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서비스의 한ㆍ중 담화 연구 = Analysis of Human-AI Dialog involving Korean versus Chinese Us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0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AI 음성 인식기와 인간의 대화에서 드러나는 담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담화의 구조를 탐색하여, 이에 나타나는 한국과 중국의 언어ㆍ문화적 특징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

      본고는 AI 음성 인식기와 인간의 대화에서 드러나는 담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담화의 구조를 탐색하여, 이에 나타나는 한국과 중국의 언어ㆍ문화적 특징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ㆍ중 양국의 AI 음성 인식기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AI와 나눌 담화의 주제를 정보 담화로 설정, 세부 질문을 작성한 후 대화를 나누었다. AI 음성 인식기는 사용자의 정보 요청에 웹에서 정보를 찾아 대답하기, 찾은 정보를 이용하여 AI 스스로 판단내리기, 응용프로그램이나 위젯 기능을 활용하여 답변하기 등의 형태로 발화하였다.
      AI는 인간과 정보 담화를 나눌 때 세 가지 반응을 나타냈는데, 첫째 ‘즉시인식’의 경우 긍정, 부정의 응답을, 둘째 ‘지연인식’ 경우 응답 지연이나 응답 회피의 반응을, 끝으로 ‘오류인식’의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AI의 반응에 사용자는 응답을 ‘수용’하거나 ‘다시 묻기’, ‘대화 이동’, ‘요청 수정’의 반응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인간과 AI의 정보 담화에 대한 ‘최소 대화’를 구조화하였다. 끝으로 한ㆍ중 양국의 AI 정보 담화를 비교 분석하여 두 나라의 언어ㆍ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s and AI-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interact during dialog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their interaction with the aim of identifying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 to Korea versus China. Surveys ta...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s and AI-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interact during dialog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their interaction with the aim of identifying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 to Korea versus China. Surveys targeting users of AI-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from both countries were carried out, via which topics for human-AI information dialog were selected and specific inquiries were generated, followed by the actual dialog. Upon the user’s request,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would search the web for the correct information, self-assess its content and deliver the output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or a widget. Three types of reaction were identified in AIs when participating in information dialog with humans: 1)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s, classified as ‘immediate recognition’; 2) Delayed or evasive responses, classified as ‘delayed recognition’; and 3) responses that fall under ‘recognition error’. According to the AI’s response, the user would display acceptance, reiterate the question, shift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or modify their requests. Based on these patterns of interaction, the present study structuralizes the ‘minimal dialogue’ in human-AI information dialog. Finally, comparative analysis of human-AI information dialog involving users from Korea and China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 to each count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