specific clinical and radiological signs. We experienced a 53-year-old woman with palatal mass. She underwent surgical excision and the final pathological result confirmed it to be vascular leiomyoma.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종의, "혀에 발생한 혈관성 평활근종 1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54 (54): 347-351, 2011

      2 김재욱, "평활근종 2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46 (46): 699-701, 2003

      3 Epivatianos A, "Vascular leiomyoma of the oral cavity" 43 (43): 377-382, 1985

      4 Burkes EJ Jr, "Vascular leiomyoma of the mandible: report of a case" 53 : 65-66, 1995

      5 Batsakis JG, "Tumors of the head and neck. Clinical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s" Williams and Wilkins 354-356, 1797

      6 Lloria-Benet M, "Oral leiomyoma: a case report" 8 (8): 215-219, 2003

      7 Garcia NG,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palate: a case report" 2012 : 679325-, 2012

      8 McMillan MD, "Mandibular vascular leiomyoma" 62 : 427-433, 1986

      9 Bouquot JE, "Lesions of the oral cavity, In Diagnostic surgical pathology of the head and neck" WB Saunders 199-200, 2001

      10 Laffosse JM, "Intraosseous leiomyoma: a report of two cases" 74 (74): 389-392, 2007

      1 홍종의, "혀에 발생한 혈관성 평활근종 1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54 (54): 347-351, 2011

      2 김재욱, "평활근종 2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46 (46): 699-701, 2003

      3 Epivatianos A, "Vascular leiomyoma of the oral cavity" 43 (43): 377-382, 1985

      4 Burkes EJ Jr, "Vascular leiomyoma of the mandible: report of a case" 53 : 65-66, 1995

      5 Batsakis JG, "Tumors of the head and neck. Clinical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s" Williams and Wilkins 354-356, 1797

      6 Lloria-Benet M, "Oral leiomyoma: a case report" 8 (8): 215-219, 2003

      7 Garcia NG,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f palate: a case report" 2012 : 679325-, 2012

      8 McMillan MD, "Mandibular vascular leiomyoma" 62 : 427-433, 1986

      9 Bouquot JE, "Lesions of the oral cavity, In Diagnostic surgical pathology of the head and neck" WB Saunders 199-200, 2001

      10 Laffosse JM, "Intraosseous leiomyoma: a report of two cases" 74 (74): 389-392, 2007

      11 Suresh L, "Intraosseous angiomyoma of the mandible" 55 (55): 132-135, 2007

      12 Chiang YC, "Glossal vascular leiomyoma" 136 (136): 315-316, 2007

      13 Sapp JP,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Elsevier Inc. 321-322, 2003

      14 Brooks JK, "Clinicopathologic characterization of oral angioleiomyomas" 94 (94): 221-227, 2002

      15 Morimoto N, "Angiomyoma. A clinicopathological study" 24 : 663-683, 1973

      16 McGowan DA, "Angioma (vascular leiomyoma) of the oral cavity" 27 : 649-652, 1969

      17 Ramcsh P, "Angioleiomyoma: a clinical, 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review" 58 : 587-591, 2004

      18 Al-Amad SH, "Angioleiomyoma on the hard palate" 42 : 244-246, 2006

      19 Terui T, "Angioleiomyoma of the lip" 26 : 119-120,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구강내과학회 ->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7 0.2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